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Run to EU]② CPNP, 바이어와의 접점

CPNP 등록만 하면 EU+CIS 39개국 진출 유리...YJN파트너스 “RP 네트워크로 유럽진출 기회 많아”

‘19년 1~8월 화장품 수출액을 보면 CIS 11개국(1.9억달러)이 EU 28개국(1.4억달러)보다 많다.  CIS는 북동유럽 시장과 맞닿아 있고 화장품규정인 TR CU는 까다롭지 않다. 만약 CPNP만 등록하면 EU+CIS 39개국 7.5억명 시장이 열리는 셈이다. 유럽 화장품시장 동향과 CPNP 최신 정보를 소개한다.[편집자 주] 



유럽은 EU 28개국과 CIS 11개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산 화장품의 인기는 어디가 더 많을까?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의 ’19년 1~8월 수출액을 보면 EU 1억 4290만달러, CIS 1억 9185만달러로 CIS가 앞선다. CIS가 국가 수는 적어도 K-뷰티 인기도가 훨씬 높다는 점을 알 수 있다.


CIS 수출국가의 탑은 역시 러시아다. 올해 1억 3838만달러로 한국 10대 수출국 중 6위로 두 단계 껑충 뛰어 올랐다. 우크라이나,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몰도바, 벨로루시, 아르메니아 등 6개국은 100%의 전년 대비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마이너스 증가율은 2개국에 불과하다.


러시아 수출액의 20%를 차지하는 고센코리아 송명규 대표는 ”러시아에서 K-뷰티에 대한 니즈가 늘고 있어 물량이 작년보다 크게 늘었다. K-뷰티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가 높아지고, 기업 진출이 활발한 것도 한몫 했다“고 전했다.


코트라 모스크바무역관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 브랜드가 진출의지가 높아서 경쟁이 치열하고, 새로운 제품을 발굴하려는 바이어가 많다“며 ”유통 구조를 다각화해서 수량을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는 현지 바이어의 반응을 전했다.


러시아 소비자와 바이어들은 대체로 K-뷰티에 대해 긍정적이다. 경제 회복으로 러시아 화장품 규모는 2022년까지 140억 달러(세계시장 내 비중 3%)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특징을 보여, K-뷰티로서는 기회의 땅이다.


CIS는 화장품 관련 독자적인 해외규격이 없다. 대신 TR CU의 규정에 따라야 하며, 반드시 인증을 받아야 한다.

TR CU 규정에 의한 향수 및 화장품이란 ”인체의 겉표면(피부, 모발, 손톱, 입술, 외부 생식기), 치아 및 구강청결과 수정을 위한 구강 점막, 인체 악취 제거 및 보호 유지, 케어에 직접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물질 또는 물질의 혼합물“을 말한다.


러시아에서 화장품의 TR CU인증은 강제 규정이며, 인증 획득 시 CU 인증마크를 제품에 부착해야 한다. TR CU가 요구하는 적합성 평가(conformity assessment)는 △신청서 △제품기술 문서 △성분표, 제조업체 인증서 △라벨링 샘플 △공인시험기관의 보고서 △GMP인증서 등의 문서가 요구된다. 소요 기간은 5~10일이며, 수입 전 단계에서 보고해야 한다.


올해 초 KOTRA의 ‘해외시장 진출 유망·부진 품목 보고서’에 따르면 128개 무역관 가운데 71개가 화장품을 수출유망 품목으로 꼽았다. 지역별로는 유럽 15개, 중국 14개, 북미 6개, 동남아 8개 등이었다. 유럽이 K-뷰티의 새로운 먹거리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는 평가다.


한국유럽학회는 지난 1월 K-뷰티 산업 전망에서 EU 28개국의 한국산 화장품 수입이 44%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올해 EU와 CIS에서의 K-뷰티 선전은 반갑다. 그렇다고 두 지역을 구분할 필요는 없다. 일단 유럽 진출의 첫 걸음은 CPNP 등록이다.


CPNP전문 대행사인 YJN파트너스 이동기 차장은 ”유럽 바이어들은 한국 화장품 수입 시 CPNP 사이트에 제품등록 여부와 RP(책임자)가 있는지를 묻는다“며 ”한번 등록하면 갱신할 필요 없이 영구적으로 진행되며, 제품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 그때그때 업데이트 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또 ”러시아 바이어도 RP(책임자)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서유럽에서 히트한 상품을 선호하는 러시아 소비자 성향 때문이다. 또 러시아에서 인기 높은 제품을 EU내 동유럽에서도 판매가 용이하다. 특히 중동부유럽 시장은 서유럽 화장품 기업의 브랜드 장악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K-뷰티가 이 틈새를 비집고 들어갈 기회가 많다“고 이 차장은 덧붙였다.


일단 CPNP 등록만 거치면 39개국 7.5억명의 시장이 활짝 열리는 셈이다. 특히 CPNP 등록은 바이어와의 첫 만남이자, 히트상품의 경우 이웃국가로의 연쇄 매출 연결고리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계속)



배너
배너
배너

배너

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