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 제1터미널 DF11 면세사업권 재입찰 결과 예측이 불투명해졌다.현재 인천공항 면세점운영 3사와 외국계 2사의 적극적인 대시가 예상돼서다.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5일 열린 입찰설명회에 DF11 운영을 중도 포기한 삼익을 포함 9개 기업이 참석했다.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만 운영할 수 있는 중소면세점 구역인 DF11은 삼익이 매출 하락으로 인한 임대료 부담으로 면세사업권을 반납한 곳. 5일 입찰설명회에 참여한 기업은 그랜드면세점, 듀프리토마스쥴리코리아, 부산면세점, 삼익, 시티, 엔타스, 케이박스, 탑시티, SM이다. 업계 관계자는 “DF11 입찰 참가신청은 8월 8일 오후 4시까지인데 얼마나 많은 기업이 참여할지가 관건”이라며 “많은 업체가 신청할수록 사업제안서와 가격입찰서를 제출하는 9일 막판까지 적정가격을 놓고 눈치싸움이 치열해지지 않겠나”고 내다봤다. 이번 재입찰의 과열 경쟁 포인트는 두 가지다. △현재 면세사업권 보유 업체 간 혈전 △외국계 면세점의 적극적 움직임으로 압축된다. 이번 중소면세점 입찰도 지난달 마무리된 ‘DF1·DF5’ 재입찰과 마찬가지로 중복 입찰이 허용된다. 즉, SM(DF9), 시티(DF10), 엔타스(DF12) 등의 참여가
입찰가가 낮았던 신라의 뒤집기 이변은 없었다. 관세청이 인천공항 제1터미널의 동편 화장품·향수(DF1) 면세 사업자로 신세계DF에 손들었다. 특히 DF5(패션·피혁)까지 복수 입찰에 성공한 신세계는 국내 면세점 2위 신라를 바짝 뒤쫓게 됐다. DF1과 DF5는 지난 2월 롯데면세점이 과도한 임대료를 이겨내지 못하고 면세사업권을 포기한 구역이다. 22일 관세청에 따르면 인천공항 제1터미널 DF1과 DF5 특허심사위원회에서 신세계DF와 호텔신라가 21일 맞붙었고, 신세계가 두 구역의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업계 관계자는 “당초 두 구역을 하나씩 나눠 면세 사업권을 배정할 것이라는 예상이 깨졌다”며 “DF1과 DF5 각각 560억원, 112억원 차이 난 입찰가가 승부를 가른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1000점 만점으로 진행된 평가에서 ‘운영인의 경영 능력(500점)’의 신세계 점수가 큰 폭 앞선 것으로 확인됐다. 이 부문의 입찰가 비중이 80%나 달해 결과에 영향이 컸다. 신세계는 이 부문에서 DF1, DF5 각각 473.55, 433.82를 받았다. 이에 비해 신라는 400점을 넘기지 못했다. DF1은 397.10, DF5는 373.1점 얻는 데 그쳤다.
“인천공항 면세점의 화장품 판매. 신라면세점이 싹쓸이할까?”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면세점 화장품·향수(DF1) 구역의 주인을 가리는 프리젠테이션이 30일 오후 5시경 끝난다. 초미의 관심사는 DF1의 면세사업권을 ‘누가’ 가져가느냐다. 신라면세점이 이 구역을 낙점받으면 인천공항 면세점에서 화장품 판매의 90% 이상 거머쥐게 된다. 인천공항에서 화장품의 패권을 차지하는 셈이다. 올해 1월 7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2017년 인천공항 면세점 매출은 21억달러(약 2조3313억원)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이중 화장품·향수 매출은 7억7400달러(38%)로 가장 많이 팔렸다. 인천공항 면세점 총 매출의 30% 이상을 신라면세점이 화장품으로 거둬간다는 의미다. 사실상 신라면세점의 화장품 독점이다. 특히 국내 면세점 순위의 판도 변화까지 예측된다. 이번 재입찰에서 DF1에 이어 DF5까지 신라면세점이 중복 사업자로 선정되면 국내 면세점의 1위 탈환도 가능할 전망이다. 지난해 말 면세점 시장 점유율은 롯데 41.9%, 신라 23.9%, 신세계 12.7%로 집계됐다. 재입찰 대상인 DF1과 DF5 2개 구역은 국내 면세점 시장의 7~8%에 달한다. 롯데와 신라의
롯데면세점이 반납한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T1) 화장품‧향수(DF1)사업장의 새 주인이 누가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번 입찰 참가를 노리는 업체에게 군침 도는 먹거리로 ‘화장품‧향수’ 구역이 꼽힌다. 이유는 면세점에서 높은 매출의 보증 수표가 ‘화장품’ 이기 때문이다. 인천공항공사에 따르면 화장품은 작년 인천공항 면세점 매출의 51%를 차지면서 효자 상품으로 등극했다. 또 일부 사업권 반납을 결정한 롯데면세점이 작년 4개 사업장에서 올린 매출은 약 1조1000억원. 이중 화장품‧향수가 48%로 절반에 가깝다. 과도한 임대료를 이겨내지 못한 롯데면세점이 2월 13일 주류‧담배(DF3)를 제외한 3개 사업권 포기를 결정함에 따라 인천공항공사는 ‘화장품‧향수’ 구역을 포함한 면세사업자 재입찰 공고를 앞두고 있다. 시기는 빠르면 이달 말이 될 전망이다. 지난 15일 인천공항공사는 정례 브리핑에서 “롯데면세점 후속 사업자 선정 입찰이 이달 말이나 4월 초 사이 진행될 것”이라며 “영업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조속히 사업자 선정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즉, 롯데면세점이 반납한 3개 사업권의 계약 해지 효력 시점인 7월 6일에 새 사업사의 승계를 맞추려면 적
“인천공항공사는 13년간 연속 흑자를 봤는데 입주한 대형 면세점은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공사 흑자의 대부분이 임대료 수익인데 너무 임대료에만 목매는 것 아니냐.” 면세점 업계가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임대료에 쏠린 수익률 높이기를 꼬집고 나섰다. “공사가 자신의 배불리기에만 급급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T1)의 임대료 할인율을 두고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면세사업자 간 갈등이 고조된 상황이다. 인천공항공사가 통보한 ‘T1 임대료 할인율 27.9% 동일 적용’에 면세사업자가 “인정할 수 없다”고 발끈해서다. 이미 지난달 13일 롯데는 화장품‧향수를 포함한 3개 사업권 포기를 결정했고, 신라와 신세계도 사업권 유지를 저울질 중이다. 면세점 측은 △‘제2터미널(T2) 개항’으로 면세품 구매 고객이 T1에서 30% 이상 이동했고 △‘금한령’으로 작년 중국인 고객이 절반 가까이 줄었으며 △T1 내 ‘면세점 위치’에 따라 구매 고객 비중이 다름에도 모든 면세점에 동일한 할인율 적용에 대한 문제점을 내세웠다. 그러나 면세사업자 불만의 속내는 다른데 있었다. “인천공항공사 최대 수익원인 면세점의 입장을 고려하기보다 수익률 추가 창출에만 매달려 있다”고 토
면세점 Top3 모두가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을 등지는 최악수가 터지기 직전이다. 지난해 인천공항 면세점효자 상품이었던 화장품의 관계자들도 긴장하기는 마찬가지다. 인천국제공항과 제1터미널(T1)에 입점한 ‘면세사업자’ 간 임대료 인하율 공방이 치열한 가운데 업계 2‧3위인 신라, 신세계면세점도 철수를 고민하고 있다. 이미 13일 롯데면세점은 화장품‧향수를 포함한 3개 존 철수를 결정했다. T1에서 면세점 Top3가 운영하는 화장품‧향수 구역은 신라면세점의 서편 ‘DF2 존’만 남은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반토막난 중국인 관광객 감소가 불씨였다면 인천공항의 일방적인 인하료 통보가 부채질했다”고 지적했다. 인천공항의 임대료 관련 고자세가 뜨거운 공방전으로 키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신라면세점과 신세계면세점은 철수하겠다는 공식 의사를 내비치진 않았다. 그러나 인천공항공사가 13일 “T1 면세점 임대료 인하율 27.9% 통일‘의 공문을 보내면서 결국 ’철거‘를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T1에 입점한 면세사업자 대부분은 “인천공항의 일방적인 통보에 배려는 전혀 없었다”고 꼬집었다. 지난 2015년 2월 T1 3기 사업자가 선정됐을 때 인천공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