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의 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1조 957억원을 기록, 역대 최고액을 경신했다. 8월에 이어 2개월 연속 1조원대 행진을 이어갔다. 올해 3월 처음으로 1조 198억원을 기록한 바 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2465억원 증가한 금액이며, 증가율은 29.0%였다. 모바일 쇼핑거래액은 6171억원으로 월별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35.2% 증가한 수치다.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 비중은 56.3%로 전월에 비해서는 2.2% 감소했다. 통계청은 “화장품은 중국 등 외국인 관광객 증가로 온라인 면세점 등 거래 증가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인 입국자 수는 1~9월 355만 6543명. 이 추세라면 ‘19년의 중국인 관광객 수는 ’14년(477만명) 수준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역대 최고치는 ’16년 695만명) 한편 3분기 해외 온라인 직접판매액은 1조 5156억원인데 이중 화장품이 1조 2737억원으로 84%를 차지했다. 또 화장품의 면세점 판매액은 1조 2392억원으로, 이는 면세점 판매액의 92.7%에 해당된다. 면세점 판매액의 95%는 중국인이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분기 해외 직구로 사들인 화장품은 448억원이었다.
#5 중국·미국, 플랫폼 독점 강화 중국과 미국은 플랫폼이 리테일을 압도하고 있다. 중국은 전체 소매시장(38.1조위안)에서 온라인 거래(8조위안)가 21.0%에 달한다. 알리페이, 위챗페이 등 모바일 결제시스템이 2017년 이후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오프라인→모바일의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미디어 커머스가 성장하며, 입점브랜드가 상품을 올리면 중간판매자들이 상품을 선택해서 자신의 회원, 지인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S2B2C 모델이 등장했다. 이로 인해 왕홍경제가 활성화됐고 온라인 마케팅이 확대됐다. 중국 상위 10개 온라인 거래업체 중 알리바바의 점유율이 58.2%, JD.com 16.3%, Pinduoduo 5.2% 순이다.(Statista, 2018) ’소매업의 종말‘(retail apocalypse) 현상이 두드러진 미국의 경우 2017년에만 662개의 유통 브랜드가 파산했다. 전체 소매시장에서 온라인 거래의 비중이 높아지고 매출액의 성장세가 뚜렷하다. 온라인 거래를 통한 전체 소매 판매액의 약 50%가 아마존의 매출이다. 아마존은 전 세계 유통업체 중 매출액 기준으로 6위이며, 상위 10개 업체 중 가장 높은 매출액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알
세포라가 한국에 진출, 첫 매장인 삼성동 파르나스몰을 24일 오픈했다. 길이가 22미터에 달하는 전면 입구와 블랙 앤 화이트 리본끈으로 치장, 눈길을 끌었다. 벤자민 뷔쇼(Benjamin Vuchot) 세포라 아시아 사장은 “한국 시장은 아시아에서 가장 역동적이면서도 트렌드에 민감하고 뷰티에 높은 이해도를 가진 고객을 중심의 시장이기에 세포라의 한국 시장 진출이 갖는 의미는 남다르다”며, “세포라의 한국 진출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아시아 내 ‘가장 사랑받는 뷰티 커뮤니티(Be the most loved beauty community)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겠다”고 밝혔다. 세포라 매장은 ▲해외 독점 브랜드 ▲국내 독점 브랜드 ▲니치 향수 컬렉션 ▲세포라 컬렉션 등 100여개 브랜드 라인업으로 구성됐다. 특히 한국인의 취향을 저격, 해외직구 또는 국내에 없는 유명 브랜드를 독점 공급한다는 전략이다. 타르트(tarte), 후다 뷰티(Huda Beauty), 아나스타샤 베버리힐즈(Anastasia Beverly Hills), 조이바(Zoeva), 스매쉬박스(Smashbox) 등 40여개의 해외 독점 브랜드가 뷰티 마니아들의 발길을 멈추게 할 것으로 보인다. 세포라가
한편 오프라인 유통업계는 비상이다. 이마트가 사상 최초로 2분기 29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고, 롯데마트도 339억원 적자로 그 폭이 커지고 있다. 쿠팡 매출이 늘어나면 쿠팡도 적자가 커지지만 오프라인도 손실이 커지는 구조다. #3 올리브영 독주...세포라가 대항마? 이와 비슷한 양상이 화장품업계에도 일어나고 있다. 지난 8월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사상 최대인 1조 326억원을 기록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 증가율은 28.9%였다.(통계청) 또 ’19년 8월 화장품의 거래액 증감률은 온라인판매중개(4사) 20.2%, 온라인판매 9사 12.5%로 나타났다. [온라인판매중개(4사): 이베이코리아(G마켓, 옥션)·11번가·인터파크·쿠팡, 온라인판매(9사): 이마트·신세계·에이케이몰·홈플러스·갤러리아몰·롯데닷컴·롯데마트몰·위메프·티몬](산업통상부) 쿠팡이 있는 온라인판매중개사의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면 오프라인에선 화장품 팔 곳이 줄었다. 일단 로드숍의 부진이 계속되면서 매장수가 대폭 줄었다. 또 다른 변화는 원 브랜드 숍(로드숍)→멀티브랜드숍(편집숍)으로의 전환이다. 이마저도 H&B숍과의 차별화가 명확하지 않다. 일본의 돈키호테처럼 ‘이상한
쿠팡발 유통업계 지각변동이 심상찮다. 쿠팡이 오픈마켓 만족도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온·오프라인 유통 공룡들의 판매실적에 연쇄반응이 일어나고 있는 것. 향후 △쿠팡의 플랫폼화 가능여부 △오프라인 실적 하락에 따른 유통변화 △온·오프라인의 합종연횡 △리테일 업계 재편 등 가히 판을 뒤집는 변혁이 예상된다. 화장품기업들도 플랫폼과 리테일 사이에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오프라인의 한계와 온라인의 벽(壁) 때문이다. 온라인 마케팅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비용 부담이 크다. 소비자 트렌드를 쫓다보면 방향성 상실이 골칫거리다. 묘안은 없는 걸까? #1 오프라인의 실적 부진, 리테일업계 비상 22일 이마트는 2분기 마이너스 성적을 이유로 대표이사를 경질하고 신임 대표이사로 강희석 베인앤컴퍼니 유통부문 파트너를 영입했다. 창립 이래 최초로 대표를 외부에서 데려온 결정은 이마트의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한다. 리테일 대표주자 이마트의 온·오프라인 두 마리 토끼를 사로잡는 전략에 업계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2019년 상반기 현재 우리나라 소매시장 중 오프라인 비중은 62.1%, 온라인 비중은 37.9%다. 온라인 점유율로 보면 세계 1위다. 201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위기, 곧 소매업의 종말(retail apocalypse) 현상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한국과 중국의 온라인 유통 동조화 현상도 두드러진다. 이는 디지털 환경 적응과 Z세대의 소비 트렌드 이해가 브랜드사의 생존법이 될 거라는 공통분모에서 비롯된다. 중국수출사관학교 박영만 교장은 “지금은 AI, 빅데이터, 5G가 등장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다. ICT기술의 수혜를 받으며 자란 Z세대는 SNS로 실시간 소통하고 소비한다. 시차가 없다. 때문에 수평성(水平性)·동시성(同時性)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중국·미국 모두 Z세대가 3-4년 후의 주류 소비층이 될 거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핵심은 수평적 사고방식”이라며 “Z세대의 소비 니즈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온라인 비즈니스 모델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1 소매시장 중 온라인 비중, 한국과 중국이 세계 1·2위 중국의 전체 소매시장은 38조위안. 그중 온라인 거래가 8조 위안이며 소매시장 비중이 21%에 이른다.(2018년) 한국은 오프라인 비중이 62.1%, 온라인 비중은 37.9%다. 온라인 비중은 세계에서 한국이 1위다. 그 다음이 중국이며, 미국은 9.6%에 불과하
영상 9도의 다소 쌀쌀한 날씨 속 11명의 가맹점주들은 “#아모레퍼시픽은 #상생하자”는 플래카드를 전면에 내세우며 시위를 벌였다. 14일 전국이니스프리가맹점주협의회 비대위(회장 전혁구)의 6차 릴레이 집회 모습이다. 또 가맹점주의 피해를 가중시키는 ‘쿠팡 제품 공급 금지’ 현수막도 내걸렸다. ‘#이니스프리는 #가맹점 고통 바로 보라’는 글귀도 눈길을 끌었다. 그래도 가장 많이 쓰인 단어는 #상생이었다. 6차에 이르기까지 가맹점주들이 가장 바라는 마음을 드러낸 듯 보였다. 이날 릴레이 시위에는 전국가맹점주협의회 이재광 공동의장도 참석, 격려했다. 전혁구 회장은 “소수 인원인 우리가 이런다고 본사가 변하겠습니까만은, 작은 물방울이 모여 바위도 깬다고 했다. 우리의 행동들이 모여 점점 커지고 응대한다면 저들이 바뀌지 않을 수 없다. 우리가 힘들더라도 계속 이어가자”고 외쳤다. 이어 그는 “우리가 앞장서서 상생 투쟁을 하는 이유는, 기본적으로 지킬 것은 최소한 지키자, 우리가 어떻게 쿠팡과 경쟁하느냐, 경쟁할 수 있는 구도가 아니다. 그러므로 최소한 생존하기 위한 영업을 하자. 같이 살자고 얘기하고 있는 것”이라고 울먹였다. 한편 비대위는 공정거래위원회 제소 관련
아모레퍼시픽 방판경영주 전국협의회(회장 김수진, AP방협)가 아모레퍼시픽 본사 앞 집회를 포함한 강력한 상생투쟁을 예고했다. 이에 전국가맹점주협의회와 전국이니스프리가맹점주 비상대책위원회가 연대, 공동 투쟁을 벌인다. 15일 청주에서 열린 AP방협 6주년 총회에 참석한 부산·경남·대구·광주·대전·전주 등 지역 협의회원들은 ①AP와 협업을 통한 동반 지속성장 추구 ②각 유통채널과 공정한 가격경쟁을 통한 브랜드 가치향상 추구 ③상생영업을 위한 건전한 제반 영업행위에 앞장 ④공동유대를 통해 특약점, 카운슬러 발전과 이익 대변에 앞장 등 4개항을 결의했다. 회원들은 “아모레퍼시픽 성장의 모태이며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성공 비즈니스 모델인 아모레 화장품 방문판매사업이 현재 풍전등화와 같은 절체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다”며 위기감을 토로했다. 이 지경까지 몰린 이유는 ▲무리한 단기 성과위주의 경영에서 파생된 문제점 ▲4차산업 도래에 대한 조급하고 과도한, 어설픈 디지털 경영기법 도입 ▲방판고객 특성을 무시하고 영업현장의 소리를 외면한 탁상경영 때문이라고 성토했다. 앞서 김수진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밤새 안녕하십니까?라는 말을 하기 두려울 정도로 실적이 뚝뚝 떨어져 감당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