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 시행된 이후 처음으로 FDA 관계자가 방한했다. 7월 12일 누리꿈스퀘어(서울 상암동 소재)에서 ‘미국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 업데이트’ 세미나가 식약처 주최로 열렸다. 미국 FDA 화장품 담당과장 린다 캇즈(Dr. Linda Katz_ Director, office of Cosmetics & Colors) 박사와 프라실라 망가(Deputy Director Office of Cosmetics and Colors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박사가 참석, 한국 화장품기업 관계자와 직접 질의응답을 가졌다. 세미나는 일찍부터 참석 신청이 몰렸으며, 이날 338명이 참석, 만석을 기록했다. 앞서 식약처 신준수 바이오생약국장은 “린다 캇즈 과장은 지난 1월 30일 1330명이 접속한 웨비나에서 MoCRA 업데이트 내용을 설명한 바 있다, 40여 개의 사전 질의 및 추가 질문에도 추후 서면으로 답변을 주신데 대해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린다”라며 “이번 세미나를 통해 국내 기업이 MoCRA 규제 정보와 미국 화장품시장에 대한 국내 기업의 이해도를 높이고 실질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과연 우리나라 자외선차단제를 미국에 판매할 수 있을까? ‘미국 판매 호조’ 소식이 들리지만 미국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 시행에 따라 수출기업들 사이에선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로 ▲ 자외선차단제에 대한 국가별 차이 ▲ 제조사의 리스크 ▲ 신제품 차별화 어려움 등이 꼽힌다. 지난 7월 2일 대한화장품협회 주최 ‘미국 OTC Sunscreen Monograph' 웨비나에는 280여 명이 접속, 사전+실시간 40여 개 질의가 쏟아졌다. 기업들은 FDA의 OTC 관리와 제조사 실사, 라벨 표기 관련 고민과 불안을 털어놓았다. 강의를 맡은 칼 뒤르즈(Carl D'Ruiz)는 PCPC(미국화장품협회)의 자외선차단제 컨소시엄 DSM-Firmenich의 수석과학자다. 웨비나의 대표 질문은, ➊ OTC 등록 진행 비용이 품목 당 5천만원이 소요되는데 제품에 따라 다른 것인지 아니면 비용이 모두 동일한 건지? ➋ 미국 수출시 선크림 성분 포함 OTC 등록이 법적 필수사항인지, 인증이 없을 시 아예 수출이 불가능한지? 또 아마존 판매 제품은 어떻게 되는지? ➌ 미국 소비자의 역직구 구매는 OTC 미등록, 한국 주성분 기준으로 개발된 제품인데 미국 통관 또
‘2024 IECSC 미용박람회’가 6월 22일 라스베가스 컨벤션센터에서 개막, 에스테틱 관련 산업의 현주소를 보여주었다. 매년 IECSC 뉴욕과 함께 라스베가스 미용박람회에는 스파/살롱 및 에스테틱 카테고리 전시회로 많은 참관객이 방문한다. 해외전시기업 코이코(KOECO, 대표 김성수)에 따르면 올해 한국관에는 국내 유망 기업인 ‘메디상스’, ‘주식회사 닥터오레고닌’, ‘아이엔지알’, ‘파켓’, ‘기베스트’, ‘코스비즈인터내셔날’, ‘원트릴리온’, ‘슈요니’, ‘제니모리’, ‘다보르’, ‘에스알바이오텍’, ‘하호메디’ 등의 기업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세계 1위 규모인 미국 화장품 시장 내 한국 화장품 수입액 비중은 약 13.4%로 3위로 랭크될 만큼 K-뷰티에 대한 관심이 상당하다고 한다. 실제 한국관 부스 내에서는 바이어 미팅이 분 단위로 진행되며 미팅이 끊임없이 진행됐다고 코이코는 전했다. 한국공동관 참가 A사는 “미국 시장에서 한국 뷰티 제품들이 좋은 인식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알리고, 유통채널과의 대화를 갖게 돼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매년 라스베가스 IECSC와 동시에 IBS (Internation
미국 화장품규제 현대화법(MoCRA)의 시설 및 제품 등록 의무화 규정이 불과 1주일 후인 7월 1일부터 발효된다. FDA가 1938년 ‘연방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법’ 제정 후 84년만에 바뀌는데 화장품 규제가 핵심이다. 업계에서는 7월 1일 이후 FDA의 행보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올해 1~5월 누계 미국향 화장품 수출은 7억 1428만달러로 68%나 증가했다. 총 수출액 중 18%를 차지하는 등 미국 시장 변화에 따라 수출 환경이 출렁될 가능성도 있어, 기업별 각별한 관심과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 1월 31일 식약처 초청 설명회에서 미국 FDA 담당 과장 린다 캣즈(Dr. Linda Katz_ Director, office of Cosmetics & Colors)는 △ 미국 MoCRA 시행 배경과 개요, △ 제품리스팅+시설등록, △ 코스메틱스 디렉트(Cosmetics Direct), △ 법정 기한 등을 소개하고, 41개 항목의 사전질의, 실시간 채팅에 대해 답변했다. 린다 캣즈 박사는 “MoCRA 시행 이후 FDA 권한은 ▲ 1938년 이후 화장품 규제법에 있어 중요한 첫 번째 변경 사항 ▲ FD&C 법 하에서 신규 권한 부여 ▲ FD
대한화장품협회는 오는 7월 12일(금) 오전 10~12시30분 서울 FKI타워 그랜드볼룸에서 ‘미국 화장품제도 및 뷰티시장 전망 세미나’를 개최한다. 세미나에는 FDA 수석과학자실의 수석 고문이자 화장품 및 색소 첨가제 부서(OCAC) 부장인 린다 캣츠(Linda M. Katz) 박사가 ‘MoCRA(미국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을 강의한다. 그는 화장품을 규제하며 식품, 화장품, 의약품, 의료기기에 사용되는 색소 첨가제를 인증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어 유로모니터 홍희정 총괄연구원이 ‘2024년 미국 뷰티 시장 전망 및 소비자 트렌드’를 설명한다. 홍 총괄연구원은 유로모니터 뷰티&패션 전문가로 국내외 뷰티 시장 동향과 조사분석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K-뷰티 관련하여 이와 관련된 국내, 국외 마켓 인사이트 전문가로써 다양한 기업 및 미디어에게 관련 인사이트를 전달하고 있다. 세미나는 영-한 동시통역으로 진행되며 신청 마감은 5월 31일이다. (사전등록 링크: https://forms.gle/975GGEEa7EZkGZy19 )
9일 열린 대한화장품협회 주최 ‘MoCRA 시설등록, 제품리스팅, 라벨링’ 웨비나는 접속자 수가 408명에 질문이 쏟아지는 등 뜨거운 열기로 가득했다. 협회 관계자는 올해 진행 중인 웨비나 가운데 가장 많이 참가했으며 만족도도 4.8점으로 가장 높다고 귀띔했다. 강사로 나선 엠톰글로벌(MTOM Global) 존권(John Kwon) 대표는 “7월 1일 등록까지 앞으로 50일 남았다. 늦어도 6월 초까지 등록하길 권장한다. 에러나 수정을 고려해 필요할 경우 FDA 담당자에게 직접 문의해서 답을 확인해야 함으로 여유있게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접속해보니 한국이 속도가 느리거나 끊기는 경우가 발생해 미리 등록할 것을 권했다. 이날 웨비나에서 존권 대표는 시설등록, 제품 리스팅의 로그인 계정 만들기부터 항목 별로 하나씩 체크하며 직접 시연해 실무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ID는 최소 8개 대문자-소문자-숫자로, Password는 최소 15개 대문자-소문자-숫자-특수기호 포함, Security Question은 최소 4개 글자를 기재해야 한다. 계정 로그인 후 서비스 약관 동의 버튼을 클릭해야 비로소 등록이 가능
마케팅은 어렵다. 과잉시대이다 보니 “소비자의 95%는 자기 의지로 물건을 사지 않는다”고 한다. (Duck Tape Marketing, 존 잰스) 하물며 외국의 이름 없는 중소 브랜드가 북미를 두드리면 당연히 벽에 부닥칠 일뿐이 없다. 그래서 “구조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고 북미 컨설턴트 ALC21 알렌 정 대표는 말한다. 셀러(seller)인 브랜드사라면 북미 바이어(buyer)의 마인드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는 게다. 소비자를 알고, 바이어의 마음을 훔칠 수 있어야 한다. 이른바 초크 포인트(choke point)를 공략할 수 있어야 한다. 22일 열린 씨앤씨뉴스와 ALC21이 주최한 ‘북미 현지화 마케팅 및 글로벌 유통 세미나’에는 ‘정확한’ 마케팅을 원하는 10개사만 초대돼, ‘진솔한’ 대화를 나눴다. 기업들의 어려움은 북미 시장의 낯섦과 ‘메이저’라는 무게감이다. ALC21 알렌 정 대표는 “소비재 중에서 뷰티 아이템은 마진이 크다. 바이어들이 취급하고 싶어 하는 상품이다. 또 메이저에서 통하면 글로벌 어느 곳에서라도 판매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시장의 성격에 대해 그는 “한국에서 마케팅 목표가 매출 성적서라면 북미에선 고객 이해에 중점을 둬야
북미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노드하이브(Nordhive)는 6일 토론토 프로메나드몰(Promenade Mall)에서 전용 팝업스토어 오픈 3개월 기념 이벤트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K-pop & K-beauty 이벤트로 노드하이브 소속 인플루언서, 모델, 포토그래퍼 등이 대거 참석했다. 모회사인 ALC21은 3개월여 준비 끝에 기업 컨설팅을 통해 제품 선정부터 인테리어까지 매출을 올리는 시스템을 구축해 처음 선보인 자리였다고 설명했다. ALC21 알렌 정 대표는 “노드하이브는 북미 현지 소비자 & 바이어 대상 한국 브랜드 현지화 콘텐츠를 구축한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이다. 이번에 소속 인플루언서와 모델을 초대해 함께 소통하며 의견에 귀기울이는 자리를 가졌다”라며 “결국 모든 답은 책상이 아닌 고객과 현장에 존재한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초대 받은 인플루언서들은 스토어에서 판매 중인 BT21, K-pop, 카카오프렌즈, K-뷰티 제품에 큰 관심을 보였다. 특히 행사 하이라이트인 박카스젤리의 한정판 ‘박카스 젤리×Riize'가 북미에서 첫 선을 보이며 분위기를 뜨겁게 달궜다. 또 WHEN Beauty, 비건어스, 임피엘, 메이드미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