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는 세계 1위의 뷰티 국가다. ‘20년 수출액이 148억달러(1위)로 3위 한국(75억달러)의 2배를 넘는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대 프랑스 수출액은 4770만달러로 수입액 3억7636만달러의 13%에 불과할 정도로 무역적자를 기록 중이다. 그만큼 연구와 클러스터에서 한·프 간 격차가 크며, 럭셔리·프리미엄 포지셔닝에서 K-뷰티에겐 넘사벽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K-뷰티가 프랑스 시장에 진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지난달 26일 열린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코트라 파리무역관이 공동 주최한 ‘프랑스 뷰티시장’ 웨비나는 이런 궁금증 해소에 도움을 줬다. (기사 작성=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번역본 제공) 첫 번째로 강의에 나선 로라 케플러 대표는 “한국의 대 EU 수출액은 ‘20년 1.6억달러인데 그중 프랑스 판매액이 35%를 차지한다. 프랑스 시장에서 K-뷰티 이미지는 ①하이테크&고성능 ②풍부한 천연성분(한방 등) ③높은 가성비 ④SNS에 공유하고 싶은 비주얼(스킨+엔터테이닝) ⑤고객의 요구에 발 빠르게 대응하는 신제품의 지속적인 론칭 등이다”라고 분석하고 “다만 여전히 K뷰티의 낮은 인지도와 복잡한 수입절차, 현지 도매상과의 경쟁 등으로 어려움은
프랑스 뷰티시장의 키워드는 ▲클린(Clean Beauty) ▲포용성(Inclusivity) ▲공유(Social Beauty) ▲맞춤화(Personalization)로 요약된다. 지난달 26일 열린 코트라 파리무역관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공동 주최한 ‘프랑스 뷰티시장’ 웨비나에서 프랑스 뷰티산업 컨설팅 기업 On the shelf 로라 케플러 대표의 발표 내용이다. 먼저 프랑스 시장은 천연성분과 유기농 제품 선호 추세가 뚜렷하다. 파라벤, SLS, 디메티콘과 같은 논란이 되는 원료 거부감이 크다. 이 때문에 화장품 성분 스캔용 앱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둘째 포용성 관점에서는 다양한 신체적 조건과 피부색에 대한 존중이 강화됐다. 홍보 및 테스트에서 중요한 포인트로 작용하고 있으며, 남녀 구분을 하지 않는 ‘젠더리스’ 상품도 늘어나는 추세다. 셋째 SNS 인플루언서 영향력이 커지고 공유하는 현상도 확인된다. 디지털 영향력이 커지면서 오프라인 매장에서도 디지털 체험을 제공하고 있는 추세다. 넷째 소비자들이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을 직접 만드는 ‘맞춤형’ 제품에 관심이 높았다. 화장품 기업들은 개인별 피부분석 시스템, AR 활용 등 경험을 제공하고 고객
28일 개막된 제53회 ‘2022 볼로냐 코스모프로프 전시회’(Bologna Cosmoprof 2022)에서 주목을 끈 K-뷰티 브랜드가 라라레서피(대표 안보라미)이다. 라라레서피의 슬로건은 “유니크와 친환경을 고려한 내추럴 코스메틱”이다. 비건(Vegan)·크루얼티 프리(Cruelty Free)·Unique Visual·Smile Effect·천연원료(Natural Ingredient)의 5요소를 레시피로 해서, ①안전한 성분 ②윤리 철학 ③감각적 디자인 ④즐거움 ⑤효능 등을 Z세대에게 소구한다. 볼로냐 현지에서 안보라미 대표는 “3년 만에 열린 박람회여서인지 첫날부터 관람객이 몰렸다. 중국이 빠진 가운데 전시장은 차분하면서 쾌적한 분위기다. 유럽 각국 바이어들을 비롯해 더글라스와 바이어스도르프(beiersdorf) 같은 대형 리테일 바이어도 K-뷰티관을 찾아와서 많은 관심을 보였다”라고 전했다. K-뷰티는 KOTRA와 IBITA가 마련한 공동 국가관 외에 별도의 2개관으로 분산 전시돼 한국 화장품기업의 높은 참가 열기를 감지할 수 있었다. 라라레서피는 이번 볼로냐 전시회에 제주유자 3종(클렌저·앰플·크림) 등을 선보였다. 안보라미 대표는 “유럽인들에겐 유
“코스메틱 트렌드는 모두 한국에서 온다. 한국관을 놓쳐서 안되며, 이를 거부할 수 없다.” 이는 볼로냐 투데이(Bologna Today) 4월 28일자에 게재된 기사의 일부다. 세계 3대 뷰티전시회 중 처음으로 열리는 ‘2022 볼로냐 코스모프로프 전시회’(Bologna Cosmoprof 2022)가 현지 시간 28일 개막했다. 공동으로 한국관을 운영하는 KOTRA와 IBITA(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는 “화장품·미용기기·네일·바디케어 등 다양한 우수제품을 선보여 K-뷰티 최신 트렌드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3년 만에 열린 대면 전시회에서 K-뷰티는 한국관 100여 개사 외에 개별 전시부스 등 모두 400여 개사가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현지에서도 K-뷰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는 전언이다. KOTRA는 한국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지난 21일 ‘유럽 유력 유통망 구매설명회’를 개최했었다. 아울러 전시기간에는 27개국에서 유망 바이어 200여 개사를 집중적으로 초청해 현장 상담을 진행한다. 또한 현장 방문이 어려운 바이어를 위해 개별 화상 상담회도 지원한다고 밝혔다. 관세청 발표에 따르면 2021년 유럽국가 중 아일랜드(257%) 스위스(364
프랑스 화장품시장 진출을 위한 웨비나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KOTRA 파리무역관 주관으로 4월 26일 웨비나로 진행된다. 프랑스에서 한국 화장품을 취급하는 마케터, 유통 바이어, 인플루언서가 직접 전해주는 생생한 현지 정보와 진출 팁, K-뷰티 현황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특히 실제 구매수요를 보유한 바이어의 B2B 요구사항 전달 및 현지화를 위한 뉴미디어 마케팅법도 제공된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참가신청은 올코스(www.allcos.biz) 내 교육세미나에서 하면 된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함에 따라 두 지역에 화장품을 수출하는 기업의 피해가 우려된다. 24일(현지시간)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에서의 특별군사작전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우크라이나는 전면전이 시작되었다며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에 대해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이유 없고 부당한 공격이라고 규탄하고 G7 화상회의 이후 동맹국과 러시아에 가혹한 제재를 가할 것을 강조했다. 이를 반영하듯 국제금융시장은 주요국 주가가 급락하는 등 동요했다고 국제금융센터(KCIF)는 전했다. 한편 국제무역통상연구원(IIT)에 따르면 러시아는 10위 교역대상국이며, ‘21년 대 러시아 화장품 수출액은 2억9천만달러(+19.2%), 전체 화장품 수출액 중 러시아 비중은 3.2%다. 러시아 교역 기업 중 화장품의 수출기업 수가 444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대 러시아 수출액 기준 6위다. 때문에 교역 차질이 예상된다.(’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현황 및 우리기업 영향‘에서 인용) IIT는 “2014년 서방의 대러 제재 당시 2015년 수출이 승용차(-62.1%), 칼라TV(-55.0%), 타이어(-55.7%) 등 주력 품목 수출이 큰 폭 감소한 바 있다”고 전했다. 당시
프랑스·영국·독일·미국·스페인 등 24개국 글로벌 코스메틱 클러스터 대표가 참가하는 ‘제1회 GCC·EU MISSION KOREA’가 2022년 5월 22~26일 코엑스에서 개최된다고 국제뷰티산업교역협회(IBITA, 회장 윤주택)가 밝혔다. 지난 2020년 GCC·EU 총회에서 IBITA가 유일한 한국대표부로 참여, 업무계약을 체결했으며, ‘2022년 한국형 미션코리아’ 대회 유치에 성공함으로써 K-코스메틱의 위상을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 IBITA 윤주택 회장은 GCC·EU 4개 위원회 리더로 구성된 이사로 참여 중이며, 각국의 네트워크를 조정하는 커뮤니케이션 위원회 위원이다. 윤 회장은 “2022년 ‘GCC·EU MISSION KOREA’ 행사 기간 중에는 BtoB 수출상담회, 화장품 산업체 직접 방문, 부처기관 방문 등 K-뷰티의 발전과 현황을 홍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준비 중에 있다”라며 “GCC·EU 한국대표본부인 IBITA가 유럽 24개국 수출 및 바이어 매칭, 투자 유치 프로그램을 마련해 K-뷰티의 우수 제품 수출과 아이디어 스타트업을 지원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GCC·EU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K-뷰티와 유럽형 맞춤 수
K-뷰티는 CIS 내에서 프랑스에 이어 2위 화장품 수입국이다. 올해 1~8월 누적 화장품 수출액을 보면 러시아(+24.7%) 우크라이나(+21.4%) 카자흐스탄(+136.2%) 키르기스스탄(+126.0%) 우즈베키스탄 (+766.4%) 등 CIS 전체는 +35%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게다가 우즈벡을 제외한 4개국은 20위권에 들어있을 정도로 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KOTRA는 신북방 중심인 CIS지역 최대 온라인유통망 와일드베리스(Wildberries)와 오존(OZON)과 연계한 ‘K-Lifestyle 판촉전’을 지난 11일부터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먼저 극동 러시아의 중심도시 블라디보스톡에서는 ‘K-Food & Beauty’를, 우즈베키스탄에서는 ‘K-소비재 SNS 수출 마케팅 행사’가 진행되고 11월부터는 카자흐스탄과 아제르바이잔에서 ‘K-뷰티 직판전’이 추진되는 등 CIS 전역에 K-소비재 붐을 일으킨다는 계획이다. 그 중 ‘K-lifestyle in CIS’(10.11~11.30)는 △CIS 지역 대형 온라인 유통망 협업 K-소비재(약 6000개 제품) 판촉전 △SNS 인플루언서 마케팅 △B2B 상담회 △웨비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