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전체기사 보기

’20년 화장품 무역수지 61억달러 역대 최고 기록

수출액 75.8억-수입액 14.8억달러...목욕용·영유아용·면도용·두발용 등 급증, 품목 다변화 특징

2020년 화장품 무역수지가 61억달러(6조 7283억원) 흑자로 잠정 집계됐다. 역대 사상 최고의 흑자 기록이다. 대한화장품협회에 따르면 수출액은 75억 7517만달러, 수입액은 14억 8267만달러다. 우리나라의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4년 처음으로 5억달러 흑자를 기록한 이래 7년째 흑자 행진 중이다. 2014년 대비 2020년 흑자액은 1250% 늘어나는 등 매년 흑자 폭도 커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화장품은 수출유망 5대 품목에 선정되었고, 코로나19로 수출경기가 하향세임에도 화장품은 전년 대비 16.1%나 증가하며 수출효자 품목으로서 위상을 다졌다. 역시 중국 수출이 전년보다 24.5% 증가하며 화장품 수출을 주도했다. 중국 수입화장품시장에서 일본-프랑스에 이어 3위로 하락했지만 중국 화장품 소비회복세가 코로나19에도 6월 +20.5% 급증하는 데 힘입어 K-뷰티도 수혜를 입었다. 국가별로는 10대 수출국 순위는 2019년과 동일했다. 10대국 중 일본 59.2% 중국 24.5% 미국 21.6% 등 상위권이 두 자릿수 성장하며 전체 수출을 이끌었다. 홍콩은 중국 직수출 영향으로 22.8% 감소했으나 수출액 기준으로 2위를 유지했다. 다만 2위 홍콩

中 ‘디지털위안화’...현금+무역결제 대체 실험

디지털위안화(数字人民币)로 현금처럼 사용...알리페이, 위챗페이와 공존 국제 기축통화, 미국 금융제재 회피 목적으로 도입 일정 단축

중국이 12일 ‘디지털위안’를 선보였다. 인민은행은 광둥성 선전시민 5만명에게 각각 200위안(3만4천원)씩 총 1천만위안의 법정 디지털 화폐를 추첨을 통해 나눠준다. 시민 191만명이 신청했다. 시민들은 ‘디지털위안’ 앱을 통해 18일까지 일주일 간 선전의 3389개의 지정 상업시설에서 사용하게 된다. 이번 중국의 법정 디지털 화폐 공개 운영시험은 전면 도입을 앞둔 테스트다. 발행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중국에서는 2022년 북경동계올림픽에 맞춰 디지털위안 발행 가능성이 크다는 예측이다. #1 모바일에 전자지갑 앱 설치 후 사용 인민은행은 디지털위안화의 안정성 및 무결성을 점검하고 기술적 결함으로 인해 이용자 손실 우려를 고려해 실제 발행까지는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디지털위안화가 익명성을 보장하지만 중앙은행에 막대한 소액 결제정보가 집중되어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법률 정비 필요성, 해킹 등으로부터 안전성을 철저히 보장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디지털위안화는 먼저 명칭부터 다르다. 글로벌 용어인 CBDC(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대신 결제기능이 강조된 DCEP(数字货

9월 화장품수출 월간 신기록 8.4억달러 ‘어닝 서프라이즈’

전년 대비 48.8%↑...중국(+68%)·아세안(62%)·미국(60%) 등 큰 폭 증가 솽스이(11.11) 물량 입고로 중국(4.3억달러) 월간 신기록...미국도 4개월 연속 증가세

화장품 수출액이 역대 월간 최고액을 기록하며 순항을 이어갔다. 10월 1일 발표된 9월 화장품 수출액은 8.4억달러로 48.8% 증가한 어닝 서프라이즈였다. 화장품 월간 수출액이 8억달러를 넘은 것은 사상 처음. 지난 3월에 처음으로 7.6억달러를 기록 첫 7억달러대를 넘어선 게 최고 기록이었다. 불과 5개월만에 8억달러대를 돌파함으로써 수출품목 중 비내구성 소비재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통상산업부는 “K-뷰티에 대한 글로벌 선호로 기초화장품(47%), 세안용품(62.6%), 면도제품(479.9%) 등이 호조세를 보이며 4개월 연속 플러스를 보였다”고 밝혔다. 20대 수출품목 중 바이오헬스 79.3%, 컴퓨터 66.8%에 이은 증가율 3위로 화장품이 수출 효자 품목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줬다는 평가다. 5대 유망 소비재 중에서도 월등한 실적으로 선두에 올라섰다. 지역별로는 중국, 아세안, 미국을 비롯한 전체 지역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중국 4.3억달러(+68%) ▲아세안 0.7억달러(+62.1%) ▲미국 0.6억달러(59.5%) 등이 높은 신장세를 보였다. 중국은 쇼핑축제인 솽스이(11·11, 광군제)의 사전 물량이 입고되면서 전체 화장품 물량이 증

‘중국이 살길’...7월 화장품수출 15.7%↑

중국(+12%), 미국(+29%)향 수출 호조...기초·메이크업 3.5억달러 기록 중국 소비자들 “화장품은 고정 소비재”...라이브 커머스 활용이 K-뷰티 기업 성적표 좌우

수출 효자 소비재 품목인 화장품의 7월 수출액이 5.88억달러를 기록하며 순항했다. 전년 대비 +15.7% 증가한 수치. 20대 주요 품목 중 플러스를 기록한 8개 중 증가율 4위다. 산업통상부는 ①K-뷰티의 급속한 성장 속 화장품 최대 수출지역인 중국(비중 46.7%)·미국(비중 10.9%)에서의 호조 ②메이크업·기초화장품, 두발용 제품, 세안용품 등의 2개월 연속 증가 등의 요인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지역별로는 중국 2.1억달러(+12.0%), 미국 0.5억달러(+29.3%)에서 큰 폭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메이크업・기초화장품 3.5억 달러(7.7%), 두발용제품 0.27억달러(37.4%), 세안용품 0.14억달러(14.3%) 등을 기록했다.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수출은 중국 화장품시장의 소비 회복에 힘입어 순항 중이다. 코트라의 ‘2분기 중국경제성장률 보고’에 따르면 “중국 화장품 소비는 3월까지 마이너스 성장을 유지했으나 4월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였으며, 고정 소비품으로 돌아서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또 6·18쇼핑데이 영향으로 6월에만 +20.5% 증가했다. 이로써 ‘20년 1~6월 화장품 소비증가율은 △13.2%(1분기) →△0.2

코로나로 달라진 미국 소비 트렌드

낮아진 시장 진입장벽...e커머스+틈새 진출, 가성비 높은 스토어 브랜드+D2C로 대응 유망품목...홈뷰티케어, 비건 퍼스널케어, 세척제·손소독제 등

확진자 수 195만 1096명, 사망자 수 11만 770명. 6월 10일 현재 미국의 코로나19 피해 현황이다. 코로나19는 미국의 소비 트렌드를 바꿔놓았다. 코트라(KOTRA)는 최근 ‘코로나19가 바꾼 미국 소비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e커머스 활성화 ▲집에서, 따로 또 같이 ▲생활방역 시대의 도래 ▲정신건강을 지켜라 ▲buy local 열풍 등을 주요 트렌드로 꼽았다. 미국은 3월 중순 셧다운 이후 10주간 4천만명 이상 실업자 발생, 4월 실업률 14.7%로 급증했으며 소매판매는 전월비 16.4% 급감했다. 5월 중순부터 주정부 별로 단계적 경제재개를 시작했으며, 현재 50개 주가 동참했다. 연방정부는 대규모 경기부양책 마련, 연준은 제로금리 향후 3년간 유지 등을 선언하며 전폭적인 유동성을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물지표가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경제회복은 2~3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구매패턴이 온라인으로 급속히 바뀌며 구매의 디지털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이다. 신선식품, 자동차, 가구 등 온라인을 통한 제품 구매 영역은 더욱 확대되고 성장함에 따라 온라인 소비자 쇼핑을 돕는 인공지능(AI), 증강현실(AR)

2020년 화장품수출 73억불 +11.9%전망

보건산업진흥원 ‘20.1Q 화장품수출 분석...손 세정제 +64%↑, 온라인 유통채널 확대, 신남·북방 수출 다변화 등

2020년 화장품 수출은 전년 대비 11.9% 증가한 73억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보건산업진흥원이 예측했다. 보건산업진흥원은 “1/4분기 화장품 수출액이 17.7억달러(+16.3%)를 기록, 당초 코로나19 여파로 수출 위축 우려에도 불구하고 두 자릿수 성장률을 보이며 선전했다”고 분석했다. 그 이유로 ▲손 세정제가 포함된 ‘계면활성제품과 조제품(0.6억달러, +64.0%)’이 코로나19의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으로 큰 폭 증가 ▲국내 화장품산업은 온라인·모바일 대중화에 따른 유통채널 확대로 내수뿐 아니라 수출 활성화 기대 ▲중국·홍콩 등 중화권 외에 잠재력 있는 신시장 수출국 다변화로 수출 증진 기여 등을 꼽았다. 국가별로는 대 중국 수출은 3월 +63% 증가에 힘입어 1분기에만 8.4억달러를 기록 점유율 1위를 차지했다. 대 홍콩 수출은 1분기 10.2% 감소하며 둔화됐지만 3월 들어 9.0% 반등하는 등 회복세가 주목된다. 특히 주목할 국가가 대 일본 수출로 1분기 성장률이 +42.6%로 증가하며 작년까지 4위였던 순위를 미국을 제치고 3위로 끌어올렸다. 이밖에 캐나다(+42.3%) 및 러시아,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신남·북방 지역의 수출




포토

더보기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