2025년부터 새롭게 시행되는 화장품 관련 개정법안에 대해 기업들의 적절한 대응이 요구된다. 또한 2025년 이후 시행 예정인 각종 제도 변화도 눈여겨봐야 한다. 미리 대비함으로써 시장 선점 및 새로운 방향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식약처의 화장품법 일부 개정 ➊ 2월 7일부터 시행... 화장품법시행규칙 일부개정령(외부포장 기재·표시) ▪ 화장품 외부 포장의 기재·표시에 관한 상세 기준이 새로 마련됐다. 2차 포장 기재 예외사항으로 단품의 경우 △ 외부가 투명하여 기재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포장 △ ‘염모제, 탈염·탈색, 제모제’는 공통사항만 외부 포장 기재,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은 첨부문서에 기재하면 된다. ▪ 기재면적이 좁은 소량(10㎖ 10g 이하) 화장품(견본품이나 비매품 포함)의 영업자 상호는 화장품책임판매업자 또는 맞춤형화장품판매업자의 상호만 기재할 수 있다. ▪ 세트 포장 시 기재사항 간소화 (파일 첨부: 화장품 외부 포장의 기재·표시 질의응답집)(관련 http://www.cncnews.co.kr/news/article.html?no=9837 ) ▪ 화장품의 범위를 벗어나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사용법 또는 이러한 사용을 암시하는 표시·광
원료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스킨1004(스킨천사)가 리테일 체인 ‘돈키호테(Don Quijote)’에 입점한다고 18일 밝혔다. 돈키호테는 다양한 글로벌 뷰티 브랜드가 입점해 있는 일본의 대표적인 드럭스토어다. 스킨1004는 이달 전체 돈키호테 매장 중 53%가량인 250개 입점을 완료하고, 올해 안에 총 400개 매장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일본 전역에서 지점을 운영하며 폭넓은 소비자층을 보유한 돈키호테의 리테일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브랜드 접근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스킨1004는 ‘로프트(LOFT)’, ‘프라자(PLAZA)’를 비롯한 주요 버라이어티샵에도 입점을 성사시킨 바 있다. 지난 12월에는 로프트에 입점한 3000여 개 스킨케어 상품 중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앰플’이 판매 랭킹 11위를 달성했다. 온라인에서도 이달 8일까지 진행한 큐텐(Qoo10)의 ‘메가포인트’ 행사에서 앰플+퀵 카밍패드+히알루-시카 워터핏 선세럼이 포함된 ‘굿바이 겨울 촉촉 진정 세트’가 전체 랭킹 11위에 올랐다. 지난 1월 라쿠텐(Rakuten)에서는 ‘백옥 피부 케어 세트’가 세트 상품 부문 1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기존 100만동 미만(약 5만6700원) 역직구(급행 배송 서비스)에 대해 무관세에서 부가세(VAT) 부과를 2월 18일부터 시행한다. 이후 6월 1일부터 베트남에 사업등록을 하지 않고 직접 해외에서 판매하던 기업들을 대신해 플랫폼 기업이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17일자 베트남의 Customs News에 따르면 “세관 총무부(GDC)는, 2월 18일부터 급행 배송 서비스를 통해 발송된 저가 수입 상품에 대해 더 이상 부가가치세(VAT) 면제 대상이 되지 않는다”라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결정 번호 01/2025/QĐ-TTg는 이전에 택배 서비스를 통해 발송된 VAT 면제 수입 상품에 대한 가치 한도를 설정한 2010년 11월 30일자 결정 번호 78/2010/QĐ-TTg를 공식적으로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앞으로 저가 수입 상품에 대한 VAT 신고 및 납부는 이제 VAT법 및 관련 법률 규정을 따라야 한다. GDC는 이 결정을 시행함으로써 베트남의 세금 정책이 국제 관행과 일치하고, 현재 세금 규제 시스템 내에서 일관성을 유지하며, 세금 기반을 확대하려는 국가의 정책 방향을 따른다고 밝혔다. 100만 VND(미화 39.4 달러) 미만의 저가 상품에 1
과거는 미래가 된다. 실제 있었던 일은 미래에도 일어날 수 있다. 초보 화장품 연구원이 꿈꾼 ‘프랑스처럼 K-화장품의 국가 이미지 산업화’는 37년 후 ‘글로벌 K-코스메틱’으로 현재가 됐다. 성신여대 김주덕 뷰티융합대학원장이 『화장품의 정석』을 16일 출간했다. (김주덕·김지은·김행은·곽나영 공저) 화장품과학자이자 교육가로 봉직한(1987~2024) 기간 Cos-History가 어떻게 진화하고 미래로 펼쳐졌는지 후학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다는 게 출간의 변이다. 이 책에 소개된 에피소드는 소비자와 산업계의 대화록이자 K-코스메틱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저자는 “화장품은 직접 체험해보고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는 게 굉장히 중요하다. 이게 바로 정석(定石)의 출발점”이라고 말한다. 오늘날 K-뷰티가 글로벌 ‘신드롬’이 된 이유도 발견할 수 있다. 김주덕 교수는 이 기간, LG생활건강 연구원부터 성신여대 뷰티융합대학원장에 이르기까지 소비자와 업계의 소통 창구이자, K-뷰티 미래 로드맵 설계자로 활약했다. 에피소드마다 그의 경륜과 숙고가 고스란히 드러난다. 저자는 화장품이 13대 수출유망 산업이자 정밀화학의 융·복합 화장품과학으로 자리잡기까지 무려 32년의 세월이 걸
지하철 7호선 이수역에서 내방역으로 가는 서초대로 언덕엔 국내 최대 규모의 화장품 임상시험기관 더마프로(DERMAPRO)가 자리잡고 있다. 화장품, 기능성화장품, 의약외품, 미용기구, 기능식품 등에 대한 임상 및 임상 전 단계에서의 안전성, 유효성 및 감성평가를 실시하는 곳이다. 한국화장품수출협회(회장 이경민)의 ’25년 두 번째 세미나인 ’임상기관 투어‘의 목적지다. 이경민 회장은 “실제 화장품 출시 전 임상 평가가 이뤄지고 있지만 어떤 기기로 어떻게 평가하는 지 실무자들이 경험해보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번 랩 투어(Lab Tour) 및 최신 임상 트렌드를 알아봄으로써 상품기획과 화장품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방문 취지를 설명했다. 더마프로의 서울 본사는 7층 건물로 ▲ 피부평가센터 ▲ 광·모발평가센터 ▲ 안전성평가센터로 구성된다. 제주지사는 생명과학연구소, 강서지사는 임상지원센터로 활용된다. 면역학, 피부장벽을 전공한 백지훈 연구소장(이학박사)은 임상 관련 깊이 있는 논문을 66편 출판했으며, 더마프로의 ‘시험법 개발과 연구역량’ 향상을 이끌고 있다. 현 대한화장품학회 안전성분과 위원장, 한국피부장벽학회 부회장, 건국대 화장품공학과
화장품의 원산지 증명서 발급 시 입증서류 제출이 기존 8종에서 1종으로 대폭 간소화된다. 12일 기획재정부는 ‘FTA 활용지원을 위한 관세행정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국내 제조 확인서 또는 유관기관 발급 인증서 1종으로 원산지증명서 입증자료를 충족시킨다고 밝혔다. 화장품의 경우 립스틱, 마스크팩, 아이섀도, 마스카라 등 6개 품목을 새롭게 간이확인대상으로 신규 지정했다. ‘25년 상반기 중에 총 332개 품목이 해당된다. 이는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라 상대국의 원산지 검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위반율도 상승 추세여서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요청되기 때문에 취하는 조치다. 또한 원산지증명서 전자교환시스템(EODES) 확대로 통관애로를 사전에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즉 우리나라 주도 전자원산지증명서(e-C/O) 국제표준으로 필리핀 등과 EODES를 구축, 한-아세안 e-C/O체인을 완성하고, GCC(‘23.12 타결) 등에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숨겨진 FTA 활용 기회를 적극 발굴, 지원하여 수출동력을 확보한다는 전략하에, 한류 접목 수출 유망품목 지원을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다. 이에 따라 화장품과 농축수산물의 원산지 증명 절차 간소화로 입증
대한화장품협회 창립 80주년 & 화장품 수출 60년, 화장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 기념식이 대한화장품협회 주최로 11일 롯데호텔(서울) 사파이어볼룸에서 열렸다. 이날 기념식에는 대한화장품협회 서경배 회장이 호스트로, △ 국회K-뷰티포럼 회장 김원이 의원 △ 식품의약품안전처 오유경 처장 △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 △ 식약처 신준수 바이오생약국장 △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조신행 원장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홍현우 기획이사 △ 대한화장품학회 황재성 회장 △ 여성단체협의회 허명 회장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남인숙 회장 △ LG생활건강 최남수 상무 △ 한국콜마 최현규 대표 △ 코스메카코리아 조임래 회장 △ 엘앤피코스메틱 권오섭 회장 등 산·관·학·연·소비자 단체 관계자들이 참석, 축하했다. 협회는 ‘세계를 빛나게 하는 K-코스메틱’을 슬로건으로 산업계 유공자 포상 및 세리머니를 통해, 새로운 도약을 다짐한다고 밝혔다. 서경배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올해 우리 협회가 창립 8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다. 지난 80년 동안 업계 여러분의 열정과 헌신이 있었기에 어려움을 극복하고 혁신을 거듭, 지난해 ‘대한민국 화장품 수출 100억 달러’라는 큰 이정표를
아모레퍼시픽이 4분기 매출 17.9%, 영업이익 165% 증가하며 반등의 기틀을 다졌다. 이른바 취임 3년차를 맞은 김승환 대표의 ‘ROE 기반’ 수익성 성장전략이 향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6일 아모레퍼시픽은 ‘24년 매출 3조 8851억원(+5.7%) 영업이익 2205억원(+103.8%)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24년 아모레퍼시픽의 매출은 상저하고(上底下高) 모양새다. 1분기 9115억원(-0.2%) → 2분기 9048억원(-4.3%) → 3분기 9772억원(+9.9%) → 4분기 1조1794억원(+15.9%)로 4분기에 1조원대 매출을 돌파하면서 매출 성장이 영업이익을 끌어올렸다. 물론 구조조정과 브랜드 재정비, 유통채널 다변화, 미·일 등 해외진출 성과 등 다각적 노력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아모레퍼시픽 김승환 대표는 지난해 11월 “ROE 상승으로 성장 모멘텀 확보에 목표를 두겠다”는 ’25년의 성장전략을 천명한 바 있다. 매출 성장에 힘입어 영업이익도 1분기 727억원(+12.9%) → 2분기 42억원(-29.5%) → 3분기 652억원(+277.7%) → 4분기 790억원(+164.7%)로 J커브를 그렸다. 이에 대해 아모레퍼시픽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