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이버코퍼레이션(크레이버)이 전개하는 원료주의 스킨케어 브랜드 스킨1004(스킨천사)의 ‘랩인네이처’ 라인이 지난 5월 론칭 이후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랩인네이처는 마다가스카르산 센텔라와 판테놀을 ‘마이크로 샷’ 공법으로 함침해 유효 성분의 흡수력을 높인 고기능성 더마 라인이다. 레티놀, 나이아신아마이드, 매트릭실 등 고함량 성분을 담은 앰플 3종으로, 피부 고민별 맞춤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 가운데 ‘마다가스카르 센텔라 레티놀 0.2% 부스팅샷 앰플’은 출시 직후부터 입소문을 타며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SNS에는 관련 콘텐츠가 570건 이상 게재됐으며 누적 조회수 3.2억 회를 기록했고, 구글 검색량도 급증하는 등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주요 플랫폼에서 상위 랭킹을 기록하며 품질과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라쿠텐(Rakuten)’에서는 레티놀 앰플이 판매 상위권에 올랐고, ‘큐텐(Qoo10)’에서는 나이아신아마이드 앰플이 4위를 차지하며 현지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스킨1004는 이 같은 인기를 오프라인으로도 확대해 일본 내 랩인네이처 열풍을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지난 23일에는 현지 인플루언서 ‘교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은 오는 9월 24~25일 ‘2025 국제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을 로얄호텔서울 그랜드볼룸(3층)에서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보건복지부가 후원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 글로벌 규제 대응을 위한 국내·외 정보 ▲ 국내외 화장품 안전관리 동향 및 성분 안전성 평가 동향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기획됐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글로벌 규제기관 및 브랜드의 대표 전문가들이 발표를 맡았다. 심포지엄 첫 날(9월 24일)은 ‘글로벌 화장품 규제 동향’을 테마로 모두 7명의 연자가 발표한다. ▲ 글로벌 화장품 안전성 규제 개요와 대한민국 안전관리 동향(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이정표 실장) ▲ 대한민국 화장품 안전성 평가 현황(한양대학교 배옥남 교수) ▲ 미국 주법과 연방법 규정 가이드라인(손성민 리이치24시코리아 대표) ▲ Insight of China cosmetic safety assessment report, industry practice and case sharing(로레알 Ted Xing 박사 ▲ Latest EU cosmetics regulatory updates(COSMED Caroline Bassoni 박사) ▲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확대 관련 실제 관세 부과는 어떻게 진행될까? 이에 대해 KOTRA는 대응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Q 철강 및 알루미늄이 함유된 제품이나 부분품이면 모두 추가 관세 부과 대상인가요? A 수출하려는 제품이 포고령(Proclamation)에 명시된 미국의 HS 코드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추가 관세 부과 대상이다. 철강 및 알루미늄이 함유된 제품 또는 부분품이더라도 포고령에 HS 코드가 명시되지 않았다면 추가 관세는 부과되지 않는다. 화장품의 경우 31개 품목 코드가 명시됐다. Q 미국 HS CODE를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 A HS(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 코드는 6자리까지는 세계 공통이고, 7자리 이하는 각국 재량으로 세분화된다.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의 경우, 수출하려는 제품의 국내 HS 코드(HSK) 6자리를 hts.usitc.gov에 입력하여 미국의 세부 HS 코드(HTS) 중 어느 세번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HTS는 최대 10자리로 분류된다. 우리 관세청은 기업 편의를 위해 파생상품 목록에 포함된 미국의 품목번호(HTS)와
홀리스틱 뷰티를 추구하는 글로벌 럭셔리 뷰티 브랜드 설화수가 ‘피부 장수를 위한 인삼의 힘(Skin Longevity Powered by Ginseng)’을 주제로 자음생크림 글로벌 캠페인을 전개한다. 설화수는 오는 9월 중국을 시작으로 한국과 태국, 미국 등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Skin Longevity Powered by Ginseng’ 테마의 이벤트를 고객과 미디어 대상으로 진행한다. 각국에서 진행되는 이벤트에서는 설화수의 인삼 과학과 자음생크림의 효능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 참여자들에게 설화수만의 스토리를 깊이 있게 전달할 예정이다. 설화수의 대표 럭셔리 안티에이징 크림인 ‘자음생크림’은 피부 자생력을 깨우는 인삼 연구의 결정체다. 설화수가 60년에 걸쳐 연구한 독자적인 인삼 성분과 피부 과학이 결합된 자음생크림은 피부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오래도록 지켜내고자 하는 설화수의 핵심 가치가 담겨 있다. 인체 적용 시험 결과 사용 중단 7일 후에도 주름과 탄력 개선 효과가 유지될 정도로[1], 스스로 탄력을 채워 유지되는 고밀도 피부를 선사한다. 설화수는 60년 인삼 과학 연구를 통해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오래도록 유지할 수
햇빛연구소 셀퓨전씨(www.cellfusionc.co.kr)가 모공 딥 클렌징에 특화된 신제품 ‘파하 엔자임 클렌징 라인’ 을 무신사 뷰티 페스타에서 단독 선런칭한다. ‘파하 엔자임 모공 클렌징 폼’, ‘파하 엔자임 모공 클렌징 오일’, ‘파하 엔자임 그래뉼 필스 파우더’ 3종으로 구성된 이번 신제품 라인은 저자극 모공 케어 성분 PHA와 파파야 효소(엔자임)의 시너지로 모공 주변 피지와 각질을 부드럽게 케어, 클렌징 후의 잔여감과 번들거림을 말끔히 제거하여 뒤끝 없이 말끔한 저자극 클렌징을 경험할 수 있다. ‘파하 엔자임 모공 클렌징 폼’은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 하는 차세대 여드름 케어 기능성 성분인 토타락신™이 함유된 제품으로 쫀쫀하고 풍성한 고밀도 거품이 피부 모공 속 노폐물을 말끔하게 세정해준다. ‘파하 엔자임 모공 클렌징 오일’은 PHA와 엔자임의 시너지를 통해 묵은 피지와 각질을 부드럽게 녹여내고, 물처럼 가볍게 마무리되는 워터리 오일 텍스처로 잔여감과 번들거림이 남지 않아 지성 피부도 부담 없이 쓸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물에 닿는 순간 초고속 유화되어 빠른 딥 클렌징을 돕는 것도 장점이다. ‘파하 엔자임 그래뉼 필스 파우더’는 고함량 효소 파
아이오페가 '레티놀 레티젝션™ 세럼’을 출시한다. 이번 제품은 300만 개의 스피큘에 레티놀을 담아 레티놀 성분의 피부 도달을 극대화했다. 이를 통해 콜라겐 부스터 특수관리 이상의 탄력 효과를 제공하며, 단 1회 사용만으로도 탄력, 주름, 모공 개선이라는 즉각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아이오페는 콜라겐 부스터 특수관리와 1:1 인체적용시험 비교를 통해 제품의 효능을 입증했다. 그 결과 콜라겐 특수관리 대비 탄력 +49%, 주름 개선 +83%, 윤기 +88% 우위를 기록하며 고효능 스킨케어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아이오페 레티놀 레티젝션™ 세럼은 레티놀 라인의 독자 성분이자 아이오페가 맞춤 설계한 레티놀 RX™를 2% 함유하여, 유효성분 손실 없이 피부 심층부까지 효과적으로 도달한다. 특히 스피큘 중심부에 레티놀을 담는 아모레퍼시픽 최초 기술로 피부 속부터 성분 침투가 시작되며, 46% 더 빠르고 깊은 도달로 피부의 콜라겐 생성을 극대화하여 차원이 다른 탄력 효과를 선사한다. 저자극 설계된 스피큘을 적용해 고효능과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제품으로도 주목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은 토론토 K-엑스포에서 K-뷰티 홍보관을 운영, 매일 1만여 명의 관람객과 바이어가 몰리는 대성황을 보였다고 전했다. 지난 8월 9일부터 10일까지 캐나다 토론토에서 열린 K-Expo 내 K-Beauty 홍보관에 현지 관람객과 바이어들이 하루 평균 1만여 명 이상 몰리며, K-콘텐츠의 위상을 입증했다. 이번 K-Expo는 K-푸드, K-드라마, 웹툰, K-팝 등 다양한 한류 콘텐츠를 융합한 종합 전시회다. 그중에서도 K-Beauty는 뜨거운 호응을 얻으며 북미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K-Beauty 홍보관은 ▲ 화장품 제품 전시, ▲ AI 기술과 접목한 디지털 뷰티 디바이스, ▲ 최신 K-메이크업 트렌드, ▲ 퍼스널컬러 찾기 체험 등 다양한 이벤트를 함께 진행했다. 화장품과 뷰티를 남녀노소 즐기는 라이프 스타일 문화로 확산하고자, 현장을 ‘뷰티플레이(Beauty Play)’ 체험 공간으로 운영했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또한 8월 11일부터 12일까지 양일간 진행된 B2B 수출상담회는 중소기업 17개사가 참석하여 34개 주요 글로벌 바이어들과 1:1 비즈니스 상담회를 진행했다. 165건의 상담, 상담금액
정부는 22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새정부 경제성장 전략’을 확정했다. 이번 이에 따르면 화장품은 ➊ AI 팩토리 ➋ K-클러스트 조성에 포함된다. 또 ‘26년 상반기 추진과제로 K-뷰티 통합 클러스트 조성 기본계획 수립을 중기부가 맡아 진행한다. 이는 화장품이 중기 수출품목 1위라는 배경이 작용했다. 비전은 “경제 대혁신으로 ‘진짜 성장’ 구현”이며 AI 3대 강국, 잠재성장률 3%, 국력 세계 5강을 목표로 한다. 정책 방향은 기술선도 성장→모두의 성장→공정한 성장으로 지속성장 기반을 강화한다. 기술선도 성장은 ▲ AI대전환 ▲ 초혁신경제 30대 선도프로젝트의 두 부문으로 추진한다. AI 팩토리 사례로 화장품이 소개됐다. 점도·배합비 등 공정 최적화, 무인화, 자율화로 오염 차단 등을 위해 특화 AI 솔루션 보급 및 AI 로봇·시설·장비 도입 등 AI 팩토리를 확산한다는 것이다. 제조 거점 중심으로 AI 팩토리 고도화 핵심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AI 기반으로 고숙련기술자의 현장 전문지식(암묵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초혁신 경제는 15개 선도 프로젝트로 ‘25년 하반기부터 즉시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그중 K-붐업 분야에서 K-뷰티 통합 클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