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전(‘17~’19)과 코로나 이후(‘20. 3분기~’21.2분기)를 비교한 상장 화장품 중소기업의 실적은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우리금융그룹 ESG·기업금융연구실의 ‘코로나 전후 상장 중소규모 기업 실적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매출 1천억원 미만인 기업을 대상으로 업종별로 반도체·장비, 헬스케어, 게임 등은 코로나 반사이익으로 가파르게 성장한 반면 화장품, 건설·건자재는 위축되면서 업종 간 실적 격차가 커졌다. 화장품은 2017년 이후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매출 부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코로나로 외출 자제와 외국인의 국내소비(K-뷰티)가 급감하면서 실적 악화 폭이 크게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코로나 전후 매출액 증가율은 ▲5.1%→▲13.4%, 영업이익률 ▲1.1%→▲10.5%로 실적이 하락했다. 상장 화장품 기업군의 ‘21 2분기 영업이익은 ▲7048억원으로 적자지속 상태였다. 이에 따라 경기소비재(화장품)의 부채비율은 74.8%(’19)→92.5%(‘21.2Q)로 악화됐다. 한편 정부는 다음 달부터 위드(with) 코로나로 단계적 일상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위드 코로나는 격리·확진자수 억제 위주에서 백신·치료제를 기반으로 치명
8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9170억원으로 전년 대비 15.2% 감소, 통계청 조사품목 23개 중 하락기준 꼴찌를 기록했다. 감소액도 1648억원에 달하면서 화장품업계의 불황이 깊어지고 있다. 2개월 연속 1조원대 밑을 기록, '20년 하반기보다 실적 감소폭이 커지면서 화장품의 내수 불황이 심화될 지 걱정스럽다. 8월 전체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5조 7690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8% 증가한 데 반해 화장품만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업계는 언택트(untact) 온택트(ontact) 소비품목으로 소비자 외면을 받는 게 아닌가 불안해하고 있다. 사실상 온라인 마케팅이 벽에 부닥친 느낌이라는 데 실무자들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업마다 마케팅비를 줄이고 있고 그러다 보니 매출 감소로 이어지면서 악순환 우려도 나오고 있다. 온라인 마케팅 대행사에서도 기업들이 긴축을 하면서 이렇다 할 마케팅 전략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귀띔도 들린다. 다만 8월 화장품의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5653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0.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1.6%로 처음으로 60%대를 돌파했다. 전체 온라인쇼핑 거
스트리트 컬처 브랜드 토니모리가 국내 대표 배달앱 ‘요기요’와 딜리버리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 협약식은 16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소재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 본사에서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 박해웅 플랫폼 사업본부 부사장, 토니모리 김철민 영업총괄 상무와 정경희 DT 총괄 상무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함께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앞으로 요기요 앱을 통해 ‘토니모리’가 매장에서 판매 중인 약 160여 종의 화장품을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다. 9월부터 토니모리의 대표 매장을 중심으로 ‘요기요’ 즉시 주문 배달 서비스 테스트 오픈을 시작하며, 순차적으로 전국 매장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토니모리 김철민 영업총괄 상무는 “코로나19로 인해 매장에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고객과 매장의 원활한 연결고리가 될 수 있도록 국내 대표 배달 앱 요기요와 전략적 업무 협약을 체결하게 되었다”라며, “앞으로도 토니모리는 고객들에게 만족스러운 구매 경험을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7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발목을 잡았다. 9월 3일 통계청의 ‘7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온라인 거래액은 982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6월)에 비해서도 5.5% 감소함에 따라 4개월째 이어지던 1조 원대 거래액이 무너졌다. 코로나 이전(‘19. 7월 9865억원)에 비해서도 0.5% 감소함에 따라 화장품의 온라인 마케팅이 이렇다 할 반전을 이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은 문화 및 레저서비스(-11%)와 함께 감소한 2대 품목이다. 도쿄올림픽 개최,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급증한 배달음식, 즉석식품 등은 그렇다 쳐도 의복, 가구, 스포츠·레저용품, 서적, 여행 및 교통서비스, 패션용품 및 액세서리 등 코로나로 어려움을 겪는 업종이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에 비하면 아쉬운 수치다. 화장품 온라인쇼핑은 1분기 –2.4%, 2분기 12.4%를 기록 중이다. 3월부터 반짝 회복되던 화장품 온라인 소비가 7월 하락세로 돌아서며 업계의 우려를 낳고 있다. 10월 백신 접종률 70%를 달성해도 델타에 이어 뮤 변이 등이 등장함에 따라 올해 화장품 소비 회복도 장담할 수 없게 됐
2분기 화장품 오프라인 소매 판매가 15.2% 증가하며 매출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있다. 대한상의 ’유통 인사이트‘ 2분기 동향에 따르면 “집콕 생활의 장기화로 인해 매출 하락세가 컸던 외출관련 품목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와 소비심리 회복으로 높은 매출 상승세를 보였다”라며 “화장품·의복(11.7%)·신발+가방(10.7%) 매출이 전년 동분기 대비 두 자릿수 증감률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화장품은 타 품목에 비해 매출 호조를 보였다. 다만 백신접종 확대에 따른 외부활동 증가로 4월에 높은 성장세를 보이던 매출은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5, 6월 상승세가 둔화됐다. 온라인도 2분기 화장품 매출 증가율 12.3%로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1분기(-3.2%)에 비해 15.5%p 증가한 수치다. 백신 접종 확대로 인한 소비심리 회복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소비자 심리지수 및 소매판매액은 주춤했다. 1월 상승 전환 후 꾸준히 오르던 소비자심리지수는 7월 델타변이 감염 확산으로 소매판매액 지수는 6월 103.2로 하락했다. 이 때문에 소매판매액은 온라인 매출 비중은 늘고(71.8→72.3%, 0.5%p↑), 오
화장품의 6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조386억원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이전(‘19)의 회복세를 4개월째 이어갔다. 3월 이후 1조원대 기록을 5개월째 유지 중이다. 하지만 전월(5월)에 비해서는 10.3% 감소,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4일 통계청의 ‘6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5424억원(+30.7%)으로 ‘19년(5697억원)을 하회하며 뷰티 앱을 통한 매출 회복세는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상반기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6조3095억원(+4.6%),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3조1628억원(+8.5%)을 각각 기록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코로나19 이전(’19)에 비해 9.3% 감소함에 따라 본격 회복세와는 아직 거리가 있다. 한편 2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 판매액은 1조 2038억원(-6.3%)이었다. 코로나19 이전(‘19)에 비해서는 5.5% 감소한 수치다. 이중 면세점을 통한 판매액은 9744억원이었다. 코로나19의 4차 대유행 및 중국의 자국내 면세점 확대 정책으로 인해 향후 전망은 불투명하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품목별로는 화장품이 9856억원
미국과 중국의 이커머스 시장은 같은 듯 다르고, 다른 듯 같다. 코로나19 이후 유통트렌드로 미국은 D2C가, 중국은 C2M이 주목받고 있다. 이커머스 시장에서 미국은 아마존, 중국은 알리바바가 압도적 1위. 그런데 쇼피파이(shopify)와 핀둬둬(拼多多)가 양강의 독점 구도를 깨뜨리며 공룡에 도전하고 있어 화제다. D2C는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모델로 ‘20년 매출 규모는 180억달러로 추산된다.(’21년 210억달러 전망) 미국 소비자들은 가격에 민감하고 가성비를 고려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 건강과 안전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stay at home 제품이 인기다. 코트라 뉴욕무역관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D2C 시장이 확대 중”이라고 전했다. D2C 시장의 강자는 아마존(연 매출 3500억달러). 이를 추격하는 쇼피파이는 온라인 쇼핑몰 개설 및 운영을 위한 기획·마케팅·주문처리·결제 등의 솔루션을 제공한다. 최근 구글과 반아마존 연합을 구축하며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그 결과 2020년 쇼피파이 이용 판매자들의 거래액은 1190억 달러로 전년 대비 96% 증가했다. 월마트·이베이를 제치고 아마존에 이은 미국 이커머스 분야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은 소비자들의 친환경 가치 소비를 돕고 프리미엄 브랜드를 체험하는 공간인 ‘엘 헤리티지 1947(L.Heritage 1947)’ 가로수길점을 오픈했다. ‘엘 헤리티지1947’ 가로수길점은 1947년부터 대한민국의 생활문화를 이끌어 온 LG생활건강의 헤어·바디·스킨 및 오랄케어 프리미엄 브랜드 제품의 편집 매장이다. ‘리필 스테이션’과 ‘체험존’으로 구성됐다. ‘빌려쓰는 지구 리필스테이션’은 지난 5월 오픈한 이마트 죽전점에 이어 두 번째로 선보이는 공간. ‘지구는 우리의 소유가 아니라 후손들로부터 빌린 것’이라는 슬로건 아래 샴푸와 바디워시의 내용물을 리필 용기에 소분 판매한다. 리필 스테이션의 용기는 코코넛 껍질을 사용, 플라스틱 사용량을 약 30% 절감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다. 라벨은 물에 쉽게 분리되는 ‘수(水) 분리 라벨’로 분리 배출하면 된다. 소비자로서는 원하는 만큼의 양만 구매할 수 있고 친환경에 참여하는 가치 소비를 경험할 수 있다. 체험존은 LG생활건강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닥터그루트, 벨먼, 피지오겔, 유시몰의 제품들을 직접 시향하고 경험할 수 있다. 다양한 향기 라인업을 가진 닥터그루트 애딕트’와 ‘벨먼’ 바디워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