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가 잘 되는지 여부를 떠나서 소비 추세가 꺾이는 게 제일 두렵다.” 화장품 기업 A대표의 말이다. 이는 기업들의 공통된 인식.
최근 중국의 소매판매액 증가율이 하락세로 돌아서는 신호가 잇달아 등장, 기업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둘째 불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경제성장률 둔화에 따라 대도시 근로자들이 소비를 급격히 줄이고 저축을 늘리는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는 신호다.
최근 현대경제연구원은 ‘중국경제의 부문별 현황’ 자료에서 “화장품의 소비 증가율은 2018년부터 둔화 양상을 보이면서 9월 현재 전년 동기 대비 3.4%에 그쳤다”고 밝혔다. 자동차, 금·은 장식구 등 품목도 각각 7.2%, 8.4% 감소했다.
여기서 소비증가율이란 ‘매출액 일정 규모이상 기업’의 소매판매액 기준인데, 일정규모란 제조업 및 도매업은 2000만위안 이상, 소매업은 500만위안 이상을 말한다.
중국 정부는 경제성장률이 2018년 추정치 6.6%에서 2019년에는 이보다 낮은 6.3%대(IMF·OECD·세계은행·아시아개발은행)로 전망됨에 따라 소비로 성장률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쇼핑 등 새로운 형태의 소비 방식이 확산되면서 9%대의 소비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인터넷쇼핑 증가율은 ‘18년 9월 17.5%)
소비 중심의 경제구조 안착을 위한 ‘소비 잠재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중장기적인 정책도 시행 중이다. 무역전쟁으로 기업 활동이 위축된 상황에서 내수 소비 진작을 탈출구로 삼아 관련 정책들을 쏟아냈다.
지난 7월 리커창 총리는 내수확대를 강조하며 총 1조 1000억위안(약 183조원)의 세금 및 비용 감면 목표를 설정했다. 또 수입품목의 세율을 일제히 내리고, 수출품목에 대한 증치세 감면을 발표했다.
또 시진핑 주석이 제안했다는 ‘제1회 국제수입박람회’를 열고 578억달러(65조원)의 거래액을 기록했다고 주최측은 밝혔다.
중국 매체들도 11월 11일 광군제를 소개하며 중국이 자유무역국가이며 ‘소비대국’임을 주장하고 있다. 지난 11일 광군제 매출액은 2135억위안(약 34.7조원)으로 27% 증가했다. 사상 최대 실적이지만 증가율은 2017년의 39.3%와 비교해 12.3%p나 빠졌다. 성장세가 꺾인 건 처음이다.
아무튼 중국 정부의 소비진작 정책으로 2017년 최종 소비액은 43.5조위안으로, GDP 대비 비중이 53.6%로 절반을 넘겼다.
그러나 중국 도시와 농촌 간의 1인당 가처분 소득 및 소비지출 격차는 점차 확대되고, 소비품목에서 화장품, 자동차, 금·은 장신구 등의 소비증가율이 2018년 들어 크게 둔화되고 있다.
도시와 농촌의 1인당 가처분 소득액 격차는 1만위안(2015년)→1.2만위안(2018년 상반)으로 확대됐고, 소비지출 격차도 6000위안→7000위안으로 확대됐다.
화장품의 소비증가율도 2015년이후 10~15%대에서 2018년 9월 3.4%로 크게 하락했다.
이밖에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중장기적인 소비여력이 감소하는 등 구조적인 문제점도 드러나고 있어 중국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18년 10월부터 개인 소득세 부과 기준을 완화학고, 단계적으로 농촌주민 1억명의 도시 이주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불룸버그통신은 10월 중국의 신규 주택 구매 증가율이 6개월 내 최저치로 떨어졌으며, 시중 자금 유동성도 급격한 둔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인민은행은 10월의 위안화 신규대출액(6070억 위안)이 9월(1조3800억위안)의 절반 수준이라고 밝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중국 소비시장의 중장기적인 하향세 및 구조적 변화에 대한 우리 기업의 대응책 마련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중국 지역별 소득 및 소비성향에 맞는 제품 포지셔닝 및 가격 등 맞춤형 진출 전략 필요 ▲최종 소비재는 중국의 수입 수요가 확대되는 분야이자 한·중 FTA 관세철폐 효과가 크므로 관세 인하를 충분히 활용 등을 제언했다.
중국 정부의 소비 진작책에도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는 현상에 대해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