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난 듯 결점 없이 맑고 투명한 피부를 위한 코스메틱 브랜드 한스킨(Hanskin)이 피부결 사이 메이크업 잔여물부터 모공 속 노폐물까지 깔끔하게 클렌징 해주는 ‘딥 클렌징 오일 밤 앤 블랙헤드’를 출시한다. 이 제품은 피지 연화, 필링에 효과적인 아·바·파 성분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하여 모공을 막는 각질, 피지, 블랙헤드까지 딥 클렌징해준다. 피지 성분과 유사한 호호바씨 오일, 식물성 오일이 블렉헤드와 워터프루프 메이크업을 효과적으로 제거해준다. 히알루론산과 수분 결합 성분 판테놀을 더해 텅 빈 모공 사이에 수분 영양을 채운다. 샤벳의 초밀착력, 오일의 멜팅력, 밀크의 산뜻함을 담은 3단계 트랜스포밍 제형이 특징이라는 설명. 빠른 유화 과정을 위한 멜팅 클렌징 공법(Melting Cleansing Technology)을 적용하여 세정력은 높이고 피부 자극은 줄였다. 튜브 타입의 클렌징 밤으로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인체적용 테스트를 완료했다.
라네즈가 신제품 ‘글레이즈 크레이즈 틴티드 립 세럼'을 국내 시장에 선보인다. 이 신제품은 립밤, 틴트, 립글로스 효과를 한 번에 주는 립 케어 제품이다. 올해 2월 미국 시장에서 '도넛 립 세럼'이라고 불리며 여러 차례 품절되는 등 인기가 높은 제품이다. 도넛에서 착안한 6가지 색상(슈거 글레이즈, 스트로베리 스프링클, 피치 글레이즈, 메이플 글레이즈, 시나몬 슈거, 라즈베리 잼)과 각기 다른 향을 담아 선보이는 해당 제품은 끈적임 없이 얇게 밀착해 입술에 광채를 준다. 덧바르기 쉬운 제형을 적용해, 맑은 느낌부터 선명한 컬러감과 고광택 연출까지 원하는 대로 립 컬러 레이어링이 가능하다. 또한 제품 용기에 도넛 모양 어플리케이터를 장착해, 푹신하게 입술을 감싸주면서 사용하는 재미도 선사한다. 건조한 입술에 12시간 지속되는 세럼광을 선사한다. 95%의 스킨케어 성분으로 구성해, 일주일 사용 시 눈에 띄는 입술 상태 개선 효과도 경험할 수 있다. (시험대상: 입술 건조 고민을 가진 만 20-49세 여성 30명 / 2024년 07월 15일~07월 24일) 입술 탄력에 도움을 주는 ‘폴리펩타이드’, 풍부한 항산화 효능의 ‘석류씨 오일’, 피부 보습 장벽 강화와
해외 뷰티 전시회 한국관 주관사 코이코(대표 조완수)는 2025년 4월 17~19일 ‘2025 뷰티케어 엑스포 하노이’(Beautycare Expo Hanoi 2025)가 열린 국제전시센터(I.C.E Hanoi)에 20여개 기업으로 한국관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베트남의 수도인 하노이에서 뷰티 시장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최적의 기회를 제공하는 행사로 알려져 있다. 금년부터 국제전시주최사 인포마마켓(Informa markets)이 주관하면서 베트남 현지 시장을 뛰어넘는 국제 뷰티 박람회로 도약이 기대된다. 한국관은 전년에 비해 약 2배로 확대, 현지 업계와 소비자에게 K-뷰티의 혁신성과 기술력을 집중적으로 소개했다. 한국관에서는 ‘피부에 순하면서 효과가 뛰어난’ 이미지에 부합하는 스킨케어, 메이크업, 기능성 미용기기, 네일, 바디케어 등을 선보였다. 한국관 외에 중국, 일본, 타이완 등 국가관이 조성됐다. 주요 카테고리는 건강기능식품, 의료미용기기, 원료 및 패키징 등 최신 제품과 기술이 소개되었다. 전시회에 참가한 키스네일프러덕츠인크 정용익 과장은 “하노이를 거점으로 둔 빅 바이어를 만나고자 이번 전시회에 참가
한국콜마는 지난 8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제23회 BSB 이노베이션 어워드 2025에서 △화장품/기능성 원료(Cosmetics/raw materials) 부문 은상과 △천연 제품/기능성 원료(Natural products/raw materials) 부문 동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BSB 이노베이션 어워드(BSB Innovation Award)는 독일 함부르크에 본사가 있는 화장품 컨설팅회사인 BSB사가 독자적인 기준으로 선별한 화장품 원료와 화장품에 부여하는 상이다. 전세계 화장품 업계의 발전과 지식 확산을 목적으로 2003년에 제정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한국콜마는 이번 시상식에서 독자 기술로 개발한 ‘플로라겐(Flollagen)’으로 화장품 기능성 원료 부문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몰로락(Mololock)’은 천연 제품 기능성 원료 부문에서 동상을 받았다. ‘플로라겐’은 한국콜마가 특허받은 효소처리 공법을 통해 개발한 식물성 콜라겐 부스팅 성분이다. 식물의 세포벽을 분해해 피부 탄력과 보습에 도움을 주는 단백질 성분인 익스텐신(Extensin)을 추출해 개발했다. 동물성 콜라겐보다 보습 및 탄력, 리프팅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했다. 이
LG생활건강의 궁중 피부과학 럭셔리 코스메틱 ‘더후’가 후원해온 ‘국가유산청 문화유산 복제사업’이 결실을 맺었다. LG생활건강과 국가유산청은 17일 오전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조선 왕실, 대한제국 황실 국가유산 복제 성과 공개 행사’를 열고, 영친왕비가 입었던 동절기용 ‘소례복’(당의) 1점을 똑같이 제작한 복제품을 공개했다. ‘영친왕 일가 복식 및 장신구류’는 국가민속문화유산이다. 국가유산청은 국가 유산의 지속 가능한 원형 보존과 활용 활성화,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민관협력으로 문화유산 복제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의 더후는 ‘조선왕실 문화유산 보호지원’ 지정기탁 기업으로, 지난 2년간 대한제국 황실의 복식류 복제사업을 후원했다. 당의는 조선 후기 궁중과 반가(班家, 양반의 집)의 여인들이 착용했던 일상 의례복으로 견(絹), 금박 등으로 구성돼 있다. 복식류 복제의 경우 전통 재료의 특성을 고려해 현재 수급이 가능하고 실제로 문화유산 복원에 활용되고 있는 재료를 사용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당의 외에 조선 왕실 서화류 복제품 3건(후원: 라이엇게임즈)도 공개했다. 더후는 이번 복제사업의 성과물을 제품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이홍주 LG생
최근 SNS에서 비즈니스와 마케팅의 최전선에서 활용되는 최강의 무기가 숏폼(short-form)이다. 때문에 인스타그램에서 제공하는 ‘릴스’의 촬영과 편집, 공유, 마케팅 활용법은 기업에겐 ‘기본기’이자 고객에게 ‘동영상+경험’을 제공하는 ‘차별화’ 전략이다. 이에 따라 수출인디브랜드의 공동체인 (사)한국화장품수출협회는 ‘25년 3차 세미나로 ’릴스 이론 실습 퍼포먼스‘를 4월 24일(목) 오후 1~5시 개최한다고 밝혔다. 세미나에서는 영상 제작 툴의 최강자라 불리는 ‘CapCut’을 중심으로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영상 제작방법을 소개한다. 영상 제작의 A to Z을 실습 중심으로 배우며, 특히 기본적인 영상 툴 이해 및 활용법 → 영상 편집 실습 → AI 리터치 활용 예시까지 이어지는 올인원 제작 프로세스를 마스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CapCut은 모바일과 데스크탑에서 모두 활용 가능하며, 초보자도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편집 툴이다. 참가자들은 AI에 의존하지 않고도 영상 콘텐츠를 스스로 기획하고 완성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되며, 이후 AI 툴을 보조 수단으로 활용해 더욱 세련되고 고퀄리티 영상으로 업그레이드하는 전략을 익히게 된다. 강의
“탈모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각하다.” 탈모 증상 경험자의 61%는 일상생활의 만족도나 심리적 안정감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모 걱정(74.8%) 탈모 불안(85.5%)이 주요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때문에 10명 중 9명은 탈모 관련 시장의 성장성을 높게 평가했다. 하지만 탈모 관리 용품의 과대 또는 허위 광고가 많은 것 같다(78.9%)는 불만도 상당했다. 향후 상품기획 시 참고해야 할 사항이다. 이는 시장조사전문기업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가 전국의 만 19~59세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헤어 관리 및 탈모 관련 인식 조사’ 결과다. 특허청에 따르면 탈모 화장품 특허출원 세계 1위는 한국이었다. (‘02~23 기간 한국의 출원 576건으로 43% 차지, 일본 20% 미국 17% 순) 이와 반면 탈모 건강기능식품이 효과 없다(14일 ’식약처 탈모 예방 등 부당광고 192건 적발‘)라는 보도는 소비자들의 분노를 자아냈다.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의 조사는 ‘탈모가 국민 건강 이슈’라는 점을 분명히 보여준다. 머리 숱이 있을 때 관리(94.8% 동의) 또는 관심 증가( 42.7%(2022) → 44.0%(2023)→46.9%(2025) ) 노
식약처는 오는 5월 28일부터 3일한 서울 코엑스 3층E홀에서 ‘2025 원아시아 화장품 규제혁신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주제는 ‘규제혁신: 아시아 화장품 산업의 동행과 도전’이다. 명칭을 원아시아 화장품 '뷰티' 포럼 → 원아시아 화장품 '규제혁신' 포럼으로 변경하고 중동+중앙아시아 국가 등 10개국 규제당국과 협력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 국가 간 양자회의를 통해 아시아 국가 간 규제정보 공유 및 교류를 촉진한다는 계획이라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포럼 첫째 날(5.28)은 화장품 산업의 혁신을 이끄는 인공지능(AI) 기술 등 국내외 전문가의 기조·특별 강연으로 행사의 시작을 연다. 둘째 날(5.29)은 ▲ 글로벌 시장 트렌드 ▲ 글로벌 화장품 규제와 미래 전략 ▲ 뷰티 인사이트 등 강연이 진행된다. 또한, ‘화장품·뷰티 산업 박람회(코스모뷰티서울 X K-뷰티페스타)’ 등과 연계한다고 소개했다. 포럼 참석에 관심 있는 누구나 5월 27일까지 ‘원아시아 화장품 규제혁신 포럼’ 누리집(https://oneasiaforum.org)에서 무료로 사전 등록을 통하여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