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뷰티의 미래는 ‘안전’과 ‘수출’에 달려 있다. 이는 주무부서인 보건복지부와 식약처의 정책 목표에도 담겨 있다. 그 관건은 CGMP 적합업소의 확충이었다. 하지만 중금속 화장품 파동을 일으킨 화성코스메틱이 불과 1년 전에 CGMP 인증을 받았다는 것만 봐도 문제는 분명하다.
인증 후 철저한 규정 준수와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우리나라 GMP 관리의 허점을 노출했다. ODM업체 전체의 신뢰는 물론 브랜드사의 막대한 피해가 우려돼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 자칫 해외 소비자까지 파급으로 K- 뷰티 위기로 치달을 수도 있다는 데 심각성이 크다.
#1. 한 ODM업체로 8개 브랜드사가 ‘중금속 화장품’ 오명
국내 1위 아모레퍼시픽이 ‘중금속 화장품’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물론 납품한 회사는 제조자개발생산(ODM) 업체인 화성코스메틱이다. ODM업체에만 제조·품질 관리를 맡기다보니 1개 ODM업체의 부실로 인해 8개 브랜드사가 반품, 회수 소동과 함께 이미지를 구겼다.
이는 1회성 파동에 그치는 게 아니라 브랜드사 이미지와 해외 수출 시에도 심각한 타격을 입힌다. 8개사(아모레퍼시픽·에뛰드하우스·CJ올리브영·난다·메이크힐 등) 모두 브랜드 파워와 품질 신뢰성에서 소비자의 믿음을 잃기 때문이다. 자칫 K-뷰티 전체가 해외 소비자에게 나쁜 인상을 줄 수도 있는 심각한 사안이다.
화성코스메틱은 1994년 설립된 이후 제2공장인 김포공장이 작년 2월 전 공정에 대해 119번째 GMP 적합업소 인증을 받았다. 1년도 안 됐는데도 GMP 제조·품질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은 것이다.
GMP 인증을 받은 사업장은 식약처의 정기 수거·검정과 감시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 인증마크로 인해 홍보·마케팅에도 도움이 된다.
업계 관계자는 “초창기에는 협회, 교수, 각 지역 생산업체 등이 모여 심사하다가 최근에는 식약처 주관으로 전문가를 구성해 엄격하게 이뤄지고 있다”며 “인증 절차의 철저함에 비해 인증 후 일상적인 관리가 되지 않은 게 이번 사태를 불러왔다”고 말했다. 또 “GMP 인증 3년, ISO 인증 2년마다 재검사 받아야 하며, 인증 비용 발생으로 인해 단계별·공장별로 진행하기도 한다”며 “GMP 규정 준수의 일상관리가 현장에서 습관화되어 있지 않은 게 문제”라고 그는 지적했다.
OEM/ODM업체에 제조를 의뢰하는 유통업체 K대표는 “인천에 가서, 이렇게 만들어달라고 하면 만들어 주는 곳이 세고 셌다”며, “품질과 관련 문제가 생기면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해결하면 된다는 게 업계 관행”이라고 전했다.
ODM은 OEM과 달리 제조판매자의 품질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래서 ODM 업체의 신뢰도가 중요하다. 하지만 글로벌 브랜드들은 자체 오딧(Audit)을 통해 철저한 제조·품질 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 브랜드사들도 의지와 관리 능력, 관행에 심각한 문제의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로레알과 ODM 계약을 맺은 씨앤씨인터내셔널(C&C International) 관계자는 “공장 신축 과정에서 로레알의 감사를 받았다. 설비는 물론 위생 청결상태, 종업원의 윤리의식까지 글로벌 오딧 기준으로 지어진 ‘최고의 시설’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고 소개했다. 또 “제조·품질 관리 측면에서 규정 준수는 물론 현장 실사, 연관 문서 요구에 맞추면서 세계무대에서도 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됐다”고 덧붙였다.
미국 뉴저지와 인천에 공장을 둔 잉글우드랩 관계자는 “30여 개의 글로벌 브랜드와 협업하면서 FDA 규정 보다 더 까다로운 게 글로벌 오딧이었다”며 “조직 및 인사, 건물 및 시설, 장비, 생산 및 공정 제어, 보관 및 배포, 기록 및 보고서 등 어느 하나 그냥 넘어가는 법이 없어 이를 임직원에게 교육, 일상화하는 게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브랜드사들은 제품 하나의 문제로 브랜드 이미지를 훼손하면 그 피해가 수천억, 수조원대로 확대되기 때문에 철저한 오딧 준수를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결국 ‘화장품 안전’을 위해 글로벌 브랜드들은 다 하는 업무를, 한국 ODM사나 브랜드사 모두 관행과 규정 준수 흉내만 냈다는 게 이번 ‘중금속 화장품’ 파동의 발단임이 드러났다. 덜컥 인증만 내주고 사후 관리는 소홀한 식약처도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