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화장품협회는 ‘중국 화장품 안전성 평가 및 신원료 허가, 등록 최신 업데이트와 실무 대응 전략 웨비나’를 오는 8월 7일(목, 14:00 ~ 17:30)에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의 주제와 발표자는 ▲ 중국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제도의 최신 업데이트 내용 및 전체 버전 대응 전략_ 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 ▲ 최신 중국 화장품 신원료 규정 및 최신 등록 사례_ 리이치24시차이나 이 Xinyi Hu 순으로 진행된다. 발표 후 질의응답 시간이 별도로 정해져 있어, 각 기업관계자들의 현안 문제에 대한 답변을 들을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영상 송출 방식이며, 한국어 및 중-한 동시통역으로 진행된다. 참가 신청은 선착순 마감이며, 신청 대상자를 대상으로 웨비나 개최 1일 전에 URL링크가 메일로 전송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접속하면 된다. 신청기간은 8월 5일까지이다. (사전등록링크 : https://forms.gle/czLuHbQwemBGY4zn7 )
대한화장품협회는 일본 화장품 시장 관련 웨비나(무료)를 오는 8월 4일(월) 14:00~16:00 에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웨비나 강사는 ㈜글로우데이즈 공준식 대표다. 그는 아이스타일그룹 앳코스메코리아 지사장을 겸임하고 있다. 강의 내용은 ▲ 한일 화장품 시장의 차이에 대한 이해 ▲ 한국 화장품의 일본 시장 수출 마케팅 전략 등이다. 온라인 플랫폼(줌)을 통한 실시간 영상 송출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전 등록한 신청자에 한해 웨비나 개최 1일 전에 URL 링크를 발송한다. 참가 신청은 8월 1일까지 이며, 선착순 마감이다. ( 사전등록 링크 : https://forms.gle/8LGUpAhwdA2TJm6HA )
한국화장품수출협회(회장 이경민, 이하 화수협)는 7월 24일(목) 오후 2시부터 ‘KOTRA를 활용한 수출 도전 세미나’를 개최한다. 수출다변화 및 글로벌 사우스 지역의 신흥시장 개척에 나서려는 중소 인디브랜드에겐, 글로벌 조직과 역량을 갖춘 KOTRA 활용은 ‘기댈만한 든든한 언덕’임은 자명하다. KOTRA 홈페이지에는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사이트가 많이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KOTRA 전문가로부터 ▲ buyKOKEA ▲ TriBIG ▲ 해외경제 정보Dream를 중심으로 한 홈페이지의 사용하는 방법을 직접 현장에서 시연한다.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코트라 홈페이지의 여러 사이트를 이용하여 자사 화장품을 수출할 수 있는 지를 자세하게 설명해 줄 계획이다. 이번 세미나는 “책임판매업자 3만 명의 시대, 현재 진행형인 역대 수출실적의 70%를 견인하는 중소인디브랜드의 수출을 돕기 위해 기획됐다”고 화수협 이경민 회장은 강조했다. 아울러 화수협은 ➊ 10월 27일 UAE ‘두바이 뷰티월드 박람회 2025’ 공동부스 참가 ➋ 9월 트레바리식 화장품 공동 연구회 등 중소 인디브랜드의 Skill Up 프로그램 등을 시행한다고 예고했다. 이번 세미나는 △ KOTR
제2기 ‘화장품·뷰티 차세대 경영자 과정’ 수료식이 7월 12일 DDP패션몰 3층 서울뷰티허브에서 열렸다. 차세대 리더 양성은 대전대학교(총장 남상호)와 한국뷰티무역산업협회(회장 김성수·이하 KOBITA)가 대한민국 화장품·뷰티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경영 능력 함양, 산업발전의 핵심 인재로 키우기 위해 개설됐다. 수료식에는 과정 이수자 16명 및 교수진(임미혜 신윤창 김승중 김수미 함서영), 1기 선배, 업계 관계자 등 29명이 참석해 축하했다. 업계에선 서울화장품 한정수 대표가 참석해, 수료생들에게 덕담을 건넸다. 수료생들은 지난 4월 19일부터 매주 토요일 14회에 걸쳐 커리큘럼을 이수했다. KOBITA 김승중 부회장은 수료생에게 한 명 한 명에게 대전대 총장 명의의 수료증을 직접 전달하며 그동안의 노고를 격려했다. 또 대전대 임미혜 책임교수는 권성일·황윤성 씨에게 모범상을, 최소정·정원희·이주홍 씨에게 개근상 표창장을 각각 수여했다. 회장으로 봉사한 권성일 씨는 “3개월 정도 공부하면서 화장품산업 이해와 네트워킹, 경영 요소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 동기생들도 뜻한 바를 다 이루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2기 원우회장으로 뽑힌 황윤성
인도에 화장품 수출을 준비 중인 기업을 위한 ‘인도 화장품 규정 소개-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무료 웨비나가 오는 7월 31일(목, 14:00~16:00) 개최된다. 강의 주요 내용은 △ 법적 체계의 이해 △ 인도 법상 화장품의 정의 △ 주요 규제 요건 △ 허가 및 등록 △ 수입 규정 △ 표시기재 지침 △ 최근 규제 동향 △ 자주 발생하는 규제 위반 사례 및 예방 방안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강사는 현 Freyr 아시아태평양지역 화장품 부문 디렉터인 나그마(Naghma) 씨다. 그는 15년 이상의 화장품 및 헬스케어 분야 RA/QA 경력 보유자로 인도, 아세안 5개국, 일본, 한국 등 아태 지역 화장품 등록 및 신고 전반에 대한 규제 지원 총괄을 맡고 있다. 이번 웨비나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실시간 영상 송출 방식이다.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사전등록 링크(https://forms.gle/S6Zz3itDgea55XrT9 )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참가 신청은 선착순 마감이다. 사전 신청자에게 웨비나 개최 1일 전에 URL링크가 메일로 발송된다고 관계자는 전했다.
(사)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회장 최경철)는 2025년 8월 21일(목)~22일(금) 양일간 독성전문가 및 독성전문가 인증을 준비하는 분들, 향후 독성학 분야에서 활동할 뜻을 가진 후학들을 대상으로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한다. 본 교육은 독성학 교재에 나오는 기본전문지식과 최근 국내·외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독성인자 등 산‧학‧연 국내 독성분야 발전을 위하여 이틀간 진행된다.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로 진행될 본 교육 프로그램은 강의, 연구, 개발, GLP 교육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독성학 전문교육과정 프로그램은 독성학 개론, 호흡(흡입)독성, 노출평가, 독성물질의 약동학, 신장독성, 면역독성, 화학물질에 의한 발암, 간독성, 독성병리, 첨단의약품의 비임상평가, 유전독성, 심혈관계독성, 차세대안전성평가법, 인체위해성평가의 총 14개 전문 강좌로 진행된다. (사)한국독성학회/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회장 최경철)는 식약처 산하의 독성학 관련 학술단체다. 이번 교육은 온라인 실시간 중계로 진행된다. 신청 기한은 8월 1일까지다. (신청 방법: 학회 홈페이지 www.ksot.or.kr 참조)
산업교육연구소는 오는 7월 11일(금, 09:50~17:10)에 “폐플라스틱 재활용/자원화를 위한 정책 및 기술개발과 활용 전략 세미나”를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한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폐플라스틱 자원화 관련 내용 및 가스화 공정 기술개발, 폐플라스틱 저온 해중합 신공정, 고효율 촉매 기술 개발, 플라즈마 활용 기술개발, 인공지능(AI)를 활용한 폐플라스틱 수거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날 세미나 주제는 ▲ 정부의 폐플라스틱 재활용 활성화 방향과 지원 방안 및 주요 개정 내용 ▲ 폐플라스틱 가스화 공정 기술개발 동향과 새로운 접근 ▲ 순환경제를 위한 폐플라스틱 저온 해중합 신공정 기술개발과 활용 분야 및 사업화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기반 올레핀 제조 기술의 현황 및 고찰 ▲ 폐플라스틱 기반 수소 생산을 위한 고효율 촉매 기술개발과 경제성 ▲ 플라즈마 활용 폐플라스틱 화학적 재활용 기술개발과 활용 분야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폐플라스틱 수거ㆍ선별 기술개발과 사례 및 사업 다각화 전략 ▲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시장과 밸류체인 활성화 모색 방향 등이다. 최근 국제사회는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순환경제 전환을 핵심 의제로 삼고 있
북미 기반 글로벌 유통기업 ALC21 알렌 정 대표가 7월 15일(화) 오후 2~5시 무역협회 트레이드타워 51층 대회의실에서 ‘왜 서구권 바이어는 답장을 하지 않을까?’라는 제목으로 유통전략을 발표한다. 이번 세미나는 ‘상호관세 시대, 한국 무역의 활로와 미국/유럽 시장 진출 전략’을 주제로 한국무역협회와 한국무역신문이 공동 주최한다. 알렌 정 대표의 발표 내용은 ▲ 한국 소비재 기업이 알아야 할 서구권 오프라인 유통 진출의 실전 전략과 커뮤니케이션 방식 ▲ ALC21이 직접 뚫은 북미·유럽 유통망 구축 인큐베이팅 사례와 바이어 응답을 이끌어내는 전략 ▲ 북미와 유럽 현지계 바이어가 움직이는 진짜 이유, 그 심리와 구조 공개 ▲ ALC21의 유통 인큐베이팅 실전 사례로 배우는 서구권 리테일 진입 전략 ▲ Costco, Walmart, Rossmann, Douglas 등 대형 유통망 실제 입점 구조와 아마존 컨설팅, 베스트 셀러 및 성공 사례를 통해 본 유통 전략 등이다. 알렌 정 대표는 “북미·유럽 바이어들이 실제로 반응하는 구조는 우리가 알고 있는 상식과 다르다. 바이어가 우리를 선택하게 만드는 게 핵심이다. 이번 세미나에서 ➊ 바이어가 먼저 연락 오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