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한국화장품수출협회 회장이자 현 코스메랩 박진영 대표의 모친께서 별세하셨기에 이에 삼가 알려드립니다. ■ 고 인 : 임 분 란 ■ 빈 소 :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7호실. 지층 (주소지 :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43길 88 / 연락처 : 02-3010-2000 ) ■ 발 인 일 : 2023년 06월 20일(화) 05:00 ■ 장 지 : 성남영생원_경주선영 ■ 부고 확인 :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 故임분란님 (wooribugo.co.kr)
일본 유통 전문기업인 비지티컴퍼니(BGT Company, 대표 김병수)는 사업 확장으로 6월 10일부터 사무실을 분리 이전한다고 밝혔다. 새 주소는 ▲ 사무실: 경기도 화성시 동탄감배산로 143, 202동 906-907호(오산동, 동탄역유림노르웨이숲) 전화번호 070-7617-1588 ▲ 물류창고: 경기도 화성시 금곡로 210번길 9(금곡동) 070-4196-1587 등이다.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가 자사의 지속가능성 평가방법인 ‘TripleS (Sustainable Solution Steering: 지속가능 솔루션 관리 시스템)’를 업데이트했다. TripleS는 기후 보호 및 자원 효율성, 순환경제의 방향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혁신 솔루션으로 시장의 지속가능성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바스프가 추진하는 평가방법이다. 2012년 처음 도입해 이를 기반으로 45,000개 제품을 재평가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가능한 많은 제품을 재평가하여 새로운 핵심성과지표(KPI)인 ‘지속가능한 미래 솔루션’을 도출하는 것이 목표다. 이 새로운 지표는 바스프의 전체 제품 중 파이오니어(Pioneer) 및 컨트리뷰터(Contributor) 제품의 매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2024년에 발표될 예정이다. 제품 평가방법 첫 단계에서는 제품이 바스프의 내부 규정은 물론 규제, 고객 및 사회적 요구사항을 충족하는지 확인한다. 이를 통과하면 두 번째 단계에서는 경쟁 제품과 비교해 제품의 지속가능성 기여도를 조사한다. 바스프는 이 두 단계에서 원자재 조달부터 최종 제품 폐기물 처리에 이르는 전체 밸류 체인을 검토하며 지역, 산업, 응용 분야별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는 6월 1일자로 신임 회장에 필립 반 후프 (Philippe Van Hoof) ING 한국 대표를 선임했다. ECCK 이사회는 전임 디어크루카트 회장의 국외 근무로 인한 사임에 따라 새로운 회장 선출을 하였으며, 필립 반 후프 신임 회장은 2025년 초로 예정된 다음 이사회 선거까지 회장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필립 반 후프(Philippe Van Hoof) 회장은 2021년부터 ING은행 한국대표로 재직 중이다. 그는 29년의 은행 산업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 보험사, 자산관리자, 증권사 및 국부펀드와 관련된 다양한 전략적 주제를 다뤘다. 총 9명으로 구성된 ECCK 이사회는 신임회장과 함께 한국에 주재한 유럽 기업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ECCK를 대표하여 활동한다. ECCK 이사회는 각 산업분야에서 경험이 풍부한 글로벌 기업의 전문가들로 성별 및 국적 등 다양성을 고려하여 구성된다.
▷ 상임이사 임명 및 보임 (2023년 6월 16일부) ▲ 경제통상협력본부장 이지형 ▲ 디지털무역투자본부장 이정훈
로레알 그룹이 6월 14일~17일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비바 테크놀로지 2023(Viva Technology 2023)’에 참가해 최신 뷰티 테크 혁신 사례와 파트너십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비바 테크놀로지’는 2016년 시작된 유럽 최대 규모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스타트업 행사다. 대한민국은 '올해의 국가'로 선정되어 국내 유망 스타트업 45개사가 참여한다. 올해 로레알은 ‘모두를 위한 아름다움과 각자를 위한 아름다움(Beauty for all & Beauty for each)’를 주제로, 개인과 집단 모두의 이익을 위한 뷰티의 힘을 강조하며 ▲개인 맞춤형 뷰티 테크 ▲진단 솔루션 ▲포용적인 뷰티 테크 ▲지속가능한 뷰티 테크 등을 선보일 예정이다. 개인 맞춤형 뷰티 테크에는 △ 화상 회의를 하면서 원하는 가상 메이크업 룩을 선택할 수 있는 메이블린 뷰티 앱(Maybelline Beauty App) △ 집에서도 손쉬운 셀프 염색을 가능케 하는 로레알 파리의 가정용 염색 디바이스 컬러소닉(COLORSONIC) △단 몇 초 만에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는 눈썹을 프린팅해주는 슈에무라 3D 슈:브로우(3D shu:brow) 등이 있다. 또한, △
글로벌 인허가 컨설팅 기업 리이치24시코리아(주)(대표 손성민)는 오는 7월 12일~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원료·소재 전문 전시회 ‘2023 인코스메틱스 코리아(2023 in-cosmetics Korea)'에서 규제 전략 세미나를 진행한다. 이번 전시회에는 중국의 리오프닝(re-opening) 이후 열리는 행사로 중국 기업의 참여 및 일본 원료사, 완제품 기업이 다수 참석이 예상된다. 손성민 대표는 “리이치24시코리아(주)는 부스 참가 및 어워즈 출품작 심사 등을 맡았다. 또 중국 화장품 신원료 규제 대응 전략 및 케이스 스터디를 주제로 실제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규제 개요 및 실제 적용, 실무 팁 등을 중심으로 발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서 손 대표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R&D 국내외 트렌드에 대한 패널 토론 진행을 맡는다고 덧붙였다. 이번 패널 토론에는 한국콜마홀딩스(주) 콜마스코필드 연구소 소장 김수진 상무, 중앙대학교 설우준 교수, (재)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안전성연구팀 양성민 선임연구원, Cosmetics Design Asia 에디터 아만다 림(Amanda Lim), Sequential Skin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
아모레퍼시픽의 라네즈가 WWF(세계자연기금)와 해양 보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WWF & LANEIGE International Sponsorship Partnership On Marine Conservation)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라네즈는 한국, 중국, 태국 3개국에서 해안 보전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라네즈는 지난 10년간 글로벌 물 부족 국가의 식수 개선 사업과 지속가능한 물 자원 보호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해 왔다. 2020년에는 WWF-Korea(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와 중장기 파트너십을 맺고, 충남 태안 국립공원 청포대 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했다. 이후 청포대 해변 일대의 쓰레기 실태를 조사하고 연중 수거 활동을 진행해, 작년 한 해 235톤의 해양 쓰레기를 수거한 바 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라네즈는 그동안 진행해 온 해양 보전 활동을 한국, 중국, 태국 3개국으로 확대한다. 한국에서는 올해도 태안 청포대 해안 쓰레기 수거사업을 지속해서 이어가고 있으며, 6월 22일에는 아모레퍼시픽 임직원이 참여하는 플로깅 활동도 진행할 예정이다. 중국에서는 지속가능한 해양자원 보전을 위한 연구기관, 단체의 활동을 후원하는 W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