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엔바오산포장재유한공사(乾宝三(上海)包裝材有限公司, TS packaging Co.,Ltd) 강민철 대표의 명함에는 ‘중·한 화장품포장전업합작상’으로 적혀 있다. 무엇을 하는 회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한·중 패키징 가치사슬의 미들맨이라는 소리다. 중국 화장품 가치사슬은 한국과 유사한 상태로 진화 중이다. 업스트림(원료=BASF, 華熙生物) → 미드스트림(OEM/ODM=코스맥스, 北鐘) → 다운스트림(브랜드, 유통=로레알, 시세이도, 逸仙电商, 上海家化)의 구조다. 강민철 대표는 “중국 브랜드들도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독특하고 창의적인 용기를 많이 찾는다. 패키징은 브랜드 BM과의 소통이 중요하다. 또 납기 속도를 중요시한다”고 말한다. 때문에 한국의 디자인이 신박하고 기능성이 향상된 고급용기라면 수요는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참고로 중국 파운드리는 브랜드가 승인한 원료 공급사로부터 구매 후 가공 및 생산한다. 포장재와 박스는 아웃소싱과 자체 생산으로 구분한다. 아웃소싱은 프로세스를 증가시키지만 비용을 줄인다. 액세서리가 많은 경우 한 제조사에서 모두 생산하는 비용에 비해 각 구성요소의 전문 제조사를 찾는 비용이 낮다. 때문에 제조사는 아웃소싱하고 책임만 지는
한국콜마는 3중 기능성 화장품 관련 연구논문이 SCI(과학기술논문 인용색인)급 학술지인 ‘국제 분자과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민눈양지꽃의 일종인 실버위드에서 뽑아낸 추출물(Potentilla anserine)은 티베트에선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쓰일 정도로 뛰어난 재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실버위드 추출물에 서방형 리포좀(Liposome·인공세포막)화 기술을 적용해 ‘주름·미백·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증 등의 개선’등 3중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했다. 서방형 리포좀화란 인공세포막에 둘러싸인 유효 성분이 피부 깊숙이 침투한 다음 오래 남아 있다가 서서히 방출되는 기술이다. 한국콜마는 인체적용 임상 시험을 통해 '아쿠아포린-3(Aquaporin-3)'이 활성화되면서 피부 보습 및 장벽 기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아쿠아포린-3은 수분과 글리세롤을 피부 표피층으로 옮겨주며 피부 보습에 관여한다. 또 피부장벽 강화 인자인 '필라그린(Filaggrin)'은 증가하고 헤모글로빈 수치는 감소해 가려움증이 개선되고 피부홍조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한국콜
유럽, 중국에 이어 미국이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CRA) 제정에 나서면서, 화장품 업계에서 해외인증 절차의 ‘합리화 요구’가 거세다. 해외 인증 절차에 따르기 위해선, 3자간 효율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즉 브랜드사는 유통과 마케팅에만 집중하고 싶어 한다. 제조사는 법규에 따른 통일된 서식 준비 시간을 줄이려고 한다. 인증대행사는 규제 서류의 법적·안전성자료 확보 검토 준비에 바쁘다. 각자의 사정이 이럴진대 효율적인 프로세스 수립이 요구된다. 대표적인 사례로 EU의 CPNP 등록의 경우 ‘브랜드사-제조사-등록(RP) 대행사’ 등 세 당사자들이 최소 4단계 이상의 업무 프로세스를 거쳐야 한다. 곧 ① 브랜드 기업 → 등록(RP) 대행사 업무 요청 ② 등록(RP) 대행사 → 브랜드 기업에 기본 서류 취합양식과 내용 전달 ③ 브랜드 기업 → 제조사에 ②항과 동일한 내용 요청 ④ 제조사 → 브랜드 기업에 해당 서류 제출 ⑤ 브랜드 기업 → 등록(RP) 대행사에 해당 서류 전달 등의 과정이 예외 없이 이뤄지고 있다. 이를 2단계로 축소함으로써 등록업무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물론 브랜드 기업과 제조사와의 기본 소통을 전제로 하고, 모든 업무
한국콜마가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던 자회사 '연우'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는 '포괄적 주식교환'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 중복 상장으로 인한 비효율적인 지배구조를 선진화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한경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라는 설명이다. 한국콜마는 19일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확정했다. 주식교환 예정일은 내년 2월 14일 예정이고, 교환비율은 1:0.2915837이다. 포괄적 주식교환은 회사간 주식교환계약을 통해 자회사 발행주식 총수를 모회사로 전부 이전하고, 자회사 주주들은 모회사의 신주를 배정받는 방식의 상법상 제도다. 이번 주식교환으로 한국콜마는 연우 보유 지분 55% 외 45%를 모두 확보한다. 주식 교환 반대주주 주식 매수 청구는 내년 1월 8일까지다. 주식교환이 마무리되면 거래소 협의에 따라 연우는 상장폐지 된다. 한편, 콜마그룹은 무상증자 및 자사주 매입 등으로 진정성 있는 주주가치 제고 실현에 나서고 있다. 한국콜마홀딩스는 지난 5일 보통주 1주당 신주1를 배정하는 100% 무상증자를 결정했다. 앞선 7월에 발표한 3개년 주주환원 정책 계획 이행의 일환이다. 이와 함께 지난 1월 537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한 데 이어 8월 발행주
한국콜마가 업계 최초로 금 나노 막대를 활용해 자외선과 근적외선을 동시에 차단하는 선케어제품 개발에 나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추진하는 ‘혁신성장 피부 건강 기반기술 개발 사업’의 선정 과제이기도 하다. 한국콜마는 금오공대 산학협력단과 손잡고 2025년 말까지 개발 일정을 잡았다. 금오공대 산학협력단은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금 나노막대 100nm(나노미터) 대용량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금 나노막대는 금(Gold)의 입자가 나노미터 크기로 만들어진 막대 형태의 물질로, 근적외선을 흡수해준다. 한국콜마는 금 나노막대를 소재로 활용하면 기존 근적외선 차단 제품과 비교해 실외에서 얼굴 온도를 약 2도(℃) 낮출 수 있다. 자외선만 차단하는 선케어 제품과 비교해서는 약 3.5도, 피부에 아무것도 바르지 않을 경우와 비교해서는 약 5도 가까이 낮출 수 있다고 한다. 태양열에서 파생된 근적외선은 피부의 온도를 높여 모공 확장, 피부건조증 등을 유발하는데, 피부온도를 낮추면 열로 인한 노화 현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콜마는 자외선뿐 아니라 열로 인한 노화까지 동시에 막는 선케어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4분기 화장품 제조사의 경기전망지수(BSI)는 97로 ‘우려’로 나타났다. BSI는 100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이하면 그 반대다. 다만 3분기 93에 비해 4p 상승하며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늘었다. 화장품은 전체 업종 평균을 넘어서며, 타 업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긍정’ 전망이 우세했다. 화장품 수출은 올해 상반기 +0.1%로 플러스 전환한 데 이어 7월 누적 0.7%로 상승 폭을 키우고 있다. 내수는 여전히 게 걸음으로 더딘 행보를 보이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전국 제조업체 2282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4분기 경기전망지수는 ‘84’로 부정 전망이 많아졌다. 지난 3분기 전망치 ‘91’보다도 7p 하락했다. 2분기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하락폭이 더 커지는 양상이다. 수출과 내수기업으로 나눠서 산출한 부문별 BSI 전망치도 내수(90→84), 수출(94→83) 각각 전분기 대비 6p, 11p의 큰 하락폭을 보였다. 대부분의 업종이 기준치(100) 이하로 집계돼 ‘부정적’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제약(108)과 배터리를 포함한 전기장비(104) 업종의 경우 기준치 100을 상회하면서 다음 분
한국콜마의 샴푸와 바디워시 제품이 환경부의 ‘프리미엄 환경표지인증’을 받았다. 이는 제품 생산 전 과정에서 오염물질 발생이 적은 상위 1%의 제품만이 해당된다. ‘상위 30%’ 기준보다 자원순환, 탄소저감 측면에서 환경성을 더 개선한 제품에 부여된다. 프리미엄 환경표지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 바이오매스(식물성 연료) 기반 계면활성제 70% 이상 사용 ▲ 모든 원료를 생분해성물질만 사용 ▲ 프리미엄 1차 포장재 사용 ▲ 포장용기 재사용(리필형) 제품 10% 생산 의무 등 네 가지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한국콜마가 국내 1호로 인증 받은 샴푸와 바디워시는 100% 바이오매스 기반 계면 활성제만 사용했고, 모든 원료는 생분해성 물질로 구성했다. 용기는 98.5%의 재활용 합성수지를 적용해 프리미엄 1차 포장재 기준을 충족했다. 한국콜마는 향후 화장 비누 등 다양한 세정용 화장품들의 친환경 프리미엄 환경표지 인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화장품 제조업체(C20423) 240개사를 대상으로 한 경영분석 결과 매출액 및 연구개발비가 동시 감소해 저조한 실적을 나타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2년도 경영기업 분석’ 결과 화장품업종의 매출액은 17.8조원으로 전년 대비 5% 감소했다. 총자산증가율도 1%로 보건산업 평균 12.3%에 크게 미달했다. 유형자산증가율도 5.2%로 저조했다. 연구개발비도 2907억원을 지출해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연구개발 집중도도 화장품은 1.6%에 불과해 제약(8.4%) 의료기기(4.9%) 보다 부진했다. 성장성 지표인 △ 매출액증가율 △ 총자산증가율 △ 유형자산증가율 △ 연구개발집중도 등에서 모두 부진하면서 화장품의 성장성이 크게 퇴색했다는 의미다.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액 영업 이익률도 8.2%에 불과해 보건산업 평균(12.8%)에도 못 미쳤다. 보건산업 중에는 의료기기가 22.9%로 호조를 보였다. 매출액 세전순이익률도 화장품은 4.6%로 보건산업 평균 11.2%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안정성을 나타내는 부채비율은 38.4%. 차입금 의존도는 10.2% 였다. 각각 보건산업 평균 48.9%, 10.3%에 비해 안정적으로 보이지만 대신 투자나 인력 충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