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화장품시장 진출을 위한 웨비나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KOTRA 파리무역관 주관으로 4월 26일 웨비나로 진행된다. 프랑스에서 한국 화장품을 취급하는 마케터, 유통 바이어, 인플루언서가 직접 전해주는 생생한 현지 정보와 진출 팁, K-뷰티 현황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특히 실제 구매수요를 보유한 바이어의 B2B 요구사항 전달 및 현지화를 위한 뉴미디어 마케팅법도 제공된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참가신청은 올코스(www.allcos.biz) 내 교육세미나에서 하면 된다.
LG생활건강(대표 차석용)이 미국 ㈜The Crème Shop(더크렘샵, 이하 크렘샵)의 지분 65%를 1억 2천만달러(한화 약 1,485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2012년에 설립된 크렘샵은 ‘K-뷰티와 현지 감성의 조화’라는 평가를 받은 브랜드로 기초 및 색조화장품과 뷰티 액세서리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며 높은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 MZ세대들의 K-뷰티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냄으로써 뷰티 매거진 ‘Marie Claire(마리 끌레르)’는 21년 말 ‘미국에서 사랑받는 Best K-Beauty 대표 브랜드’ 중 하나로 크렘샵을 선정했었다. “귀엽고 깜찍한 패키지 속에 깜짝 놀랄 뛰어난 제품이 담긴 브랜드”로 소개됐다. 이밖에도 allure(얼루어), BuzzFeed(버즈피드), Vogue(보그) 등 유명 잡지에 소개되며 K-뷰티 대표 브랜드로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크렘샵은 현지 고객들에 대한 높은 이해에 기반한 트렌드 센싱 역량으로 차별화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헬로키티, 디즈니, BT21 등 다양한 캐릭터와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한 재치 있고 트렌디한 제품들을 선보이며 활발한 SNS 마케팅을 펼쳐왔다. 인스타그램 등의 SNS를
베트남 소비자들도 앱(App)을 통해 피부를 측정하고 적합한 제품을 추천받는 맞춤형화장품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K-뷰티만의 베트남 화장품시장 진출 전략으로 주목된다. 20일 호치민에서 K-뷰티 전문매장 ‘C#Shop’을 운영하는 코스엔코비나(대표 조안나)는 피부진단 앱 ‘AHAS’(Always Helps Answer your Skin)를 정식 론칭하고 서비스에 들어갔다. (http://ahasvn.vn) 조안나 대표는 “한국화장품을 좋아하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더 편리하고 쉽게 스스로 자신의 피부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앱을 통해 스스로 아름다워지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게 하겠다”라며 론칭 의미를 강조했다. 피부진단 앱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서비스 정확도에 중점을 두고 7만 여개의 임상이미지를 머신러닝과 스캐닝 기술을 통해 분석한 데이터 기반이다. 한 장의 사진만으로도 자신의 피부 나이와 피부 상태를 진단받고 관련 케어 솔루션을 제공받게 된다. ‘AHAS’에 활용된 인공지능(AI) 시스템은 전송된 사진을 분석해 △주름 △치밀도 △색소침착 △수분 △여드름 △처짐 △홍조 △투명도 △모공 △다크서클 등 10가지 항목의 상세한 진단 결과와 피부나이, 점수를 보여
화장품 중소기업 수출이 3분기 연속 감소세다. 점유율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 시장에서의 고전이 가장 큰 원인이다. 이에 따라 화장품 중소기업의 체질 강화와 함께 수출다변화를 위한 업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분기 화장품 중소기업의 수출액(’21.1Q 12.3→’22.1Q 11.2억달러)은 중국향 수출이 부진하면서 전년 대비 1.1억달러(△9.0%) 감소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수출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은 ’21년 3분기부터 ① 최대 수출국인 중국 수출이 부진 ② 베트남에서의 기초화장품 위주 급감 ③ 홍콩의 경우 중국 소비시장 영향 등의 수출도 감소하면서 9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다”고 분석했다. 월별 수출액을 보면 ‘22년 1월 3.5억달러(△11.1%)→ 2월 3.5억달러(△1.9%) →3월 4.2억달러(△12.6%)로 감소세다. 국가별로는 ▲중국 3.5억달러(△24.8%) ▲미국 1.6억달러(12.9%) ▲일본 1.5억달러(5.0%) ▲베트남 0.7억달러(△18.0%) ▲러시아 0.6억달러(△14.9%) ▲홍콩 0.6억달러(△25.0%) 순이다. 먼저 중국에서의 중기 화장품 수출액은 8개월 연속 감소세다. 중소기업 화장품의 경우 중국 로컬브랜드와
미국은 항산화(antioxidant), 멕시코는 브라이트닝(brightening)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비타민C를 주성분으로 복합 처방한 제품이 인기를 모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이 15일 발간한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2호(미국·멕시코 편)에서 드러난 최신 미국과 멕시코의 화장품 트렌드다. 미국 시장 리포트에 따르면 스킨케어에서 항산화 성분이 인기다. 몸속 활성산소가 색소 침착·주름·탄력 저하 등의 피부 문제를 야기한다고 알려지면서, 식품에서 인기를 얻던 항산화가 화장품시장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뷰티 전문가들은 항산화 성분을 피부 속에 직접 넣어주면 활성산소에 바로 적용되어 훨씬 높은 피부 보호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조언한다. 또한 피부 톤을 밝게 만들어 줄 수 있어 젊은 소비자도 항산화 스킨케어에 관심을 갖고 있다. 시장조사 업체 마켓앤마켓(Markets and markets)의 2020년 글로벌 화장품 항산화제 시장 규모는 1억1900만달러(약 1958억원)로 추정된다. 북미시장은 고령화와 더불어 셀프케어에 대한 소비자 인식 증대로 향후 높은 성장이 전망된다는 분석이다. 항산화제는 합성물질보다 자연 원료에서 추출한 천연성
쫑차오(种草)→빠오콴(爆款). 인터넷 추천에서 히트상품 탄생을 일컫는 중국 온라인 채널에서의 성공 방정식이다. 즉 “중국 소비자 사이에서 좋은 제품이나 정보를 공유하고 추천하며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일명 쫑차오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중국에서 인기 있는 홍보 방법으로 제품을 구매한 후에는 ‘샤홍수(小红书)’에 추천하고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는 중국판 지식인 ‘즈후(知乎)에서 이용자 후기를 체크하는 것이 젊은 세대의 소비습관”이라는 설명이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1호에서 인용) 최근 쫑차오→빠오콴 전 과정을 단일 플랫폼에서 해결하는 더우인(抖音)에서 ’라이징(rising) 브랜드‘가 되려는 경쟁이 뜨겁다. ‘21년 중국 라이브커머스 시장 점유량 플랫폼 비교 조사에서 더우인(38.91%)은 타오바오(31.13%), 콰이쇼우(29.67%)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서며 지각변동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그 배경에는 유튜브와 같은 짤영상이 있다. 글(text)이 아닌 짧은 동영상(短視頻, shot clip, shot form)만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Z세대가 하루에 6시간 들여다보는 앱(App)이 더우인. 이곳에선 검색부터 구매, 후기까지 하
화장품 수출이 3개월째 역성장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3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의 3월 수출액은 7.12억달러로 전년 대비 16.5% 감소했다. 작년 3월의 기저 효과 외에 중국시장에서의 고전이 전체 실적 감소로 이어졌다. 사실 ‘21년 3월의 수출 실적은 사상 첫 8억달러 돌파 기록이며 10개월째 연속 증가세였다. 화장품 수출은 ’20년 6월 이후 ‘21년 12월까지 19개월째 증가세였으나 ’22년 1월부터 마이너스 로 돌아섰다. 화장품 수출의 정체는 중국 시장의 변화에 제때 대응을 못한 탓이 크다. 중국의 화장품 소비규모는 ‘21년 4337억위안(83조원)으로 중국 유통 소비재 중 점유율이 최초로 1%를 돌파했다.[2016~2021 기간 증가율 90%, 소비재 점유율 0.69%(’16)→1.08%(‘22 예측)] 국가통계국의 조사에서도 화장품 소비는 2.5%(’21.12월)→7.0%(‘22.1~2월)로 꾸준한 증가세다. 이렇듯 중국에서의 화장품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 중이며 발전 잠재력은 거대한 것으로 전망된다. (iiresearch 2021 중국화장품산업연구보고) 그럼에도 한국 화장품이 2022년 들어 고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현실적
KOTRA(사장 유정열)의 애틀랜타(Atlanta) 무역관 현지 시간 3월 31일 개설했다. 애틀란타 무역관은 조지아(Georgia), 플로리다(Florida), 사우스캐롤라이나(South Carolina), 앨라배마(Alabama) 등 미국 동남부 4개 주와 카리브 지역 일부를 관할한다. 이곳에서 한미 양국 간 산업협력 및 한국 기업의 현지 진출 지원 업무를 추진한다. 무역관 개관식에는 손수득 KOTRA 부사장을 비롯해 박윤주 주애틀랜타 총영사, 팻 윌슨(Mr. Pat Wilson) 조지아(Georgia)주 경제개발부 장관 등 현지 경제계 유력인사 30여 명이 참가했다. 개관식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방역 수칙을 엄격하게 준수한 상황에서 간소하게 진행됐다. 향후 애틀랜타무역관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 대응을 위해 양국간 물류 협력을 강화한다. 애틀랜타는 미국 물동량 4위의 서배너(Savannah) 항구와 UPS 본사가 소재하는 대표적인 물류 중심지다. 화장품기업의 동남부 대도시 진출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또한 애틀랜타는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본부를 중심으로 375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