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CRA 시행 이후 미국향 수출 품목 가운데 자외선차단제 관련 수입 거부 사례가 급증하고 FDA의 국내 제조사 실사가 예고된다는 본지 보도에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한화장품협회는 미국 수출 현안 관련 긴급 웨비나를 개최한다고 11일 공지했다. 이번 웨비나는 ‘미국 자외선차단제 규정 및 FDA 실사 사례’를 주제로 오는 9월 24일(화) 오후 3시~5시20분까지 무료로 진행된다. 세션1에서는 미국 자외선차단제 규정_대한화장품협회 글로벌협력실 김경옥 실장이 나선다. 주요 내용은 ▲ OTC Drug의 개요 ▲ OTC Drug 시설 등록, 제품 등록 ▲ OMUFA(모노그래프 사용자 수수료 프로그램 등이다. 세션2는 FDA 실사 사례_코스맥스 글로벌품질팀 김상준 팀장이 준비하며 ▲ OTC Drug 제조시설 GMP 요구사항 ▲ FDA 실사 준비 등을 설명할 예정이다. 참가 신청은 대한화장품협회 홈페이지 ‘글로벌 규제조화지원센터’ => 해외 규제 교육 신청 게시판 => ‘미국 자외선차단제 규정 및 FDA 실사 사례 웨비나’ 개최 안내(9/24)를 클릭하면 된다. (https://helpcosmetic.or.kr/pc/edu/edu04.php?pt
대한화장품협회는 대만에 화장품 수출을 추진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대만 화장품 등록제도 웨비나를 개최한다. 오는 10월 14일 (14:30~17:00)이며 온라인 실시간 영상 송출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주요 강의 내용은 ▲ 대만 화장품 수출절차 및 주요법규 ▲ 제품 등록 절차 설명 ▲ 제품정보파일(PIF) 준비 요령 ▲ 특정용도화장품 사전 허가제도 전면 폐지 및 등록제 전면 시행(‘24년7월부터) 관련 설명 ▲ 화장품 안전성 평가 방법 설명 ▲ 실시간 질의응답 둥이다. 사전등록은 10월 11일까지이며 웨비나 개최 1일 전에 URL링크가 메일로 발송된다. (참가 링크 : https://forms.gle/vwidbVrmKVFpPaw76 )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하반기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전문인력 양성 교육’ 일정을 변경한다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10월 1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함에 따라 일정 변경이 불가피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교육일정이 9월 27일, 30일, 10월 7일, 8일, 14일까지로 변경된다. 교육 장소는 변동 없이 서울 강남역 인근 스페이스쉐어 쥬피터 홀에서 진행되며,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변함이 없으나 일부 프로그램의 순서와 세부 강의 시간이 조정될 예정이다. 교육 신청기한은 9월 24일이다. 문의사항은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안전성연구팀(양형석 연구원/hyeongseok@kcii.re.kr/☏070-4070-7607)에게 안내받을 수 있다.
리이치24시컨설팅그룹이 주관하는 ‘2024 글로벌 화학규제 컨퍼런스 코리아(Chemical Regulatory Annual Conference KOREA, 이하 CRAC KOREA)’가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후원으로 오는 9월 10일(화)에 양재 aT 센터 5층 그랜드홀에서 개최된다. 2009년을 시작으로 올해로 16회째를 맞이하는 CRAC KOREA는 그동안 중국과 EU에서 매년 개최했으나, 2024년부터 대한민국과 일본 지역으로 확대 개최된다. 올해 ‘CRAC KOREA’ 주제는 ‘글로벌 화장품 산업의 규제 대응 전략을 묻다’로 국내외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한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이정표 실장을 비롯해 △ 중국 화장품협회(CAFFCI) 화장품부 부이사 Mr. Peng Zhang △ 아세안화장품협회, 일본 KAO, 민텔 코리아,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 등 주요 기관 관계자들과 전문가들이 관련 정책, 규제와 더불어 무역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포럼에는 국내 화장품업계 관계자들 100여 명 이상이 참석 의사를 밝혔다. 이번 컨퍼런스 프로그램에서는 최근 이슈인 ▲ 대한민국 화장품 안전관리와 추출물 안전성 평가 사례 ▲ 중국 화장품 안전성 평가(전체버
로레알코리아가 국내 뷰티·미용 특성화고교생을 대상으로 ‘로레알 프렌즈(L’Oreal Friends)’ 3기 참가자를 모집한다. 수도권 소재 미용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 중 헤어 및 메이크업 관련 전공자이면서 SNS를 즐겨 활용하고, 로레알 그룹의 브랜드에 애정과 열정이 있다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다. 오는 9월 13일까지 지원을 받은 후 최종 30명을 선발할 예정이다. ‘로레알 프렌즈’는 30세 미만 청년을 지원하는 로레알 그룹의 ‘청년을 위한 로레알(L’Oréal For Youth)’ 이니셔티브다. 매년 국내 뷰티·미용 분야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모집해 전문적인 역량을 가진 뷰티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뷰티 관련 교육과 멘토링은 물론, 소셜 미디어 챌린지와 CSR 프로그램 등의 활동도 진행하면서 보다 다각화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선발된 학생들은 오는 10월 7일 서울 삼성동 소재 로레알코리아 사옥에서의 발대식을 시작으로 ▲ 입생로랑 뷰티 메이크업 트레이닝 ▲ 선배와의 대화 ▲ 로레알코리아 사옥 투어 등에 참여한다. 이후 3개월 간 ▲ 헤어 트레이닝 프로그램 ▲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헤어·메이크업을 제공하는 재능기부 봉사활동 ▲ 뷰티 크
대한화장품협회는 오는 9월 30일(월) 15:00~17:00 ‘주요국 화장품 라벨링 규정 및 예시 웨비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웨비나에서는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주요 지역인 미국, EU/영국, 중국, 아세안/인도 등지의 최신 화장품 라벨링 규제 동향 및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또한 실시간 질의응답을 통해 기업들의 궁금증을 해소해준다고 한다. 주요 내용은 ▲ 최신 EU/영국 화장품 라벨링 규정 동향 (Claim 및 광고 가이드 내용, Q&A 포함)_ 리이치24시코리아(주) 손성민 대표 ▲ 최신 중국 화장품 라벨링 규정 동향_ REACH24H China 徐慧桢(서혜정, Xu Huizhen) 컨설턴트 등이며, 실시간 Q&A를 진행한다. 리이치24시코리아(주) 손성민 대표는 “국가마다 라벨링 규정에 차이가 있어 현업 실무자들이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글로벌 규제대응 기업인 리이치24시 그룹의 전문가들이 국가별 중요한 라벨링 포인트 및 사례를 자세하게 정리, 설명해 도움을 드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9월 25일까지 선착순 마감하며, 웨비나 개최 1일 전에 사전등록자에게 URL 링크가 메일로 발송된다. (- 사전등록링크 : https://form
펜데믹 이후 피부 셀프케어 트랜드가 확대되며 국가 간 치열한 경쟁이 한창이다. 최근 고성능의 홈 뷰티케어, 효능이 입증된 클린뷰티(천연) 등을 앞세운 중견, 중소기업의 수출이 활발해지면서 기업들의 글로벌 시장 진출도 활짝 열려있다. 이는 건강관리 및 의료의 패러다임이 사후적 치료 중심 → 개개인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예방과 관리 중심으로 트렌드가 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웰니스(wellness)와 화장품, 미용이 접목한 뷰티케어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1조 890억달러로 추산된다.( GWI, ‘23) 뷰티케어는 ➊ 특히 전문 미용 케어와 유사한 고효능, 소비자 접근성이 용이한 홈뷰티케어, 스킨케어 ➋ 인체 유해 의심 성분을 배제하고 자연친화적 친환경 원료를 사용한 클린뷰티 등으로 구분된다. (IIT, '글로벌 웰니스 산업 성장과 우리나라 수출 유망분야 분석') 글로벌 홈 뷰티케어 디바이스 시장은 140억달러(’22) → 898억달러(‘30)로 성장할 전망. 국내 시장은 800억원(’13) → 1조6천억원(‘22)으로 약 20배 성장했다.(PwC경영연구원(’24), ’K-뷰티 산업의 변화‘) 주목되는 기업이 에이피알이다. ’에이피알 부스터 힐러 및 프로‘는
올해 대한화장품협회는 ‘지속가능위원회(가칭)’를 신설하고 화장품산업 ESG 동향 보고서 발간 및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장협은 해외 화장품기업의 ESG 경영을 파악할 수 있능 웨비나를 개최한다. 오는 9월 3일(화) 오후3시~5시 ‘화장품 기업을 위한 알기 쉬운 ESG 경영 및 다국적 화장품 기업이 직면한 ESG 과제’ 웨비나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진행될 예정이다. 주요 내용은 ▲ ESG 경영이란? ▲ 다국적 화장품기업이 직면한 ESG 과제 ▲ 실시간 질의응답 등이다. 연사는 유로핀즈 임재욱 매니저, 사라 바치르 레비 매니저가 맡았다. 웨비나나 신청은 7월 16일까지이다. (사전등록링크 : https://forms.gle/9m4kMnZ43ovuqPLf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