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전체기사 보기

1~11월 화장품 수출 94억달러... ‘21년(92억) 추월, '100억달러' 돌파 코앞

11월 19.2%↑... 18개월째 증가세로 3년 만에 화장품 수출 신기록 경신

11월 화장품 수출이 9.2억달러(+19.4%)를 기록하며 18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이로써 1~11월 누계 수출액은 93.7억달러로 ‘21년(91.8억달러) 실적을 훌쩍 뛰어넘는 역대 신기록이다. ’24년 ‘화장품 수출 100억달러 달성’은 무난해 보인다. 11월 수출 호조 요인으로는 △ 중국의 솽스이(11·11) △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 일본 메가와리 등 할인행사에서 K-인디 브랜드 선전 때문으로 파악된다. 솽스이에선 LG생활건강 더후가 더우인 기초화장품 판매액 5위, 콰이쇼 전체 1위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물론 티몰, 징둥 순위 20위권에 한국 브랜드는 없지만 그나마 성과라고 할만하다. 스킨1004는 중국 시장 월 매출이 19억원 돌파하며 진출 이래 최대 실적을 기록 중이라고 전했다. LG생활건강은 일본 큐텐 11월 메가와리에서도 전년 대비 매출이 292% 증가했다. 더샘은 도쿄 시부야에서 팝업스토어를 오픈했다. 한국은 일본 수입시장 1위를 수성 중이다. 조선미녀는 LA에서 ‘RICE WONDERLAND’ 팝업스토어를 오픈했다. 인디브랜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했던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이 점차 가시적 성과를 올리고 있어 주목된다. 둘째, 대

스킨1004, 멕시코·칠레·아르헨티나 등 남미 시장 진출

현지 온·오프라인 매장 입점…글로벌 K뷰티 대표 브랜드로 우뚝 설 것

원료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스킨1004가 남미 시장 진출 확대에 나섰다. 실제 하반기 남미권 틱톡 인플루언서와 협업한 브랜드 영상이 2400만 회의 높은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남미권 자사몰 매출이 월 평균 200%가량 상승하는 등 실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동시에 현지 주요 오프라인 드럭스토어 및 리테일 입점을 통해 브랜드 접근성을 확보하여 매출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스킨1004는 오는 12월까지 멕시코 최대 드럭스토어 ‘파르마시아스 델 아호로(Farmacias del Ahorro)’의 400개 매장 입점을 확정 지었다. 멕시코 대표 백화점 ‘리버풀(Liverpool)’ 13개 매장 입점도 완료했으며 내년 4월까지 4개 매장에 추가 입점한다. 멕시코 ‘GNC’ 30개 매장에는 스킨케어 브랜드 최초로 입점에 성공했다. 칠레 최대 규모 리테일 스토어인 ‘DBS’에는 기존 10개 매장에서 올해 32개 매장으로 입점을 확대했다. 지난 10월 DBS에서 진행한 뷰티 어워드에서 △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앰플 △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라이트 클렌징오일 △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토닝 토너 3개 제품이 각 카테고리에서 1등을 기록하며 브랜드 경쟁력을 입증했다. 올 11월부터는 크리

솽스이(11.11)에서 중국 소비자 이성소비에 中 이커머스 고전

해외 브랜드들 마케팅 강화로 화장품 순위 회복... K-뷰티의 특장점 살린 마케팅 펴야

중국 이커머스 시장의 움직임이 심상찮다. 가성비, 가심비 등 합리적인 소비를 앞세운 소비자들에게 저가공세, 할인행사로 일관한 이커머스들이 완패한 모습이다. 이른바 미스매치다. 소비자들이 영리해지며 애국소비에 균열이 나타났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올해 솽스이(11.11, 双十一)에서 주요 플랫폼 모두 매출이 증가했다고 발표했으나 구체적인 규모는 공개하지 않았다. 모든 플랫폼이 행사 시작일을 앞당기며 최장 기간 행사를 진행했다. 더우인은 35일로 전년 대비 12일 증가했으며 알리바바와 징둥도 각각 11일, 9일 늘어났다. 그럼에도 매출 비공개는 수년째 이어지며 성장성이 훼손됐음을 반증했다. 각 플랫폼이 발표한 실적을 살펴보면 △ 징둥(京东)은 1만 6,000개 브랜드의 거래액이 전년 동기대비 3배 이상 급증 △ 더우인(抖音)은 1만 8,000개 브랜드의 거래액이 2배 이상 성장 △티몰(天猫)은 373개 브랜드의 거래액이 1억 위안을 돌파했다고 서로 다른 숫자를 내보였다. (징둥 10/14~31, 더우인 10/18~20, 티몰 10/14~31) 중국 매체 보도에 따르면 징둥 플랫폼에서는 세탁건조기, 친환경 소재 전기밥솥 등 거래액이 4배 증가, 3,000개 가전·가

2025년 거시경제 트렌드... 첨단 산업, 인프라 투자, 양극화 소비

코트라, 우리 기업이 참고해야할 해외진출전략의 지침서... ‘2025 해외 10대 권역별 진출전략 보고서’ 발간

KOTRA(사장 강경성)는 28일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정보를 총망라한 ‘2025년 해외 10대 권역별 진출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10대 권역은 북미, 유럽, 중국, 일본, 동남아대양주, 서남아, 중남미, CIS, 중동, 아프리카 등이다. 이번 보고서는 전 세계 84개국 129개 무역관이 입수한 현장의 생생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다. KOTRA가 제시한 2025년 이슈는 주요국의 ▲ 첨단 산업 육성책 ▲ 인프라 투자 ▲ 양극화된 소비시장이다. 먼저 첨단 산업은 주요국 간 자력갱생과 각자도생 속 협력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중국 등은 자립형 공급망 구축과 생산성 향상을 최우선 과제로 두고 AI, 양자 컴퓨팅 등 첨단 산업 중심의 육성책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동남아, 중동, CIS 등에서도 새로운 제조업 투자가 가속화 되고, 가치 사슬이 새롭게 생겨나며 이에 따른 기술 협력 수요도 급증할 전망이다. 둘째, 인프라에선 기후변화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한 각국의 정책에 주목해야 한다. 미국 新정부가 화석연료에의 투자를 강조한 가운데, EU를 중심으로 동남아, 중남미, 중동, 아프리카 등에서의 친환경 에너지 육성책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크

한류 회원 3800만명, ‘중남미 5개국’ 화장품 수출 SWOT 전략은?

코트라, 5개국 거점 진출 통해 역내 무역동맹으로 확산되는 수출 창출 효과 높다고 분석

한류 인기에 힘입어 중남미에서 한국 화장품이 연평균 33.4%씩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최대 소비재 수출국인 멕시코를 비롯한 주요 5개국의 화장품 시장을 분석한 보고서가 발간됐다. (KOTRA, ‘중남미 소비재 5개국 화장품·식품 시장 동향 및 진출방안’ 첨부파일 참고) 14일 코트라에 따르면 한류와 직접 연관 있는 소비재의 중남미 수출은 ‘23년 2.2억달러 규모로 ’20년부터 연평균 약 21% 증가했다. 특히 화장품은 꾸준한 관심과 인기에 힘입어 ‘20~’23년 연평균 33.4%씩 성장했다. 그 배경엔 K-팝, K-드라마 등의 한류 확산과 한류 동호회 회원의 증가에 힘입은 바 크다. 전세계 한류 회원 수는 1.8억(’22) → 2.2억명(’23)으로 26%가량 증가한 데 비해 중남미의 경우 270%로 대폭 증가함과 동시에 각종 한국 소비재 수출 또한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이커머스 성장 속 디지털에 익숙한 MZ세대가 소비 주류로 떠오르고, SNS 보편화로 한류를 접하지 못한 소비자도 한국산 제품에 대한 간접 경험 공유가 가능해졌다는 점이 꼽힌다. 보고서는 중남미 소비재 5개국(멕시코·과테말라·페루·아르헨티나·에콰도르)의 화장품 시장

‘2024 코스모프로프 홍콩’ 개막... “K-뷰티에서 소싱하세요”

전세계 47개국 2562개사 참가... 코트라·대한화장품협회 한국공동관 155개사 등 한국기업 500개 참여

코스모프로프 아시아 홍콩(2024 Cosmoprof Asia, 11.13~15)이 완차이 HKCEC(홍콩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막됐다. 참가기업 47개국 2562개사 가운데 한국 기업은 500개사 참여가 확인된다. 전체 전시 부스의 20%에 해당될 정도로 K-뷰티로선 전세계에서 몰려온 바이어를 만날 수 있는 소싱 시장이다. 코트라는 이번 전시회에 대한화장품협회 등 6개 기관과 함께 통합 한국관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작년 대비 50% 이상 증가한 155개사로 구성했다는 소식이다. 주요 카테고리는 스킨케어 및 피부관리기기 등 다양한 K-뷰티 제품을 전시한다. 코트라는 사전 참가 준비 단계~사후 관리까지 체계적으로 지원했다고 소개했다. 사전 단계에서 △ 바이코리아(온라인 플랫폼) 내 온라인 한국관을 개설 홍보 △ SNS와 검색엔진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을 통해 국내 기업과 협업을 희망하는 바이어 발굴로 사전 매칭 등을 진행했다. 또한 개막 하루 전인 12일 주홍콩총영사관과 공동으로 참가기업 대상 ‘홍콩 화장품 시장 진출 전략 설명회를 개최했다. 설명회에선 전시 주최사인 인포 마켓(Informa Market),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

‘할랄 화장품’ 81개국... 수출다변화 신흥시장으로 주목

인도네시아·사우디아라비아, 할랄 화장품 중심 국가 목표... 무슬림 인구 증가, 웰빙과 건강 인식으로 60조원(‘28) 성장 전망

‘할랄’은 무슬림뿐만 아니라 비무슬림에게도 안전하고 건강하다는 인식을 준다. 실제 신뢰에 기반해 할랄 인증을 받은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인도네시아 등 K-뷰티 수출이 증가하는 신흥국(중동, GCC, 인도네시아, 말레시이사 등)에서 뚜렷하다. 글로벌 이슬람 경제지표(Global Islamic Economy Indicator, GIEI)는 81개국을 대상으로 할랄식품, 이슬람 금융, 할랄 제약 및 화장품 등을 평가하는 지표다. 1위는 말레이시아이며,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UAE) 순이다. 1~10위 국가 모두 K-뷰티 수출다변화의 신흥국 시장으로 주목된다. 이중 시장 규모나 한국과의 관계에서 관심이 쏠리는 시장이 인도네시아와 사우디아라비아다. 할랄 화장품은 이슬람 율법(샤리아)에 따라 생산, 가공, 패키징되는 화장품을 의미한다. '할랄'이란 아랍어로 '허용된'을 의미하는 단어다. 할랄 화장품은 무슬림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인증받은 제품을 지칭한다. 할랄 화장품의 주요 특징은 ➊ 원료: 할랄 화장품에 사용되는 모든 원료는 샤리아 법에 의해 금지된 성분(돼지 유래 성분 등)을 포함해서는

사우디아라비아에 K-화장품(뷰티) 시찰단 파견

중소벤처기업부+코비타(KOBITA), 화장품·미용의료기기 등 19개사로 전시‧홍보관 운영... B2B 상담, 현지기관 방문 통해 현지 네트워크 구축 지원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벤처기업의 현지 인지도 확보 및 중동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K-화장품(뷰티) 혁신사절단’을 사우디아라비아에 파견했다. 지난 8월 베트남 파견에 이어 두 번째다. 이번 사절단은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인 화장품 분야로 집중하여 혁신사절단을 구성하였다. 이번 사절단 파견은 지난 7월 오영주 장관과 사우디 상무부 장관과의 양자면담 시 에이만 알 무타이리(Eiman AlMutairi) 차관이, ‘K-화장품(뷰티)’ 인기를 언급하며, 11월의 ‘BIBAN 2024’ 행사에 한국의 뷰티 중소기업들이 사우디에 와주기를 희망한다고 밝힘에 따라 이뤄졌다. 이에 따라 11월 5~9일까지 총 5일간 ‘BIBAN 2024’ 행사장 내 K-화장품(뷰티) 전시‧홍보관이 설치됐다. 한국뷰티산업무역협회(KOBITA) 김성수 회장은 현지에서 사절단과 함께하며, 한국관을 구성, 운영했다. 이번 전시홍보관에는 관람객들이 우리 기업 제품을 직접 사용하고 체험할 수 있는 오픈형 화장품(뷰티) 체험 공간을 선보였다. ‘체험행사(메이크업쇼)’, 현지 유명방송인(인플루언서)의 현장 스케치 등도 함께 진행하여 사우디아라비아에 K-화장품(뷰티)의 혁신성과 기술력을 알렸다. 젠스




포토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