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글로벌㈜(대표 이종현)의 비건&클린뷰티 브랜드 닥터올가(Dr. Orga)가 미국 코스트코(Costco) 온라인몰에 공식 입점하며, 글로벌 실적 확대 기대감을 높였다. 이번 입점은 미국 코스트코 측이 직접 브랜드를 선택해 제안을 해왔고, 짧은 기간 내 입점을 마무리 지은 것으로 알려졌다. 닥터올가는 자사 제품력이 글로벌 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제품의 성분 안전성과 우수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후문이다. 코스트코 입점 제품은 닥터올가의 대표인 ‘어성초 페이스 & 바디 레드스팟 미스트’다. 해당 제품은 2022년 화해 뷰티 어워드 바디미스트 부문 1위, 2023년 얼루어 베스트 오브 뷰티 클린 어워드를 수상하며 제품력을 입증받았다. 2025년 8월 초, 미국 코스트코 온라인몰을 통해 공식 론칭된다. 닥터올가는 2021년 이후 매년 캐나다 및 북미 클린뷰티 어워드 수상 등 해외에서 꾸준히 제품력을 입증해 왔다. 국내외에서 30회 이상 뷰티 어워드를 수상하며, K-뷰티 대표 비건&클린뷰티 브랜드로 명성을 쌓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한 뷰티 실천에도 앞장서고 있다. 산호초 보호를 위해 옥시벤
▷ 해외파견 (2025년 8월 1일부) ▲ 자카르타무역관장 박해열 ▲ 뉴욕무역관장 김락곤 ▲ 바르샤바무역관장 염승만 ▲ 암스테르담무역관장 조일규 ▲ 뭄바이무역관장 김준한 ▲ 쿠웨이트무역관장 강신학 ▲ 부쿠레슈티무역관장 윤정혁 ▲ 리야드무역관장 채희광 ▲ 무스카트무역관장 김성재 ▲ 도쿄무역관 해외IT지원센터운영팀장 홍석균 ▲ 프라하무역관장 이인규 ▲ 시카고무역관장 이정훈 ▲ 밀라노무역관장 김호준 ▲ 밴쿠버무역관장 김재우 ▲ 쿠알라룸푸르무역관장 문진욱 ▲ 첸나이무역관장 최명례 ▲ 보고타무역관장 성기주 ▲ 아테네무역관장 민유지 ▲ 워싱턴D.C.무역관 홍용택 ▲ 충칭무역관장 정진우 ▲ 모스크바무역관 부관장 홍승아 ▲ 민스크무역관장 박건원 ▲ 카사블랑카무역관장 염기혁 ▲ 콜롬보무역관장 공태원 ▲ 시안무역관장 이형직 ▲ 베이징무역관 부관장 이대용 ▲ 창춘무역관장 고성호▲ 카라치무역관장 황성운 ▷ 해외파견 (2025년 12월 1일부) ▲후쿠오카무역관장 박영환 ▷ 국내 보임 (2025년 8월 1일부) ▲ 글로벌공급망실장 고상영 ▲ 무역투자정보실장 전우형 ▲ 정보화혁신실장 빈준화 ▲ 글로벌인재실장 은지환 ▲ 투자기획실장 이정훈 ▲ 홍보실
로레알코리아는 신임 대표이사에 로드리고 피자로(Rodrigo PIZARRO)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로드리고 피자로 신임 대표이사는 총 32년간 로레알 그룹 내에서 다양한 리더십 역할을 수행해 온 화장품 업계의 베테랑 경영인이다. 1993년 로레알 포르투갈 입사 후, 로레알 그룹 내 유럽, 남아메리카, 아시아태평양 등 다양한 시장에서 탁월한 비즈니스 실적을 거둔 핵심 인물이다. 로드리고 피자로 대표이사는 베네수엘라, 헝가리 등에서 컨슈머 뷰티 사업부(CPD) 총괄직을 거쳤으며, 베네수엘라, 포르투갈, 호주 및 뉴질랜드의 지사장직을 역임했다. 로레알 호주와 뉴질랜드 지사장 당시, 조직 전반의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분석 혁신을 주도했으며, 데이터와 AI를 기반으로 새로운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 전례 없는 성장을 기록한 바 있다. 2023년에는 로레알 그룹 남아시아 태평양, 중동 및 북아프리카(SAPMENA) 지역의 최고 트랜스포메이션 책임자(Chief Transformation Officer)로서 커머셜, 마케팅, 오퍼레이션 전반에 걸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구조를 강화해 로레알 SAPMENA 지역의 비약적 발전에 기여했다. 로레알코리아 대표이사로 임명된
구다이글로벌은 크레이버코퍼레이션의 신임 대표로 전항일 전 G마켓 대표를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글로벌 뷰티 유통 플랫폼 경쟁력 강화와 K-뷰티 생태계 확장 가속화를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전항일 대표는 이베이재팬 대표 역임 시 K-뷰티를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며 3년간 일본사업을 4배 성장시켰다. 신세계그룹 통합 멤버십 ‘신세계 유니버스’ 론칭, G마켓의 초개인화 서비스 도입 등 이커머스 혁신 프로젝트를 주도해 온 플랫폼 전문가다. 앞으로 크레이버의 플랫폼 고도화(우마 사업부)와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스킨1004 사업부)을 이끌 예정이다. 뷰티 브랜드 스킨천사는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라인을 앞세워 미국 아마존 선케어 카테고리 상위권에 오르며 글로벌 베스트셀러로 성장했다. 2024년 2800억 원 이상의 매출, 150여 개국 진출을 기록하며 K-뷰티 글로벌 확산을 주도하고 있다. 우마(UMMA)는 국내 180여 개 화장품 브랜드를 글로벌 바이어에 공급하는 온라인 뷰티 B2B 플랫폼으로, 현지 물류 거점을 기반으로 한 빠른 배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앞으로 브랜드 입점 확대, 물류·운영 혁신을 통해 글로벌 뷰티 커머스 허브로의 도약을 가속화할
총체적 난국이다. LG생활건강의 2분기 성적표는 한때 LG그룹의 대장주였던 사실이 믿기지 않을 정도다. 화장품 사업 매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영업이익마저 적자 전환함으로써, 업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화장품(beauty) 사업의 2분기 매출은 6046억원으로 전년 대비 19.4%나 급감했다. 영업이익은 -163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그룹 실적을 견인하는 화장품사업의 부진은 이정애 대표가 취임이후 10분기 중 3분기를 제외하고 매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화장품 사업 매출은 7409억원(+5.6%, ‘24. 1Q) → 7596억원(-2.7%, 2Q) → 6506억원(-2.9%, 3Q) → 6994억원(+5.4%, 4Q) → 7081억원(-3.4%, ‘25 1Q)이어 매출이 6천억대에 턱걸이 했다. 2분기가 성수기임에도 매출이 19.4%나 급감한 사실에서 LG생활건강의 경쟁력조차 시장의 믿음을 잃었다. LG생활건강은 “국내 H&B 숍과 북미 아마존, 일본 등 주력 채널은 고성장을 이어갔지만 전반적으로 시장 경쟁이 심화되면서 원가 부담이 확대됐다. 여기에 면세, 방판 등 전통 채널들의 사업구조를 재정비하면서 실적이 하락했다”라고 설명했다. 2분기 해
LG생활건강과 KCC실리콘은 자외선 차단 제품에 최적화된 실리콘 고분자 소재를 공동 연구하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LG생활건강은 이를 통해 개발한 실리콘 고분자 소재와 제형을 향후 출시하는 선(Sun) 케어 신제품에 적용할 계획이다. LG생활건강과 KCC실리콘은 지난 23일 서울 서초동 KCC본사에서 LG생활건강 강내규 CTO(최고기술책임자), KCC실리콘 송영근 대표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고효율 선케어용 실리콘 고분자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 협력 MOU’를 맺었다. KCC실리콘은 글로벌 실리콘 제조업체인 미국의 '모멘티브(Momentive)'를 인수한 ㈜KCC에서 물적 분할된 실리콘 전문회사로, 화장품용 실리콘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양사는 LG생활건강 뷰티연구소의 자외선 차단제 기술력과 KCC실리콘의 고순도 실리콘 기술력을 접목해 효율적인 차단 효과와 차별화된 사용감을 선사하는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기로 했다. 또한 선 케어 제형 개발 및 효율 평가를 함께 진행하는 등 연구 결과 교류 및 학술 활동 협력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아모레퍼시픽홀딩스가 7월 중순부터 이어진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지역사회를 돕기 위해 총 3억 원의 성금을 기부한다. 이번 기부금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재해구호협회에 전달되며, 충청∙전라∙경남 등 수해 피해 지역의 신속한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상목 아모레퍼시픽홀딩스 대표이사는 “갑작스러운 폭우로 삶의 터전을 잃은 분들에게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하며, 조속한 피해 복구와 이재민들의 일상 회복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아모레퍼시픽홀딩스는 지진, 산불, 집중호우 등 국내외 재난재해 발생 시마다 피해 복구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더마프로는 프랑스의 국제공인 비교숙련도 시험기관 BIPEA(Bureau Interprofessionnel d’Études Analytiques)가 주관한 ‘2024-2025년 자외선차단제 국제비교숙련도 프로그램(Program 60: Sunscreen Products, in vivo SPF)에 참여해 ’Satisfactory' 결과를 받고 공식 인증서를 획득했다고 밝혔다. BIPEA는 프랑스에 본사를 둔 국제 공인 비교숙련도 시험기관으로, 50년 이상의 역사와 전 세계 130개국 이상에서 4,000개 이상의 실험실이 참여하는 비영리 조직이다. 비교숙련도 시험(PTS) 등 실험실 간 분석 능력을 비교하고 평가하는 프로그램을 220개 이상 운영한다. 또 실험실의 분석 정확도 향상가 품질 관리를 위한 기술적 조언을 제공한다. 시험 결과가 기준에 부합할 경우 ‘Satisfactory' 등급과 함께 인증서를 발급한다. 더마프로는 ‘sunscreen milk' 제품에 대해 국제 표준 ISO 24444:2019 기준으로 수행된 SPF 시험에서 평균 SPF 25.9~, z-score -0.65를 기록하며 ’Satisfactory' 등급으로 통과했다고 설명했다. 더마프로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