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최대 규모의 뷰티 박람회로 손꼽히는 ‘2022 뷰티월드 미들이스트 두바이’가 두바이 월드 트레이드 센터에서 10월 31일 개막했다. 이번 전시회는 화장품은 물론 성형외과·스파·미용기기·헤어·네일 등 다양한 뷰티 관련 제품이 선을 보이는 중동의 대표적인 박람회다. 한국관의 주관사인 코이코(KOECO)에 따르면 각 지방자치단체사(주관 한국무역협회)와 협약을 맺고 공동관을 개관했으며, 큰 손으로 떠오른 중동 바이어 및 전세계 관계자와 상담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참가 지자체는 경기·충북·전남·전북 무역협회 등이며 개별 기업 참가 업체 20여개사 등 모두 55개사가 참가해 K-뷰티의 경쟁력을 현장에서 선보였다. 주요 참가사 가운데 △스킨케어(셀트리온스킨큐어·엠엔비랩) △미용기기(BR팜·엠큐어) △헤어전문(TS트릴리온) 등 카테고리별로 현지 바이어와 수출상담을 진행하며 눈길을 끌었다. 중동의 화장품 시장은 코로나로 잠시 침체했다가 백신 승인을 시작으로 2021년부터 활기를 되찾고 있다는 게 현지 관계자의 말. 경제활동 및 사교모임이 점차 활발해지며 스킨케어와 색조화장품의 소비도 증가 추세다. UAE의 경우 색조시장은 전년 대비 11.4% 증가한 2억 6876만달러
‘코스모뷰티 말레이시아 2022’(COSMOBEAUTE MALAYSIA 2022)가 9월 28일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KLCC)에서 열렸다. 코로나 이후 첫 대면 박람회로 29개국에서 등록된 무역 관계자를 비롯 약 8천여 명의 방문객이 참가할 것이라고 주최사는 예상했다. 주최사인 Informa Markets Malaysia 국가 총괄 매니저인 Gerard Leeuwenburgh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2년의 공백 후 말레이시아에서 선도적인 뷰티박람회를 간절히 기다려 왔다. 이는 전세계 업계 관계자, 전문가, 기업 간 재연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에스테틱, 프로페셔널 뷰티, 화장품, 헤어, 할랄 뷰티, 네일, OEM/ODM을 포함한 다양한 뷰티 산업 포트폴리오의 300개 사가 참여했다. 참가국은 중국,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폴란드, 싱가포르, 대만, 태국 등 11개국이다. KOTRA와 함께 한국관을 준비한 코이코 김성수 대표는 “예전과 다르게 첫날임에도 한국관에 많은 바이어가 찾아와 상담이 이뤄지고 있음을 직접 보고 있다”라며 기대감을 전했다.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은 참고자료를 통해 “코
㈜네오팜(대표 김양수)의 브랜드 아토팜, 더마비, 리얼베리어가 일본 약국 체인 약 3,700여 개 매장에 입점한다. 아토팜은 ‘스기약국’ 1200여개 체인, 더마비는 ‘웰시아’ 1600개 점포, 리얼베리어는 앳코스메 하라주쿠점 등 대형 드럭스토어 체인 여러 곳에 제품을 선보인다. 먼저, 민감 피부 전문 스킨케어 브랜드 아토팜은 일본 대형 드럭 스토어 체인 ‘스기약국’ 입점을 통해 일본 약국 체인 스토어에 처음 입점한다. 현재 스기약국은 일본 시장 내 1,200여 개 점포를 운영 중이며, 일본의 대표적인 드럭스토어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아토팜은 9월 기준 스기약국 1,150개 매장에 MLE 크림, MLE 로션 등 베스트셀러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다. 아토팜은 ‘한국산업 브랜드파워(K-BPI)’ 민감성 스킨케어 부문 16년 연속 1위를 차지하는 등 국내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는 브랜드이다. 대표 제품 ‘MLE 크림’은 국내 최초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으로 식약처 인증을 완료한 피부장벽 기능성 고보습 크림이다. 생활 보습 바디 전문 브랜드 더마비는 자사 베스트셀러 ‘데일리 모이스처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등을
제1회 코스모프로프 아세안 방콕 뷰티박람회(Cosmoprof CBE Asean Bangkok)가 지난 15일 Impact Exibition Convention Centre Hall에서 3일간 개최됐다. 전신인 Beyond Beauty Bangkok(2019년 개최) 이후 3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선을 보여 글로벌 전시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전시 주최사는 볼로냐 피에르(Bologna Fiere), 인포마마켓(Informa Markets), 차이나뷰티엑스포(China Beauty Expo) 등 3사다. 올해 코스모프로프 방콕 뷰티박람회는 태국 포함 15개국 500개사가 참가했으며 1만여 명의 참관객이 방문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는 전언이다. 전시관 구성은 △스킨케어/헤어/네일/내추럴&오가닉 섹션별 완제품관 △OEM/용기/라벨/기계 등 생산·공급관으로 구분, 카테고리별 다양한 기업이 참가했다. 전년도 11개국 240여개사에 비해 규모가 커지면서 코로나 이후 아시아 화장품산업 변화에 높은 관심이 쏠렸음을 엿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선 한국관 주관사인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의 주관 하에 지자체 2곳을 비롯 개별참가사 등 총 36개사가 참가했다.
일본이 ‘차이나 플러스원’에 이은 ‘태국 플러스원’을 통해 아세안 내 타 국가로 생산 및 수출을 다양화하듯 우리나라도 ‘베트남 플러스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게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의 주장이다. (‘베트남+1, 말레이시아를 주목하라’) 화장품의 대 아세안 진출은 베트남에 편중되어 있다. 대한화장품협회 자료에 따르면 올해 1~7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은 △5위 베트남 2억달러 △8위 태국 8700만달러 △9위 싱가포르 6600만달러 △10위 말레이시아 6500만달러 △14위 필리핀 3400만달러 △15위 인도네시아 등이다. 베트남이 타 아세안 국가의 2.5배~7배에 달한다. 그러다보니 경쟁도 치열하고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베트남+1의 국가로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4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7호(말레이시아·필리핀)를 발간, 지역다변화 전략 자료를 공개했다. 말레이시아의 트렌드는 주 키워드-진정(calming), 연관 키워드-민감(sensitive)·병풀(centella asiatica)에서 보듯 민감성 피부 진정이다. 현지 설문조사에 의하면 말레이시아 여성들은 피부장벽, 건조, 자극, 거칠기, 당김 등의
한국콜마는 UAE BPC(United Arab Emirates Business Point Consultancy)에 화장품PB(Private Brand) 제품을 개발·공급한다고 밝혔다. 7일 UAE BPC 압둘라 알 마이니 회장(전 ESMA 청장), UAE BPC 아흐메드 알 알리 대표,(사)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윤주택 이사장 등은 한국콜마를 방문해 중동지역 PB제품 출시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서는 중동 및 북아프리카 화장품 시장 진출을 위한 세부 사항을 협의하고 출시 예정인 PB제품의 샘플 테스트를 진행했다. 한국콜마가 중동에 공급하는 제품은 더마화장품이다. 현지의 건조한 기후 환경 등을 고려해 수분 공급과 피부 장벽 강화에 중점을 두고 개발 중이다. 동물 유래 성분 제외를 포함한 할랄 인증 등 향후 UAE BPC 요청에 맞춰 제품을 공급할 계획이다. 앞서 한국콜마는 세종공장과 부천공장에 각각 기초, 색조화장품 생산을 위한 ‘할랄 보증 시스템’을 구축한 바 있다. UAE BPC는 UAE의 수출입 비즈니스 컨설팅 기관. UAE 인증제도 운영기관인 ESMA(표준인증청)에서 화장품을 포함한 여러 산업 분야의 육성을 위해 설립했다. UAE BPC 측은
인도는 중국을 대체할 수 있을까? 싱가포르는 아세안의 테스트 시장으로 K-뷰티에게 어떤 시사점을 줄까? 아시아 뷰티의 핵심 국가인 인도와 싱가포르 화장품시장의 최신 사정을 대한화장품산업 연구원을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인도·싱가포르 편)에서 엿볼 수 있다. 인도는 ‘그린 코스메틱’이, 싱가포르는 멀티 기능성 화장품에 소비자들이 주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에서 그린(green)은 깨끗한(clean), 유기농(organic)이 연관 키워드로 떠오른다. 고대 인도의 대체의학인 아유르베다(Ayurveda)의 영향으로 천연 성분에 친숙한데, 이를 친환경으로 확대해 ‘그린 코스메틱’ 콘셉트의 화장품이 많다. 여기에 원료·성분·처방·용기·포장 등에서 친환경 요소를 적용하는 제품에 소비자 관심이 높다. 다만 그린 워싱(green washing, 위장환경주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어 시장을 혼란스럽게 한다. 연구원은 “지속가능성, 윤리적 소비는 인도 소비자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며 그린 코스메틱, 크루얼티 프리(cruel free) 등이 대세로 자리를 잡았다”라며 “한국 브랜드는 이를 어필할 수 있는 글로벌 인증을 취득해 웹사이트, 패키징 등에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중동+아프리카 지역 최고·최대 규모의 ‘2022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뷰티 전시회’(Beautyworld Middle East 2022)가 오는 10월 31일~11월 3일 열린다. 이번 전시회는 여성 1인당 화장품 소비액이 월 334달러에 이르는 두바이에서 열려 중동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다. 특히 현지 여성 소비자들이 기존 보수성을 벗어나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은데다 K-POP 한류와 더불어 K-Beauty 인기도 급상승해 시장 잠재성이 높다. 전시회를 주관하는 IBITA(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 회장 윤주택)는 “2018년부터 UAE 정부와 IBITA 간 경제전략회의를 열고 MENA(중동·북아프리카) K-뷰티 수출 플랫폼 구축, 작년 11월 ‘Dubai IBITA BPC’를 설립했다”라며 “이런 긴밀한 협조 하에 국제관 주 출입구의 미국·유럽관 옆에 ‘한국관’을 마련해 바이어와의 접속 포인트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IBITA 한국관은 ‘2023 KOTRA 정부지원’으로 조기 확정된 전시회로 2022년도부터 참가사 대상으로 특별 지원이 제공된다. 즉 ▲현지에 세워진 IBITA BPC에서 한국 화장품기업을 위한 할랄인증 및 인허가, 라이선스 등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