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코보가 독자적인 발효 시카 콤플렉스 성분을 통해 즉각적인 피부 열 진정은 물론 강력한 보습효과를 전할 진정 스킨케어 라인 2종, ‘시카 카밍 아쿠아 패드’와 ‘시카 카밍 젤 크림’을 출시한다. 발효 시카와 입자별 멀티 히알루론산이 피부 급속 진정 및 수분 충전을 도와준다고 한다. 즉각적 보습, 수분 손실량, 사용 24시간 후 보습 등 3종 임상을 모두 완료해 오랜 시간 탁월한 보습 유지력을 입증했으며, 민감성 피부 적합 테스트도 완료했다. 먼저, ‘시카 카밍 아쿠아 패드’는 사용 후 3초만에 피부 온도를 감소시켜주는 탁월한 쿨링 효과가 특징이다. 특히 물방울 엠보 양면 패드로 촉촉하면서 부드럽게 피부 결 정돈이 가능하며, 피부에 얇고 투명하게 밀착되어 토너 팩 용으로도 활용하기 적합하다. ‘시카 카밍 젤 크림’은 에코 티트리 성분이 함유된 수분 젤 크림으로 외부 자극에 의해 손상된 피부의 빠른 진정을 도우며, 푸딩같이 수분감이 터지는 탱글하고 산뜻한 텍스처로 빈틈없는 레이어링 보습 케어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는 5월 2일~5월 31일까지 ‘2024년 일반분야(트랙( 2차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에 참여할 중소기업을 모집한다. ‘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사업’은 수출 희망 중소기업에게 수출대상국이 요구하는 인증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인증비, 시험비, 상담비(컨설팅비) 등 소요비용의 일부(50%~70%)를 기업 당 최대 1억원을 지원한다. 이번 일반분야(트랙) 2차 모집은 유럽 CE, 미국 FDA, 중국 NMPA 등 수출대상국에서 요구하는 536개 해외인증 획득 비용을 약 200개사 내외에 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진행하는 신속 지원을 위해 평가 기간을 줄인 신속분야(패스트트랙)는 8.30일까지 상시 접수 한다. 패스트트랙 인증 7종은 △ 유럽 CE(전기전자, 통신 및 기계분야) △ 미국 FCC(전기전자) △ 국제 IECEE(전기전자) △ 일본 PSE(전기전자) △ 유럽 CPNP(화장품) △ 국제 HALAL(식품, 화장품 등) △ 미국 FDA(의료기기 class1) 등이 해당된다. 해외인증 획득 관련 빈번한 질문 가운데 ▲ 사업공고일 이전에 진행된 시험비용 인정은? = 인증서가 공고일 이후에 발행되는 경우 지원이 가능 ▲ 인증획득 후 매년 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2018년~2029년까지의 글로벌 보건산업 시장규모를 국가별, 대륙별, 경제권별로 정리한 정기간행물 ‘글로벌 보건산업 시장규모(2018~2029)’를 발간하였다. 본 자료는 제약, 의료기기, 화장품 등 보건제조산업과 의료서비스산업을 포함한 보건산업에 대한 약 211개 국가의 산업별 시장규모를 정리한 자료다. 이번에 수록된 내용에 따르면 전세계 보건산업 시장규모는 2022년 12조 7,971억 달러로 지난 5년(’18년~’22년) 연평균 4.8%의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2029년까지 연평균 6.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세부 산업별 시장규모를 살펴보면, △ 제약산업 1조 4,410억 달러, △ 의료기기산업 4,814억 달러, △ 화장품산업 4,632억 달러, △ 의료서비스산업 10조 4,113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2022년 보건산업 시장규모가 가장 큰 국가는 미국(5조 4,526억 달러)으로, 글로벌 보건산업 시장의 42.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2위(중국, 1조 2,775억 달러), 3위(독일, 6,425억 달러) ] 우리나라의 2022년 보건산업 시장규모는 2,029억 달러로 세계시장의 1.6%를 차지하
화장품 종사인원이 바이오헬스산업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2년 바이오헬스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화장품은 제약, 의료기기에 비해 3만여 명이 많았다. 전체 종사자 수는 34만 2167명이며 부문별로 △ 화장품 13만 186명(+0.04%) △ 의료기기 10만 9996명(+7.2%) △ 제약 10만 1984명(+1.8%) 순이었다. 이번 보고서는 바이오헬스산업 관련 제품을 제조, 수입 및 연구 개발하는 기업체를 대상으로 △ 매출(산업별, 유형별) △ 인력(산업별, 직무별, 전문인력) △ 연구개발(재원별, 사용별, 세부 산업별, 산업재산권) △ 해외진출(진출 유형, 글로벌 협력활동) 등의 실태 조사 결과를 담고 있다. 먼저 바이오헬스산업의 매출 규모는 134조 2929억원(+7.3%)으로 나타났다. 부문별로 △ 제약 50조 원(+13.3%) △ 의료기기 45조원(+15.6%) △ 화장품 39조원(-6.8%) 순이었다. 연구개발비는 6조 3068억원(+9.7%)였으며 부문별로 △ 제약 3조 9,893억 원(+8.5%), △ 의료기기 1조 5865억 원(+15.8%), △ 화장품 7,311억 원(+4.3%) 등이었다.
토코보는 발효 시카 콤플렉스 성분을 함유한 진정 선케어 2종을 29일(월) 선보였다. 이번 신제품은 SPF 50+ PA++++로 강력한 자외선 차단력은 물론 발효 시카 콤플렉스, 10종 히알루론산 등의 성분을 함유했다. 토코보의 신제품 진정 선케어 2종은 피부 타입 및 기호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두 제품 모두 민감성 피부 사용, 여드름성 피부 사용, 피부 저자극 테스트, 피부 온도 감소 테스트까지 모두 완료했으며, 해양 생태계에 유해한 원료를 배제한 리프 세이프(REEF SAFE) 선크림이다. ‘시카 카밍 선 세럼’은 60% 이상 보습 성분으로 촉촉하고 가볍게 스며들어 끈적임 없는 사용감을 선사하며 10중 히알루론산 및 알로에잎추출물 등이 수분감을 채워준다. 스틱 타입의 ‘시카 쿨링 선 스틱’은 박하 가루 성분이 함유되어 시원한 쿨링감으로 자극받은 피부를 빠르게 진정시켜주는 멀티밤 제형이라는 설명이다.
아모레퍼시픽의 저자극 더마 보습 브랜드 일리윤이 트러블성 피부를 위한 'AC 시카 트러블 바디케어’ 3종을 출시한다. AC 시카 트러블 케어 라인은 바디 미스트, 바디워시, 필링스크럽 3종으로 구성했다. 바디 미스트는 각종 인체 적용 시험을 통해 7일만에 각질과 피지, 잡티 등의 트러블 개선, 미백 기능성 인증으로 색소침착 등의 트러블 흔적 완화하는 효과를 확인했다고 한다. 사용 직후 붉은 기와 열감, 수분감 개선 등 진정 효과를 제공하고 논코메도제닉 테스트를 통과해 여드름성 피부사용은 물론 알코올 냄새 걱정을 줄여준다. 바디워시는 여드름 기능성 인증을 받은 제품으로 7일 만에 등드름, 가드름을 케어한다. 살리실산 2% 함유로 확실한 각질 개선과 99.8%의 항균 효과를 담아 트러블 유발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준다는 설명이다. 필링스 크럽은 자극지수 0.00으로 여드름 피부도 순하게 각질과 피지 케어를 할 수 있다.
프탈레이트 7종에 대한 통합 위해성 평가 결과 안전한 수준이라고 식약처 식품안전평가원이 밝혔다. 프탈레이트 7종(DEP, DBP, BBP, DEHP, DNOP, DIDP, DINP)은 플라스틱을 유연하게 만드는 가소제로 화장품, 식품용 기구·용기, 생활용품 등에 널리 사용된다. 노출량 평가는 노출경로(흡입, 경구, 피부), 노출원(식품, 화장품, 위생용품 등), 식품 섭취량 및 제품 사용빈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체내로 들어오는 프탈레이트의 총 노출량을 산출하고 인체노출안전기준과 비교하여 위해지수(총 노출량/인체노출안전기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총 노출량을 인체 노출안전기준으로 나눈 값인 위해지수는 1 미만이면 안전하다고 판단한다. 평가 결과 프탈레이트 7종의 체내 총 노출량은 0.005~1.145 μg/kg체중/일로, 위해지수는 최대 0.029(2.9%)로 인체에 위해 발생 우려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성인은 식품용 기구·용기에서 가공식품으로 이행되는 프탈레이트류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어린이는 장난감 등 어린이 용품을 통해 노출됐다. 식약처는 프탈레이트류의 기준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에서 노출량이 ‘20년에
아모레퍼시픽이 일본 소비자를 직접 찾아가는 대형 프로모션을 2년 연속 진행한다. ‘아모파시페스(アモパシフェス)’라는 이름의 이번 행사는 4월 20일부터 오는 5월 31일까지 5주간 진행될 예정이다. 올해는 일본을 대표하는 버라이어티 스토어인 ‘로프트(Loft)’의 전국 10개 매장(시부야, 이케부쿠로, 긴자, 키치죠지, 요코하마, 치바, 센다이, 우메다, 쿄토, 텐진)에서 진행된다. 지난해에는 6월 28일부터 2주간 일본 도쿄 하라주쿠에 위치한 ‘앳코스메 도쿄(@cosme Tokyo)’에서 아모파시페스 행사를 개최했었다. 당시 예약 페이지 오픈 2일 만에 방문 예약이 모두 완료되고 약 10만 개의 고객 체험 샘플이 모두 소진될 정도로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올해 아모파시페스행사에는 이미 일본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는 이니스프리, 에뛰드, 라네즈, 에스트라, 프리메라, 에스쁘아, 미쟝센에 더해 미진출 브랜드인 비레디, 롱테이크, 퍼즐우드, 아이오페까지 총 11개 브랜드가 집결했다. 이니스프리 레티놀시카 흔적 세럼, 라네즈 바운시 슬리핑 마스크, 에뛰드 플레이 컬러 아이즈, 프리메라 유스래디언스 비타티놀세럼 등 각 브랜드의 주력 및 최신 제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와 KOTRA(사장 유정열)는 대중국 소비재 수출 확대를 위해 이달 23일 중국 상하이에서 ‘K-라이프스타일 인 상하이(K-Lifesytle in Shanghai)’를 개최했다. 정부가 지난 1월 발표한 ‘수출·투자를 통한 민생 경제 활력 회복’ 대책의 일환으로 개최된 이번 행사는 변화하는 중국 소비 트렌드에 맞는 프리미엄 소비재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는 ▲ K-소비재 파워셀러 오프라인 수출상담회(이하 수출상담회) ▲ 한-중 소비재 기업 비즈니스 협력 포럼(이하 비즈니스 포럼) ▲ K-소비재 우수상품 샘플 전시 쇼케이스 ▲ K-소비재 중국 인증 취득을 위한 기업 컨설팅 등으로 구성됐다. 중국 유력 바이어 100개사와 한국기업 98개사가 참가한 수출상담회에서는 열띤 온·오프라인 상담이 진행됐다. 중국 소비자의 높아진 눈높이에 따라 프리미엄 수입 제품을 찾는 바이어 수요에 맞춰 ▲ 뷰티·퍼스널케어 ▲ 건강식품 ▲ 생활용품 등 카테고리별 상담회가 진행됐다. 이번 사업을 통해 올해 성과가 예상되는 수출 유망 프로젝트는 총 50여 건으로 그중 임산부용품 전문기업 T사는 현장에서 약 230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한
토니모리가 피부에 얇게 밀착되어 생기를 더할 수 있는 ‘치크톤 젤리 블러셔’ 신규 컬러 4종을 론칭한다. 치크톤 젤리 블러셔는 기존 △ 1호 포그 핑크, △ 2호 누디 엠버, △ 3호 로즈 쿼츠 총 3가지 색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번에 런칭한 신규 컬러는 △ 4호 퍼지 피치, △ 5호 발레 핑크, △ 6호 버블 핑크, △ 7호 레어 라벤더로 총 4종이 추가되었다. ‘4호 퍼지 피치’는 상큼한 피치 코랄 빛으로 발랄한 분위기 연출, ‘5호 발레 핑크’는 밝고 화사한 벚꽃 핑크빛으로 로맨틱한 연출의 쿨톤에게 제격이다. ‘6호 버블 핑크’은 체리 핑크빛을 띈 컬러로, 러블리한 분위기에, 밀키한 핑크 바이올렛 빛을 가진 ‘7호 레어 라벤더’는 쿨톤이 퓨어한 분위기를 내고 싶을 때 활용하기 좋다. 토니모리의 ‘치크톤 젤리 블러셔’ 시리즈는 작고 귀여운 용기에 퍼프가 내장되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내장되어 있는 퍼프에 적당량을 덜어 볼 위에 가볍게 두드리듯이 발라주는 것이 치크톤 젤리 블러셔를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이다. 가루 날림이 없이 부드럽고 매끄럽게 발색 되는 젤리 텍스처가 들뜸 없이 표현되어 맑은 컬러 그대로 생기 가득한 치크
쏘내추럴(SO’ NATURAL)은 촉촉하고 워터리한 제형으로 시작하여 매트하게 마무리되는 ‘워터 블러 프라이머’를 선보였다. 촉촉한 수분감으로 가볍게 발라도 피부에 밀착돼 파우더를 바른 듯 보송한 피부 표현이 가능한 모공 프라이머라는 설명이다. 52%의 보습 성분이 함유되어 피부에 보습감과 함께 모공을 커버하고 피붓결을 매끈하게 정돈하여 메이크업 전 최상의 컨디션으로 피부를 세팅해준다고 한다. 얼굴의 굴곡진 스팟에 부드럽게 밀착되는 것이 특징으로 모공과 잔주름을 매끈하게 보정하여 블러 처리를 한 듯 피부 결점을 커버해 준다. 또 피지와 유분을 확실하게 잡아주어 메이크업 지속력을 높여준다. 기초 케어 후 톤업 선크림 전 단계에 사용하면 탄탄하고 매끈한 피부 표현이 가능하다고 한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은 화장품 안전성 평가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24년 1차 정규교육을 오는 5월 개최한다. 세부 일정으로 5월 22일(수)~24일(금), 5월 30일(목)~31일(금) 총 5일 30시간의 교육이 서울특별시 강남역 인근의 위플레이스 본점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화장품 안전성 평가 업무를 수행하거나 이에 관심이 있는 화장품 관련 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소규모(50명, 선착순)로 모집한다. 교육 신청기한은 오는 05월 17일 16:00까지이며, 지난 교육의 경우 모두 조기 마감된 바 있어 희망자라면 빠른 신청이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전했다. 교육과정은 기존 4일(24h)에서 5일(30h)로 교육 시간이 확대되며, 화장품 안전성 평가보고서의 구성과 독성동태학, 그리고 화장품 품질관리에 대한 강의를 추가했다. 이번 정규 교육에는 유럽 화장품 독성학자인 Laurie Punch를 초청한다. Laurie Punch는 현재 프랑스 화장품 중소기업협회(COSMED)에서 에센셜 오일 컨소시엄 코디네이터로 근무하고 있으며, 이번 강의에서 EU 규제(EC) N°1223/2009에 따른 EU 화장품 규정 개요를 소개하고 제품정보파일 (PIF)을 준비하는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는 4월 30일(화) 아침 9시 30분 ‘캘리포니아 Proposition 65가 화장품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웨비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금번 웨비나는 RegToxSolutions Inc.의 TOM JONAITIS 대표가 강사로 나선다. TOM JONAITIS 대표는 캐나다 토론토 대학에서 독성학을 전공했으며, Intertek에서 약 13년간 컨설턴트로 경험을 쌓은 후, 2018년에 RegToxSolutions Inc.을 설립했다. 웨비나는 △ 캘리포니아 Proposition 65(식수안전 및 독성물질관리법) 제도 개요 △ 화장품 산업에 미치는 영향 △ 자주하는 질문 △ 규제를 준수하고 시행에 대비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며, 실시간 질의응답 시간도 있을 예정이다. (신청 링크: 대한화장품협회 홈페이지(www.kcia.or.kr) https://forms.gle/yEmQp6vqo4LRyNC48 )
해외 직구 화장품에 대해 식약처가 소비자 피해 주의보를 8일 발령했다. 화장품의 해외직구는 (‘20) 4,469건 → (’21) 5,209건 → (‘22) 6,289건 (통관 기준)으로 매년 증가세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해외 플랫폼 이용이 급증함에 따라 소비자 피해가 우려돼 구매시 주의사항과 도움이 되는 정보를 안내했다. 첫째 소비자 피해 유형은 의학적 효능·효과 표방 허위·과대 광고, 허위 후기, 파손제품배송 등이다. 화장품은 의약품이 아니므로 화장품을 피부염 호전, 염증 완화, 지방분해 등 의학적 효능·효과가 있는 것처럼 허위·과대하는 광고가 있으므로 구매하면 안된다. 둘째 국내에 같은 제품명을 가진 화장품이 있더라도 국가별로 사용금지 원료에 차이가 있어 성분·함량이 다를 수 있다. 이를 확인하려면 의약품안전나라 ’화장품사용제한원료 ‘(https://nedrug.mfds.go.kr/pbp/CCBDF01 )에서 검색할 것을 당부했다. 셋째 제품 상세 설명서나 화장품 겉면 표시사항을 꼼꼼하게 확인하고, ▲붉은 반점, 부어오름, 가려움증 등의 이상 증상이나 부작용이 있는 경우 전문의 등과 상담 ▲상처가 있는 부위에는 사용을 자제 ▲직사광선을 피해서 어린이의
보건산업 수출이 10% 역성장한 가운데 화장품만 6.4% 증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3년 보건산업 수출 실적 발표에 따르면 전체 보건산업 수출액은 218억달러였다. 이중 △ 화장품 85억달러(+6.4%) △ 의약품 76억달러(-6.5%) △ 의료기기 58억달러(-29.5%) 등이었다. 진흥원은 화장품의 경우 ‘22년 기저효과 및 중국 이외 지역의 화장품 수요 증가 등으로 전체 화장품이 수출 플러스 전환했다고 분석했다. 국가별로 △ 중국(27.8억 달러, -23.1%) △ 미국(12.1억 달러, 44.7%) △ 일본(8.0억 달러, +7.5%) 등 순으로 수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상위 20개국 수출이 전체 화장품 수출의 90.3%를 차지했다. 중국은 지난해에 이어 수출 1위국을 유지하였으나, ‘기초화장용’(21.6억 달러, △24.6%)과 ‘색조화장용’(3.0억 달러, △20.2%) 제품류의 수출이 전년대비 20% 이상 감소하며 對중국 수출 비중도 30%대로 낮아졌다. 중국 화장품 수출 비중은 (’21년) 53.2% → (’22년) 45.4% → (’23년) 32.8%로 3년째 큰 폭 하락했다.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에 화장품 수출이 증가하였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