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인터내셔날이 지난해 지분 100%를 인수한 비건 & 웰니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어뮤즈(AMUSE)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뷰티 부문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젊은 층을 사로잡은 뛰어난 제품력과 탄탄한 브랜딩, 트렌드를 이끌어 나가는 독창적인 기획력이 전세계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는 호평이다. 어뮤즈는 올해 2분기 매출 199억원과 영업이익 2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7.8%, 영업이익은 167% 증가한 수치다. 상반기 기준 매출 322억원(+26.8%), 영업이익 30억원(+57.9%)을 달성하며 브랜드 설립 이래 뛰어난 성과를 거뒀다. 한국 외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중인 일본에서는 유통망 확장과 함께 현지 시장에 특화된 제품들을 연이어 선보이며 매출이 54.8% 늘었다. 올해 초 일본 최대 규모의 드럭스토어 ‘마츠모토 키요시 그룹’에 입점을 시작했으며, 현재 일본 내 약 3천개 버라이어티숍 및 드럭스토어에 입점을 완료했다. 지난 6월에는 일본 도쿄 시부야에 위치한 ‘앳코스메(@COSME)’에서 태닝 헬로키티 콜라보 에디션 발매를 기념한 단독 팝업을 운영하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여기에 올해
글로벌 화장품OGM 전문기업 코스메카코리아(대표이사 조임래)가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617억원(+12.5%), 영업이익 230억원(+27.2%)을 기록했다고 11일 공시했다. 영업이익률은 14.2%였다. 전분기 대비 연결 매출 +36.6%, 영업이익 +87.3%로 2분기 연속 상승세다. 이에 따라 주식시장에선 ‘어닝 서프라이즈’라는 호평이다. 코스메카코리아는 “핵심 경쟁력인 OGM 모델이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한 결과로 분석된다”라며 “K-뷰티 인디브랜드사의 수출 확대, 한국·미국 법인 간 OGM 협력 시너지, 자동화 설비 도입에 따른 생산 효율성 향상, 매출 증가에 따른 영업 레버리지 효과 등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사업장 별로 한국법인은 매출 1,100억원(+16.2%)으로 전체 성장을 주도했다. K-뷰티 인디브랜드사의 수출 지역 확대, 고객 포트폴리오 다변화, 제품군 다양화가 매출 증가를 이끌었으며, 특히 색조 제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0.9% 늘었다. 기초 화장품 중심의 안정적인 매출 구성과 영업 레버리지 효과가 더해져 영업이익 138억원을 달성했다. 미국법인 잉글우드랩은 매출 575억원, 영업이익 10
에이피알이 화장품업종 시가총액 1위에 올라 화제다. 기존 빅2인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을 눌렀다는 의미도 있지만 ‘투자자들이 에이피알의 미래 성장성과 안정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투자자들이 시가총액이 큰 기업을 선호하는 이유도 안정성과 유동성이 높기 때문이다. 시가총액은 현재 주가×총 발생주식 수로 계산된다. 2분기 실적 발표가 이어지는 가운데 에이피알은 놀랄만한 실적을 기록하며 단숨에 시가총액 1위에 올랐다. 지난 6일 에이피알은 2분기 매출 3277억원, 영업이익 546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이 전년 대비 111%, 영업이익 202% 증가라는 초유의 호실적이다. 영업이익률도 25.8%를 기록 성장성도 돋보였다. 이로써 상반기 실적은 매출 5938억원, 영업이익 1391억원으로 집계됐다. ‘25년 매출 1조원 시대 개막은 ’따놓은 당상‘으로 여겨진다. 에이피알의 포트폴리오는 ▲ 화장품 및 뷰티 ▲ 뷰티 디바이스로 구분된다. 화장품 및 뷰티의 2분기 매출은 2270억원으로 작년에 비해 세 배나 증가했다. 대표 브랜드 메디큐브는 8월 1주차 Qoo10 순위에 3개 품목(1, 2, 10위)을 올렸다. 같은 기간 아마존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김용관)은 국내 자생식물인 보리밥나무가 모발 강화 핵심 세포인 모유두세포를 강화해 탈모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상록 활엽 덩굴나무인 보리밥나무는 해안 지대에서 잘 자라며, 작은 가지에 은백색과 연한 갈색의 비늘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방에서는 ‘동조(冬棗)’라는 한약재로 불리며 천식, 기침, 가래, 당뇨 등에 약재로 활용되어 왔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바이오소재연구소는 2022년부터 모발 건강에 효과적인 산림바이오자원을 찾기 위해 170여 종의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모유두세포 강화 효과가 가장 우수한 보리밥나무를 선별하였다. 모유두세포란 모낭의 기저부에 위치하며, 모발의 성장과 발달(생장주기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를 말한다.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10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모유두세포 활성이 150%, 30ug/ml에서는 175% 증가하는 등 모발 강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두세포 강화와 관련된 바이오마커 역시 처리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 무자극 등급을 받아 원료의 안전성을 확보했으며,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앰플 시
한류의 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한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은 7일 ‘2024 한류 생태계 연구’를 발간하고,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와 ‘팬덤과 안티팬덤 사이, 인도네시아의 한류 수용성 연구’ 2편을 소개했다. 먼저 2024년 한류로 인한 총수출액은 전년 대비 4.5% 증가한 151억 8,300만 달러로 최근의 증가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 보면, 한류로 인한 문화콘텐츠 상품 수출이 전년 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추정되고, 한류로 인한 소비재 및 관광 수출도 6.0% 증가했다. 2024년 한류로 인한 문화콘텐츠 상품 수출은 80억 1,800만 달러로 추정된다. ▲ 게임 49억 6,600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 음악이 16억 2,400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수출 증가율은 △ 음악이 73.0%로 가장 높았고, △ 만화(60.1%), △ 영화(17.4%)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중이 가장 큰 게임 수출 이 전년 대비 상당폭 하락했고, 방송, 애니메이션, 캐릭터, 출판 수출도 감소했다. 2024년 한류로 인한 소비재 및 관광 수출은 71억 6,500만 달러로 추정된다. 전년과 같이 ➊ 관광이 22억 8,7
대한화장품협회는 화장품 수출기업 대상 ‘최근 관세 및 외환신고시 유의사항 교육’에 대한 무료 웨비나를 오는 8월 19일(화, 14~16시) 개최한다. 주요 강의 내용은 ▲ B2C 수출입가격관리와 외환관리 ▲ 미국 B2B수출시 관세절감 방안 ▲ 시스템에 의한 수출외환관리 ▲ 외환검사대응방안 ▲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된다. 강사는 신한관세법인 서영진 부대표가 맡는다. 그는 관세청에서 24년 근무했으며, 현 사단법인 관세평가연구회 사무총괄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웨비나는 무료이며, 참가 신청은 오는 8월 15일까지이다. 사전 신청자에 한해 개최 1일 전에 URL 링크가 메일로 발송될 예정이다. (사전 등록 링크 : https://forms.gle/vauSJG8Tp8weRPZHA )
또 화장품의 부당광고 점검 결과가 발표됐다. 올해 식약처의 부당·허위·과대 광고 적발은 ➊ 모발 66건(6.21) ➋ 라방 10건(6.17) ➌ 피부과 추천 373건(5.24) ➍ 숏폼 73건(4.21) ➎ 화장품 둔갑 허위 144건(3.16) 등에 이어 여섯 번째다. 현행법 상 모든 책임은 화장품 책임판매업체에게 귀속되는 관계로 주의가 요구된다. 6일 식약처는 피부재생, 염증완화 등 화장품 부당광고 83건을 적발해 방통위에 접속 차단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의학적 효능·효과 등을 내세우는 화장품 부당광고를 주제로 온라인 상의 화장품 판매게시물을 점검한 결과 ‘화장품법 제13조’(부당한 표시·광고 행위 등의 금지) 위반에 대한 조치다. 이번 점검은 일부 업체가 화장품에 대해 피부 표피를 관통하고 진피층까지 도달해 의료시술과 유사한 효능·효과가 나타나는 것처럼 광고하는 등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거나 화장품의 범위를 벗어나는 부당한 표시·광고를 하고 있어, 이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적발된 광고들의 경우 ▲ 화장품을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광고(53건, 64%) ▲ 화장품 범위를 벗어나는 광고(25건, 30%) ▲
‘25년 상반기 보건산업 수출은 화장품, 의약품의 호조에 힘입어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산업은 ’25년 상반기 138억달러(+13.2%)로 우리나라 수출품목 8위에 랭크됐다. 상반기 수출액은 ▲ 화장품 55.1억달러(+14.9%) ▲ 의약품 53.8억 달러(+20.5%) ▲ 의료기기 29.1억 달러(△0.6%) 순이었다. 또 보건산업 품목 가운데 화장품의 경우 ▲ 수출 1위 기초화장품 41억달러 ▲ 3위 색조화장품 7.5억달러 ▲ 11위 인체세정용 2.7억달러 ▲ 13위 두발용 2.2억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최다 수출액을 기록한 화장품은 중국 둔화에도 미국, 일본 등 기초화장품 수출 확대로 역대 반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특징을 전했다. 이어 의약품은 바이오의약품이 미국, 유럽 호조로 최대 실적을 경신했으나, 의료기기는 임플란트 등 치과용품 실적 저하로 소폭 감소했다. 품목 유형별 수출 특징은 ➊ ‘기초화장용 제품류’(전체 화장품 수출의 약 74.6% 차지)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4.8% 증가한 41.1억 달러[반기 최대실적]를 기록했다. 미국(7.4억 달러, +16.4%), 홍콩(3.2억 달러,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소액면세 제도(DE MINIMIS)에 대한 면세 대우를 중단하는 행정명령에 7월 30일자(현지시간)로 서명함에 따라 전자상거래를 통한 화장품의 해외 역직구에도 상호관세 15%가 부과될 예정이다. 관세법인 세주 이재준 대표관세사는 “화장품의 경우 8월 7일부터 FTA 원산지 증명서 발급 시 FTA 세율+상호관세+추가 관세 방식으로 관세율이 적용된다. 이렇게 되면 화장품은 15%가 부과된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이 800달러 미만 소액 품목에 대한 면세 대우를 폐지함에 따라, 전 세계 국제우편발송물에 대한 관세가 8월 29일부터 적용된다. 관세율은 상호관세율로 우리나라는 15%가 부과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화장품의 상호관세율은 8월 7일부터 15%가 부과된다. 다만 8월 7일 이전 수출국에서 선적되어 10월 5일 전 미국에 도착하는 화장품은 10%가 적용된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7월 30일 ‘모든 국가에 대한 면세(DE MINIMIS) 대우 중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소액 면세제도(de minimis)는 미국이 800달러 이하 수입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하는 제도로 2016년부터 시행돼 왔다. 이에 따라 모든 운송업자는
올해 상반기 대형 유통업체(오프 13, 온 10)의 매출 동향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출은 0.1% 감소하고 온라인은 15.8% 증가해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프라인 매출의 마이너스 성장은 코로나 시기 ‘20년 상반기 이후 5년만이다. 이는 처음으로 온라인 매출이 오프라인을 넘어섰음을 뜻한다. ‘25년 상반기 오프라인 vs 온라인 매출 비중은 46.4% vs 53.6%였다. ’24년 상반기 오프(50.1%) vs 온(49.9%)에서 역전한 것이다. 이런 흐름은 화장품에서도 드러난다. 화장품 소매액은 △ 1/4분기 3조4440억원(-5.8%) △ 2/4분기 3조4478억원(-2.7%)으로 감소했으나 온라인 매출은 △ 1/4분기 +8.3% △ 2/4분기 +7.6%로 성장했다. 6월 화장품의 온라인 침투율은 41%로 역대 최고치다. 다만 올리브영, 다이소 등 옴니채널 운영으로 온라인이 절반을 넘어서는 시점은 대형 유통업체보다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1일 발표된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은 1조 1475억원으로 10.7% 증가했다. 8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가며 금액으로 1108억원 증가했다. 이중 모바일 비중은 77.7%였다. 한편
넥스트 더마 비건 코스메틱 토코보(TOCOBO)가 신라면세점과 롯데면세점 온라인몰에 신규 입점하며 면세 유통 채널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독창적인 브랜드 감성과 우수한 제품력으로 MZ 세대의 큰 호응을 얻고 있는 토코보는 지난해 신세계면세점 온라인몰 입점을 시작으로 인천국제공항 제2터미널 내 신세계면세점 오프라인 매장까지 전 제품 입점시켰다. 이어 올해 5월 신라면세점 온라인몰을 비롯해 롯데면세점 온라인몰에도 입점하며 국내 주요 면세점에 모두 진출, 국내 유통 채널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신라·롯데면세점 온라인몰을 통해 선보이는 제품은 선케어, 스킨케어, 메이크업까지 토코보의 주요 라인업을 아우른다. 대표 베스트셀러인 ‘바이오 워터리 선크림’ 및 ‘코튼 소프트 선스틱’, 진정 케어에 특화된 ‘시카 카밍 선세럼’ 및 ‘시카 쿨링 선스틱’ 등 선케어 라인을 비롯해 시카 성분이 함유된 ‘시카 카밍 토너’, ‘시카 파우더 워시’ 등 시카 스킨케어 라인까지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 시카 라인 제품군은 해외 고객은 물론 내국인 여행객들 사이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는 스킨케어 라인으로, 민감한 피부를 위한 진정 케어와 비건 포뮬러로 주목받고 있다. 신라
아모레퍼시픽의 정통 더마 브랜드 에스트라(AESTURA)가 현지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중국 시장에 공식 진출한다. 이번 진출은 중국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구매 선호 성향에 맞춰 티몰, 도우인, 징둥, VIP숍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 브랜드 공식몰을 순차적으로 오픈하며 본격적인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중국에서는 아토베리어365 크림을 비롯해 앰플, 로션, 세럼 등 아토베리어365 라인 전 제품을 선보인다. 특히 캡슐크림으로 알려진 아토베리어365 크림은 7초에 1개씩 팔리며, 누적 판매 700만 개 돌파 등 에스트라 대표 스테디셀러다. 에스트라 관계자는 "온라인 중심의 전략적 진출을 통해 중국 현지의 민감 피부 고객들을 더 가깝고 편리하게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더마 브랜드 에스트라가 피부 전문가와의 협업과 오랜 연구로 확고한 입지를 다져온 만큼 중국 시장에서도 좋은 반응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일본을 시작으로 베트남과 태국 등 아시아 진출에 이어 올해는 미국, 캐나다, 호주 등으로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며 K-뷰티를 대표하는 더마 브랜드로 확장 속도를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