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화장품 수출액은 7.43억달러로 전년 대비 14.8% 감소했다. 10월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9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화장품 수출액은 올해 5월만 빼고 줄곧 8개월간 역성장함에 따라 100억달러의 꿈은 사실상 멀어졌다. 1~9월 누적 수출액은 60.7억달러로 작년 수출액 91.8억달러의 66%에 불과하다. 수출 비중이 큰 중국 부진이 가장 큰 이유다. 대한화장품협회 자료에 따르면 1~8월 수출액은 53.3억달러. 이중 중국(-21%)과 홍콩(-34%)이 큰 폭 감소했다. 다만 중국·홍콩을 제외한 1~8월 수출액은 26억달러로 전년 대비 5.6% 증가했다. 즉 수출액 중 중국·홍콩 비중이 58.4(‘21)→50.5(’22)로 감소하면서 수출지역 다변화는 7.9%p 준 반면 타 국가의 수출은 소폭 상승했음을 엿볼 수 있다. 상위 20대 국가 중 미국(3.7%) 일본(2.5%) 태국(7.4%) 등이 소폭, 베트남(12.8%) 대만(18%) 캐나다(56.7%)필리핀(39%) 프랑스(13.6%) 아랍에미레이트(31.6%) 등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러시아(-9%) 싱가포르(-6.9%) 말레이시아(-2.9%) 인도네시아(-27%) 카자흐스탄(-11.6%
중국의 해외직구 시장규모는 증가하는데 비해 상위 10대 국가 중 한국만 전년 대비 36%나 대폭 감소해, 꼴찌로 나타났다. 2022년 상반기 중국의 해외직구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5.1% 증가한 약 1232억 위안(약 24조원)이었다. 2~5월 기간의 해외직구 구매액은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였으나 6월에만 300억위안(5.7조원, +23.3%)을 돌파하며 상반기 증가세를 이끌었다. 해외직구 상위 10개국은 일본-미국-한국-프랑스-호주-독일-뉴질랜드-이탈리아-영국-캐나다 순이었다. 이중 3개국(호주·독일·뉴질랜드)을 제외한 7개국은 모두 감소했다. 특히 한국은 36.1%나 대폭 감소했는데 이는 중국 정부의 수입품 방역검사 강화 및 화장품류 소비 위축 영향으로 분석됐다.(무협 베이징지부) 상반기 중국의 해외직구 구매액 상위 품목은 화장품, 식품류, 의류 및 신발, 일용품, 금은품, 가전제품, 사무용품 등이다. 이중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의약품(132.3%) 구매가 대폭 증가했다. 또한 건축자재(196.2%), (65.2%), 귀금속 주류·담배(41.5%), 문화·사무용품(40.3%), (35.9%) 통신기기도 지속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가구(-29
‘코스모뷰티 말레이시아 2022’(COSMOBEAUTE MALAYSIA 2022)가 9월 28일 쿠알라룸푸르 컨벤션센터(KLCC)에서 열렸다. 코로나 이후 첫 대면 박람회로 29개국에서 등록된 무역 관계자를 비롯 약 8천여 명의 방문객이 참가할 것이라고 주최사는 예상했다. 주최사인 Informa Markets Malaysia 국가 총괄 매니저인 Gerard Leeuwenburgh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2년의 공백 후 말레이시아에서 선도적인 뷰티박람회를 간절히 기다려 왔다. 이는 전세계 업계 관계자, 전문가, 기업 간 재연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에스테틱, 프로페셔널 뷰티, 화장품, 헤어, 할랄 뷰티, 네일, OEM/ODM을 포함한 다양한 뷰티 산업 포트폴리오의 300개 사가 참여했다. 참가국은 중국, 인도네시아, 이탈리아,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폴란드, 싱가포르, 대만, 태국 등 11개국이다. KOTRA와 함께 한국관을 준비한 코이코 김성수 대표는 “예전과 다르게 첫날임에도 한국관에 많은 바이어가 찾아와 상담이 이뤄지고 있음을 직접 보고 있다”라며 기대감을 전했다.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은 참고자료를 통해 “코
ECCK(주한유럽상공회의소)는 28일 2022년도 ECCK 백서를 발간하고 관련 기자회견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었다. 3년만의 대면 기자회견을 통해 ECCK는 한국의 비즈니스 환경과 산업별 규제 개혁 이슈에 대해 논의했음을 밝혔다. 그 결과 올해 백서에는 18개 산업 96개의 건의사항이 포함되었으며, 관련 이슈에 대해 각 위원회 대표자들이 기자회견에서 직접 발표했다. ECCK 디어크 루카트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지난 10여년간 유럽과 한국간의 무역 및 투자가 크게 성장했다. 2021년도에는 2010년도 대비 유럽-한국 간의 무역량이 610억 유로에서 1천 70억 유로로 급성장했다. 이처럼 향후 유럽과 한국의 보다 성숙하고 상호 우호적인 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갖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루카트 회장은 “한국 정부가 한국 및 유럽 기업에게 필요한 공정하고 투명한 비즈니스 환경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활동들을 지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ECCK 백서가 한국 정부와의 건설적인 소통의 도구로써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공정하고 투명한 시장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백서에서 ECCK 화장품위원회는 화장품 이슈로 다섯 가지를 제
클린뷰티 이슈가 글로벌 화장품산업을 휩쓸고 있지만 정작 국가별로 목표나 소비행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통 분모로 주목받는 ESG 경영 실천 방안 마련이 시급해졌다. 지난 4월 LG생활건강은 화장품 연구개발 단계부터 ESG 경영 방침을 제품에 반영하는 ‘클린뷰티 인사이드(Clean Beauty Inside) 시스템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화장품의 글로벌 트렌드인 클린뷰티의 철저한 실천을 위한 방안으로 ESG를 적극 활용하겠다는 시도여서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클린뷰티는 파라벤 무첨가, 플라스틱 포장재 저감, 비건(vegan) 등 소비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화장품을 의미한다. LG생활건강은 ESG 경영 확대와 기후변화, MZ세대의 가치소비와 코로나로 인한 건강 중요성 부각 등을 클린뷰티로 승화하기 위한 ’클린뷰티 연구소‘를 출범시켰다. 연구소는 ▲ 클린뷰티 트렌드를 지구환경(Planet Beauty), 건강(Skin Health), 과학(Clean Performance)과 상생(Responsibility) 관점에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연구개발 ▲ 화장품 포장재를 4R(Recycle-재활용, Reuse-재사용,
글로벌 소비자 공통의 관심사이자 으뜸의 피부 고민은 '에이징 케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이 운영하는 피부유전체 정보 제공 플랫폼(SGIP)에 따르면 10여 년간 구축한 ‘빅데이터 기반 국가별 피부측정 데이터’와 2020년 추가로 수집/분석을 시작한 피부-유전체 분석 데이터 기반 각종 통계에서 드러난 결과다. 연구원은 현재 21개국의 △피부측정 결과 △이용행태 설문조사 △분섟/통합 보고서 △유전자 분석 결과 등을 보고서 형태로 기업에 제공하고 있다. 이중 가장 최신의 보고서가 중국 상해 소비자 분석이다. 이를 주도한 양성민 연구원은 “상해 소비자들은 문제 해결에 특화된 기능성 화장품 및 뷰티기구를 통해 관리하고 있다”라며 “▲20대는 주름/잔주름 ▲30대는 피부 트러블 ▲40대는 유분기/번들거림 등 관련 기능성 화장품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40대의 경우 뷰티 기구, 병원/에스테틱 등 이용률이 높아 기능성제품 외의 방안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분석 결과를 전했다. 그러면서 그는 “안티에이징 연상 키워드는 효능/효과(33.2%)가 가장 많았으며 노화방지(8.2%)의 언급이 많았다. 40대뿐 아니라 20대에서도 주름방지 키워드가 많이 언급된 것
㈜네오팜(대표 김양수)의 브랜드 아토팜, 더마비, 리얼베리어가 일본 약국 체인 약 3,700여 개 매장에 입점한다. 아토팜은 ‘스기약국’ 1200여개 체인, 더마비는 ‘웰시아’ 1600개 점포, 리얼베리어는 앳코스메 하라주쿠점 등 대형 드럭스토어 체인 여러 곳에 제품을 선보인다. 먼저, 민감 피부 전문 스킨케어 브랜드 아토팜은 일본 대형 드럭 스토어 체인 ‘스기약국’ 입점을 통해 일본 약국 체인 스토어에 처음 입점한다. 현재 스기약국은 일본 시장 내 1,200여 개 점포를 운영 중이며, 일본의 대표적인 드럭스토어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아토팜은 9월 기준 스기약국 1,150개 매장에 MLE 크림, MLE 로션 등 베스트셀러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다. 아토팜은 ‘한국산업 브랜드파워(K-BPI)’ 민감성 스킨케어 부문 16년 연속 1위를 차지하는 등 국내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는 브랜드이다. 대표 제품 ‘MLE 크림’은 국내 최초 ‘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으로 식약처 인증을 완료한 피부장벽 기능성 고보습 크림이다. 생활 보습 바디 전문 브랜드 더마비는 자사 베스트셀러 ‘데일리 모이스처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등을
제1회 코스모프로프 아세안 방콕 뷰티박람회(Cosmoprof CBE Asean Bangkok)가 지난 15일 Impact Exibition Convention Centre Hall에서 3일간 개최됐다. 전신인 Beyond Beauty Bangkok(2019년 개최) 이후 3년 만에 새로운 모습으로 선을 보여 글로벌 전시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전시 주최사는 볼로냐 피에르(Bologna Fiere), 인포마마켓(Informa Markets), 차이나뷰티엑스포(China Beauty Expo) 등 3사다. 올해 코스모프로프 방콕 뷰티박람회는 태국 포함 15개국 500개사가 참가했으며 1만여 명의 참관객이 방문하는 등 성황을 이뤘다는 전언이다. 전시관 구성은 △스킨케어/헤어/네일/내추럴&오가닉 섹션별 완제품관 △OEM/용기/라벨/기계 등 생산·공급관으로 구분, 카테고리별 다양한 기업이 참가했다. 전년도 11개국 240여개사에 비해 규모가 커지면서 코로나 이후 아시아 화장품산업 변화에 높은 관심이 쏠렸음을 엿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선 한국관 주관사인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의 주관 하에 지자체 2곳을 비롯 개별참가사 등 총 36개사가 참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