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여 년 경력의 피부·화장품 연구개발 전문가가 이끄는 가을봄코스메틱(대표 정해용)이 ‘울엄마’ 라인을 강화한다. 지난 2월 피부 재생과 영양 공급에 초첨을 맞춘 ‘울엄마 펩타이드6 크림 에센스’를 선보인데 이어 7일 ‘울엄마 브라이트닝 선스크린’을 출시했다. 제품명에서 보듯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보호 및 밝은 피부톤을 위한 솔루션을 담았다. ‘워터드롭’ 타입으로, 피부에 도포 시 선크림에 포함된 수분이 밖으로 나오면서 수분을 보충하고 막을 형성하는 게 특징. 사용자는 시원하고 산뜻한 느낌과 함께 가볍고 화사한 피부감을 느낄 수 있다. SPF50+ 및 PA++++ 임상시험을 받았으며, 자외선차단+주름개선+미백개선 등 식약처 인증 3중 기능성 제품이다. 백탁 현상이 없으면서 번들거리거나 답답한 느낌이 없다. 또한 덧바르는 색조화장품과도 잘 어울려 편의성도 좋다는 평가다. 이름마저 정겹고 아련한 ‘울엄마’를 제품명에 적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가을봄코스메틱 관계자는 “세월의 흔적으로 고생하는 어머니들에게 젊은 시절의 피부로 돌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그래서일까, ‘울엄마 펩타이드6 크림 에센스’는 피부 유수분 밸런스가 무너져
식약처와 국가기술표준이 6월 4~7일 열린 ‘24년 제2차 세계무역기구 무역기술장벽(WTO TBT) 위원회에 참석, 해외 기술규제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이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세계 각국의 기술규제가 우리 기업의 수출 환경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WTO TBT 위원회 활동으로 해소한다는 전략이다. 실제 작년 92개국에서 4079건의 TBT를 통보해 사상 최초로 4천건 대를 돌파했다. [ TBT통보(건) : (‘95) 389 → (‘05) 897 → (‘10) 1,869건 → ('22) 3,896 → (’23) 4,0 ] 이번 회의에서 정부는 ▲ 중국 화장품 감독 규제 ▲ 유럽연합의 불소화온실가스(F-GAS, 프레온과 같은 오존층 파괴 물질 대체재로 에어컨 냉매 등에 사용) ▲ 인도 텔레비전 인증 규제 등 우리 수출과 관련한 7건을 특정무역현안(Specific Trade Concerns, STCs)으로 제기했다. 이와 함께 미국, 유럽연합, 일본, 사우디 등과 양자협의를 실시해 우리 업계의 수출을 방해하는 기술규제 해소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과도한 규제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 마련에 협력키로 했다. 정부는
(재)베스티안재단(이사장 김경식)은 ‘천연물 혁신 세미나’를 6월 20일(목) 오후 3시에 충북 오송 베스티안 임상시험센터 1층 교육장에서 개최한다. 온라인(줌)으로 청강도 가능하다. 이번 세미나는 교육부 RIS사업을 수행중인 충북바이오헬스산업혁신센터(센터장 한상배)와 한국교통대학교 정밀의료/의료기기사업단(단장 박성준)이 지원한다. 이번 세미나는 천연물 소재 동향을 주제로 진행된다. 첫 연사로 세라믹기술원 이진형 센터장이 ‘바이오유래 세라믹 천연소재 합성기술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 이번 발표에서는 왕겨 유래 천연 실리카 기술의 산업적 현황과 전망에 대해서 그리고 패각 기반 탄산칼슙 소재 기술을 소개한다. 이진형 센터장은 Texas A&M Univ 방문연구원을 거쳐 한국바이오연료포럼 총무이사를 역임했으며 한국세라믹기술원 수석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두 번째 발표는 ㈜모빅신소재기술 송인갑 대표가 ‘바이오매스 유래 셀룰로오스를 나노섬유화하는 기술과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의 응용기술’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한다. 개발 사례와 나노섬유화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CNF)를 활용한 Application 개발사례를 소개한다. 세 번째 발표는 지플러스
식약처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나이지리아 식약청(NAFDAC) 간 의료제품 분야 상호협력 양해각서(MOU)를 6월 7일 체결했다고 밝혔다. 주요 내용은 ▲ 의료제품 분야 법령, 규제체계, 지식, 규제경험 등 정보교환 ▲ 정례회의 및 방문 교류 ▲ 규제기관·업계 교육 및 자문 ▲ 한국 의료제품의 허가 절차 간소화를 위한 협력 등이다. 식약처는 이번 정상회의에서 합의한 공동선언 중 ‘글로벌 도전과제 대응’의 보건 분야 협력을 구체화한 성과라는 설명이다. 향후 보건의료 분야 유망 시장이자 아프리카 수출의 교두보인 나이지리아와 이번 양해각서를 체결함으로써 아프리카 지역 수출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장미꽃잎과 똑같은 향기 성분을 보유한 식물세포 배양체(캘러스)를 유도하는데 성공했다고 농업진흥청이 밝혔다. 식물의 ‘줄기세포’로도 불리는 식물 세포 배양체는 상처가 났을 때 해당 부위에 생겨나는 조직으로 생리활성물질을 고농도로 함유한다. 식물을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때 세포 배양체를 이용하면 재배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해 좋은 성분을 대량으로 균일하게 증식할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미국 시장정보 컨설팅기관 COHERNT에 따르면 식물세포 배양체와 배양체 추출물의 화장품 원료 시장 규모는 37억달러(’17) → 48억달러(’20) → 63억달러(’23) → 103억달러(‘28)로 예측했다. 현재 우리나라 화장품 시장은 원료의 8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때문에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원료의 국산화가 시급하다. 또한 최근 식물세포 배양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이데 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농촌진흥청은 자원 출처가 명확하고 향기가 우수한 우리나라 장미품종(계통)을 활용, 화장품 소재화 기술 개발 연구에 착수했다. 연구는 세포 배양 추출물을 식의약품·화장품 소재로 개발해 판매하는 ㈜바이오에프디엔씨와 공동 진행했다고 한다. 연구진은
아모레퍼시픽은 5일, 경기도 용인시 아모레퍼시픽 R&I센터에서 'NBRI(New Beauty Research Initiative)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2022년 12월 미국 존스홉킨스 의과대학과 NBRI 공동 연구 프로그램을 출범한 이후 첫 학술발표다. 존스홉킨스 의과대학 피부과 강세원 교수는 ‘Research Trend in Skin Aging(피부 노화 연구 동향)’에 대해 발표했다. 피부 노화 연구 흐름을 소개하고, NBRI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피부 노화 연구 진행 내용과 앞으로의 방향을 공유했다. 이어 같은 대학 피부과 Anna Chien 교수는 ‘Evaluation of Epigenetic Changes Related to Skin Aging(피부 노화와 관련된 후성 유전학적 변화)’을 주제로, NBRI의 후성유전학 연구 사례를 발표했다. 이는 광노화 후성유전적 조절에 대한 BioGF1K 및 동백추출물의 효능을 확인한 연구로, 지난달 미국 텍사스에서 열린 세계피부과연구학회(SID, Society for Investigative Dermatology)에서도 관련 성과를 공개한 바 있다. 아모레퍼시픽 R&I센터 김아
코트라(KOTRA)의 82개국 127곳의 사무실이 중소기업 수출 업무 공간으로 개방된다. 산업부의 ‘글로벌 수출원팀 코리아’ 지원 정책에 따라 국가별 해외 출장과 진출 수요를 반영하여 일부 여행금지 국가(시리아, 레바논)을 제외한 코트라의 모든 무역관을 개방한다고 설명했다. 그 면적은 4,725㎡(약 1,430평)이며 1,537개의 좌석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이번 사무실 개방 조치에 따라 기업은 해외 출장지에서 업무뿐만 아니라 바이어 상담, 일부 세미나실 이용 시 로드쇼와 쇼케이스 등 마케팅 행사도 가능하다. ‘열린무역관’으로 명명하고 시설 투자도 진행 중이다. 앞서 2018년 수출 기업 출장이 많은 하노이, 자카르타 등 6개 무역관을 시작으로 현재 12개 무역관에 별도 사무공간을 구축하고 인테리어 공사를 마쳤다고 한다. 올해 실리콘밸리, 두바이, 싱가포르 등 8개 도시를 추가해 위워크와 같은 공유형 사무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수출기업들은 ‘열린무역관’에서 시설 이용 및 ▲ 현지 시장정보 ▲ 금융·법률 자문 ▲ 창업 관련 컨설팅 등 수출지원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코트라는 수출지원기관이 무역관에 직원을 파견하고, 무역관의 인프라·네트워크와 파견기관의
아세안 화장품 시장에서 ‘엄격하지 않은’ 관리 규제로 소비자들의 걱정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은 인기제품이 가품 유통에 오프라인에서는 브랜드 공식 매장에서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때문에 소매점, 슈퍼마켓, 이커머스 플랫폼 등 다양한 유통 채널 중 현지 공식 대리점/채널을 가장 신뢰했다. 말레이시아도 국가의약품관리청(NPRA)에서 수은 함유한 화장품의 구매 및 사용 중지 등 모니터링이 활발하다. 태국은 건강, 환경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며 지속가능성/환경친화적 요인을 중요시 하는 트렌드가 대세다. 이는 6월 5일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과 리이치24시코리아가 공동 주관한 ‘아세안 5국 화장품시장 최신 동향 웨비나’에서 발표된 주요 내용이다. 연구원은 아세안의 화장품 규제 동향에 맞춰 ➊ 국가별 피부특성은행 ➋ 국가별 화장품 원료 통합 정보 시스템 ➌ 화장품 원료 안전성 검토 시스템(CSRS) 등을 구축, 국내 기업을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태국·베트남·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시장 현황 및 트렌드’를 발표한 EC21 R&C 이혜빈 책임연구원은 “태국은 모든 화장품에 FDA 라이센스를 취득해야 한다. 베트남은 가품 문제로 공식 매장, 정품몰에서 구매
베트남 화장품시장은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에 이어 아세안 내 4번째로 큰 시장 규모다. 3개국이 총인구 또는 1인당 GDP가 베트남 보다 높다는 점을 감안하면 베트남은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구매력이 큰 시장이라는 게 코트라 다낭무역관의 분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Statista에 따르면 베트남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28년 6억 1900만달러로 연평균 3.2%(‘23~’28)성장이 예상된다. 베트남 수입시장에서 한국산 화장품의 점유율은 타국가를 압도한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2024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전’(5월 30일~6월 2일, 호치민 SECC, VIETNAM INTERNATIONAL PREMIUM PRODUCTS FAIR)에는 현지 유명 뷰티 인플루언서, 유통사, 브랜드사 등이 몰렸다는 소식이다. 화장품 카테고리에서는 넥스트팬지아(NEXTPANGAEA, 대표 임동훈)가 특히 주목을 받았다. 이번 전시회에서 넥스트팬지아는 ‘AI 화장품 제조 플랫폼_코스바이저(Cosvisor)'를 시연해 뷰티 기업 및 인플루언서들의 주목을 끌었다. 베트남의 유명 뷰티 인플루언서 Phoung는 “요즘 베트남 내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와 KOTRA(사장 유정열)는 ‘2024년 아프리카 제조업 투자환경 분석’ 책자를 발간했다. 이번 책자는 6월 4일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에 맞춰 아프리카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제조기업을 위해 제작됐다. (KOTRA 무역자료실 홈페이지, PDF 다운 가능) 180페이지 분량의 이번 자료에서는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정치·경제·산업 환경 심층 분석 ▲ 아프리카 주요 국가의 투자유치 현황과 투자 사례 ▲ 한국기업의 아프리카 제조업 진출전략 등을 다루고 있다. 아프리카는 가파른 경제 성장률, 14억 명에 달하는 거대한 인구와 젊은 노동력에 풍부한 자원을 갖추고 있다. 주요 핵심 광물자원의 매장량이 풍부한 아프리카 대륙으로의 투자 진출은 공급망 다변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아프리카는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의 점진적 이행과 통합결제시스템(PAPPS, Pan-Africa Payment and Settlement System) 도입 등을 통해 국내총생산(GDP) 3.4조 달러에 달하는 통합 시장으로서의 제도적 기반을 다지고 있다. 아울러 미국 아프리카성장기회법(AGOA), 유럽의 무기
한국콜마가 ‘2024 핀업 컨셉 디자인어워드’ 개최를 통해 창의력을 갖춘 화장품 용기 디자이너를 발굴한다. 사단법인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kaid)가 주최,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며 한국콜마와 시디즈가 공동 개최하는 대학생 디자인 공모전이다. 이번 공모전은 일반 분야(kaid)와 기업 분야(한국콜마, 시디즈)로 나눠서 진행된다. 일반분야의 대상(Grand Prix) 수상자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과 상금 300만원, 트로피가 수여된다. 대상과 골드(Gold)상 수상자에게는 ADA 국제학생디자인워크숍 참가 신청 시 우선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한국콜마는 오는 7월 12일까지 ‘넥스트 제너레이션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화장품 메이크업 용기 디자인’ 작품을 모집한다. 일상적인 불편함을 해결하면서도 창의적 기능을 갖춘 디자인에 높은 점수를 부여할 계획이다. 출품 자격은 대학생 및 대학원생, 휴학생 또는 2024년 기졸업자에 한하고 개인 또는 2인 팀으로 출품 가능하다. 한국콜마는 기업 분야의 골드(Gold)상을 수상한 개인 및 팀에 상금 200만원과 트로피, 상장, 도록, 기념품 등을 수여한다. 실버(Silver), 브론즈(Bronze)상을 수상하면 트로피
LG생활건강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ESG 경영 활동의 일환으로 서울 종로구와 손잡고 ‘종로 자원재순환 거점센터 에코스테이션’ 사업을 추진한다. 3일 서울 종로구청에서 열린 종로 자원재순환 거점센터 에코스테이션 업무협약식에는 최남수 LG생활건강 ESG/대외협력부문 상무, 정문헌 종로구청장, 정관 스님(종로노인종합복지관장) 등이 참석해 에코스테이션 설치와 운영 방안을 담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LG생활건강은 이번 협약에 따라 에코스테이션 시설 설치 비용과 향후 운영에 필요한 다양한 생활 필수품을 지원한다. 종로 자원재순환 거점센터 에코스테이션은 오는 7월 종로노인종합복지관(서울 종로구 율곡로19길 17-8) 로비에 설치될 예정이다. 이곳에서는 일반쓰레기로 버려지는 충전기, 멀티탭, 보조배터리, 정수기 필터, 전선, 우산 등 이른바 ‘새활용’이 가능한 물품을 수거한다. 새활용이란 폐자원을 새로 디자인해서 문화 또는 환경 가치가 높은 물건으로 재탄생시키는 재활용 방식을 의미한다. 이런 폐자원을 종로 자원재순환 거점센터 에코스테이션에 가지고 온 주민에게는 물품 개수에 따른 보상으로 스탬프를 지급한다. 그리고 이렇게 모은 스탬프로 LG생활건강의 샴푸,
인도네시아에 수출 시 화장품 사전 수입 승인(PI)을 받지 않아도 된다. 코트라 자카르타무역관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무역부는 5월 17일 3차 개정안을 전격 발표, 수입 규제 완화 조치를 취했다. 일부 품목에 대한 사전수입 승인 요건을 삭제하고, 대부분 품목은 더 이상 Pertek을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인도네시아는 3월 10일부터 화장품, 전자제품, 가방 등 완제품에 수입쿼터인 사전수입승인(Persetujuan Impor, PI) 제도를 도입했으며, 이를 받는 과정에서 인도네시아 산업부의 기술적 고려사항(Pertimbangan Teknis, Pertek)을 발급받아야 했다. 하지만 제도 시행 후 인도네시아 항구에서 2만 6415개의 컨테이너가 통관되지 못하고 지연되는 사태가 발생하는 등 업계의 불만이 쏟아지자 급기야 수입규제 완화를 발표한 것이다. 3차 개정안의 주요 변경 사항으로 화장품 및 가정용품, 전통 의약품 및 건강보조식품, 가방, 밸브, 윤활제 원료 등 5개 품목은 사전수입승인(PI)을 더 이상 받지 않아도 되며, 선적 전 검사(LS)만 받으면 된다. 다음으로 API-P 보유자가 보완재(Complementary Goods, Barang Komple
4월 화장품 온라인 매출이 13개월째 증가세다. 통계청의 4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화장품의 온라인 매출은 1조592억원(+9%)으로 1조원대를 유지했다. 이로써 1~4월 누계 화장품 온라인 매출은 4조 1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7% 증가했다. 인디브랜드의 신제품 출시 붐과 올리브영의 온라인 몰 매출 증가 영향 등으로 내수 시장이 성장했다. 한국은행 상품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화장품 물가지수는 114.9로 전년 대비 0.9 감소했으나 전월비에 비해선 0.3 올랐다. 소비자 기대 심리지수는 3월과 동일한 100.7을 나타내며 여전히 소비를 늘리겠다는 가구가 더 많았다. 소비자 지출 전망지수는 전월(111) 대비 소폭 하락한 110으로 긍정적이었다. 이런 분위기와 맞물려 12개 대형플랫폼도 중국 이커머스에 대항해 다양한 할인행사를 개최하며 식품(28.1%), 생활/가구(19%)에 이어 화장품도 18%를 기록하며 매출이 상승했다. (산업부, 4월 유통동향) 유통가에선 쿠팡이 로켓와우 멤버십 가격 인상을 기회로 플랫폼 간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한 ‘인하’ 전쟁이 한창이다. 쿠팡 로켓와우 멤버십이 월 7890원으로 58% 인상하자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 신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은 글로벌 코스메틱 포커스 3호(태국, 베트남 편)를 발간했다. 이번 호에서 “태국은 인플루언서, 베트남은 틱톡”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태국 소비자의 약 81%가 인플루언서의 추천에 따라 제품을 구매했다는 설문 결과가 있을 정도. 때문에 태국 소비자들의 화장품 구매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 비용이 계속해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연구원은 전했다. 최근에는 단순히 제품을 홍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인플루언서들이 직접 자신만의 브랜드 론칭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브랜드가 태국 유튜버와 여성 가수 그룹이 론칭한 브랜드인 ‘아키타(Achita)’와 ‘비치 위드 브레인 (Bitch With Brain)’다. 두 곳 모두 기존의 팔로워와 지지층을 바탕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홍보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다. 태국 화장품시장에서는 천연 스킨케어 시장 규모가 확대 중이다. 방콕은 환경 오염이 심한 13번째 도시로 2024년 미세먼지 농도가 인체 건강한 유해 수준에 이르렀다. 이런 환경적 요인으로 자극이 적고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천연성분을 내세운 화장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