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화장품시장이 수상하다. 화장품 관련 법규 시행 이후 허가·등록 기업 수가 급감해 향후 시장 변화에 비상한 관심이 쏠린다. 벌써부터 제조사 20% 퇴출, 신제품 50% 감소 등의 예상이 나온다. 지금까지 중국의 화장품법인 ‘화장품감독관리조례’가 시행된 이후 50개의 추가 규정(규범·공고·방법·지침·통지·답변 등)이 잇달아 발표됐다.(대한화장품협회 발간, ‘중국 화장품 관련 법규집’) 오는 2024년 5월 1일 ‘제품 안전성 평가자료 전체 버전 제출’을 끝으로 新화장품법 체계에 따른 새로운 화장품시장이 열리게 된다. 중국 NMPA의 플랫폼(‘21년 5월 1일 오픈)에 등록한 화장품 허가·등록인, 즉 중국 내 경내책임자 및 제조회사는 2021년 말 1만 5천여 명이라는 중국 매체 보도가 나왔다. 이는 플랫폼 오픈 이전 2021년 1월의 5400여 개의 제조사, 8만 7천여 개의 허가·등록인에 비해 7만여 개나 감소한 수치다.(이 기간 등록 및 출원 제품 수 160여 만개.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은 2021년 5월 1일 이전 등록 출원 제품 수는 220만개이며, ’좀비‘ 제품이 60여 만개가 줄었다고 밝혔다.) 중국시장감독관리총국(SAMR)은 화장품허가등록관리방법(
중국의 화장품허가등록관리방법(化妆品注册备案管理办法)이 2021년 5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기존 허가·등록제품은 당장 5월 1일 이전, 즉 4월 30일까지 플랫폼에 분류 코드를 보완해야 한다. 이에 대해 중국 약품감독관리국은 “2014년 6월 30일부터 국산 비특수용도화장품 온라인 등록을 실시한 이래 220만건의 제품정보가 등록됐다. 일부 제품은 생산되지 않는데도 제품 정보가 여전히 등록 플랫폼에 남아 있고 축적되어 ‘좀비’제품이 되고 있어 감독관리업무와 정보 조회에 불편을 주고 있다”고 밝혔다. 따라서 “일반화장품의 등록인은 매년 등록 관리를 담당하는 약품감독관리부문에 생산, 수입 상황을 보고해야 한다. 또한 2022년 1월 1일부터 원래의 허가, 등록 플랫폼 및 신규 허가, 등록 플랫폼을 통하여 일괄적으로 연간 보고제도를 실시해야 한다”고 관련 규정을 소개했다. 인증대행전문기업 북경매리스그룹 코리아 김선화 과장은 “구 플랫폼에서 이미 허가, 등록을 받은 제품을 계속 생산, 판매하려면 정보를 보완해야 한다. 신규 플랫폼에 보완자료를 제출하는 것은 모두 기업이 기존에 비치해야 하는 자료로 추가 요구사항은 없다”고 설명했다. 보완자료를 제출하지 않은 제품은
지난 18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1분기 화장품 소매판매액이 949억위안으로 1.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을 제외하곤 최근 5년간 1분기 실적 중 사상 최저치 증가율이다. 특히 3월부터 상하이 봉쇄가 한 달여 계속되면서 생산 중단 및 물류 폐쇄를 시행함에 따라 전국의 유명 화장품 브랜드와 공장이 모인 장강 삼각주가 마비에 가까운 충격을 받았다. 특히 물류 폐쇄로 인해 배송이 늦어지면서 전자상거래가 큰 타격을 입었다는 소식이다. 뷰티 브랜드의 경우 대부분 온라인을 메인 채널로 사용하며 많은 뷰티 브랜드의 온라인 매출이 80% 이상을 차지하는데 “경제 생명선을 끊는 것 같다”라며 현지 매체는 전하고 있다. 또한 “상하이에 현지 진출한 로레알, 시세이도, 코스맥스, 아모레퍼시픽, 상하이자화, 샹메이(上美) 등 현지 진출 브랜드가 생산 중단 영향을 받고 있다. 일부 화장품이 환적되거나 물류 이유로 임시 체류가 길어지는 등 압박을 받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화장품 주요 생산지인 광둥성의 선전과 광저우 등도 오미크론 감염자가 확인되며 도시가 통제되면서 소비가 위축됐다. 중국 내 1위, GDP규모로 세계 7위 이탈리아와 맞먹는 광동성의
쫑차오(种草)→빠오콴(爆款). 인터넷 추천에서 히트상품 탄생을 일컫는 중국 온라인 채널에서의 성공 방정식이다. 즉 “중국 소비자 사이에서 좋은 제품이나 정보를 공유하고 추천하며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일명 쫑차오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중국에서 인기 있는 홍보 방법으로 제품을 구매한 후에는 ‘샤홍수(小红书)’에 추천하고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는 중국판 지식인 ‘즈후(知乎)에서 이용자 후기를 체크하는 것이 젊은 세대의 소비습관”이라는 설명이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1호에서 인용) 최근 쫑차오→빠오콴 전 과정을 단일 플랫폼에서 해결하는 더우인(抖音)에서 ’라이징(rising) 브랜드‘가 되려는 경쟁이 뜨겁다. ‘21년 중국 라이브커머스 시장 점유량 플랫폼 비교 조사에서 더우인(38.91%)은 타오바오(31.13%), 콰이쇼우(29.67%)를 제치고 선두로 올라서며 지각변동의 주역으로 떠올랐다. 그 배경에는 유튜브와 같은 짤영상이 있다. 글(text)이 아닌 짧은 동영상(短視頻, shot clip, shot form)만 보고 구매를 결정하는 Z세대가 하루에 6시간 들여다보는 앱(App)이 더우인. 이곳에선 검색부터 구매, 후기까지 하
화장품 제조업체의 2분기 경기전망지수(BSI)는 ‘맑음’으로 나타났다. 28일 대한상의의 ‘2022년 2분기 경기전망지수’에 따르면 화장품은 22년 2분기(123) 호조로 예측되며 1분기(103)에 이어 기존의 호조세가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화장품 BSI는 ‘21년 1분기(66) 침체였다가 2분기(107)→3분기(103)→4분기(103)로 기준치 100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그러다가 ’22년 2분기는 큰 폭 상승하며 전체 업종 가운데 가장 높은 전망치를 보였다. 하지만 1분기까지 한·중 화장품 제조업계의 사정은 녹록지 않다는 게 발견된다. 일단 내수 부진은 국내 브랜드사의 실적 저하와 함께 ODM업계에도 부담이다. 통계청의 1월 화장품의 온라인 판매액은 전년 대비 20.5% 감소하며 ‘21년 7월 이후 7개월째 마이너스다. 향후 방역 완화 조치의 전면 시행까지 화장품의 절대 소비량 감소 영향으로 화장품업체의 실적 정체 가능성이 높다. 수출 비중이 가장 큰 중국시장도 소비자·시장·제품 트렌드의 변화 외에 ’화장품감독관리조례‘의 시행과 더불어 제조업체에게 상당한 변신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화장품의 고전이 예견된다”는 점은 한·중 양쪽에서 공통으로 흘러
올해 2개월 연속 화장품의 대 중국 수출액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대한화장품협회에 따르면 화장품의 올해 1~2월 누적 수출액은 4억 9800만달러로 전년 대비 30.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 홍콩 수출액도 1~2월 누적 5949만달러에 불과해 작년에 비해 39.9%나 급감했다. 중국 점유율도 52.1%(‘21. 1~2월)→43%(’22. 1~2월), 홍콩 7.2%→5.1%로 추락하며 중화권 수출에 비상이 걸렸다. 다만 대중 수출액이 1월(–44.1%) → 2월(–11%)로 감소폭이 줄어들어 반전을 기대케 했다. 중국 화장품 시장은 시장, 소비자, 제품 트렌드에서 예전과 다른 변화를 맞고 있다는 게 한·중 업계의 공통된 시각. 먼저 중국 소비자들의 화장품 지출 관련 신중한 태도가 눈에 띈다. 코로나19로 인해 중국은 최근 2년간 부동산 가격 상승과 물가상승으로 개인의 지출 부담이 커진 상태다. 이에 따라 소득과 비용의 불균형으로 지출 시 이성적인 소비태도로 가성비가 높은 제품을 찾는다는 게 현지 소식통의 말이다. 두 번째는 화장품감독관리조례 등 각종 규제 법규에 따라 유명 ODM의 중국 철수 소문도 나돌 정도로 화장품 제조사의 20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2022년 1호(중국·일본 편)가 발간됐다.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이재란)이 발행하는데, 화장품기업의 해외 마케팅과 수출 실무를 위한 콘텐츠이자 필독서로 많이 인용된다. 연구원은 “올해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에서는 세대별로 분석하던 해외 시장 트렌드를 품목별로 분석함으로써 화장품 산업 실무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또한 유통 및 홍보 채널에서는 현지 채널의 이해도를 높여 효과적인 마케팅 기획을 돕기 위해 활용 사례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최신 사정으로 중국은 ‘민감성 피부’, 일본은 ‘마스크네’가 이슈로 부각된다. 중국에서는 피부 트러블 및 피부장벽 손상 우려로 민감성 피부용 화장품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예전에는 스트레스·식습관·수면시간 등 생활습관이 얘기됐지만, 최근에는 대기오염·마스크 착용 등이 거론된다. 환절기로 인한 온도 차이가 커지는 계절이 옴에 따라 민감성 피부전용 제품 수요도 증가세다. 중국 현지 소비자들은 제품 구매 시 신뢰도를 중요 요소로 꼽는다. 때문에 피부과 테스트 결과 또는 피부과 의사나 전문가 추천 등의 마케팅을 고려해야 한다고 연구원은 조
올해 중국 화장품시장은 소비 고도화와 함께 화장품 인증 제도 변화에 따라 시장이 출렁일 가능성이 높다. 한번도 겪어보지 못한 도전이어서 K-뷰티에게 2022년은 험난한 한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1년 중국 화장품 수입액은 사상 처음으로 200억달러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2021년 기간 화장품 수입액은 연평균 23.9% 성장했다. 5대 화장품 수입국은 일본-프랑스-한국-미국-영국 순이다. 한국은 2016년 처음 1위에 올랐으나 2019년 일본에 뒤처지고 2020년 프랑스에 추월당하면서 2년 연속 3위에 머물렀다. 중국 화장품시장의 소비 고도화는 하이엔드 제품의 판매 증가에서 엿볼 수 있다. ’21년 티몰의 스킨케어 매출은 전년 대비 9% 증가했으나 단가는 12%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량은 3% 감소했다. 메이크업 매출액은 전년 대비 16%, 단가 14%나 올랐으나 판매량은 1% 증가에 그쳤다. 숫자가 보여주듯 단가 인상이 매출액을 견인했을 뿐 판매량은 부진했음을 알 수 있다. 글로벌 브랜드의 매출에서도 하이엔드 제품 매출 증가가 눈에 띈다. 로레알은 글로벌 매출이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중국 매출은 두 자릿수 성장을 달성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