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화장품 수출 물량은 전년 동월 보다 6.1% 증가했다. 이는 중국의 솽스이(11·11) 행사 및 소비촉진 정책 덕분이다. 수출액은 6억 1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9.9% 증가했다. 월간 최고액을 기록한 10월(6.25억달러)에 이어 두 달 연속 6억달러 선을 넘었다. 지역별로는 중국, 아세안 지역이 호조세를 유지했다. 중국이 2.3억달러(+34.3%), 아세안이 0.5억달러(+3.6%), 일본 0.3억달러(+41.0%) 증가했다. 제품별로는 향수·세안용품·메이크업/기초화장품·두발용제품·인체용탈취제 등 중심으로 5개월 연속 증가했다. 이로써 1~11월 누적 수출액은 60억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5% 성장했다. ‘18년 수출액 62.7억달러의 96%에 해당한다. ’19년 들어 월평균 수출액이 5억달러대여서 ‘19년 화장품 수출액은 65억달러 내외로 예측된다. 4% 증가율이다. 이는 ’14~‘18의 연평균 증가율 37%에 비하면 크게 떨어진다. 그 이유는 중국과 홍콩에서의 고전 때문이다. 현재 올해 3분기까지 중국 수입화장품시장에서 J-뷰티에 1위를 내준 상태고, 2위 수출국이던 대 홍콩도 3분기까지 -35.4%로 크게 떨어졌다. 물
화장품단체협의회가 업무 협약식을 맺고 본격 출범했다. 업종과 지역을 망라한 8개 협회가 모인 단체협의회 구성은 화장품업계 최초의 사례다. 그동안 화장품산업은 국가의 5대 유망소비재 산업에 포함되며, 수출효자 산업 및 일자리 창출 효과로 인한 위상이 강화됐다. 더불어 ‘제조원 표기 자율화’ 등 K-뷰티 현안 타개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래 발전계획을 업계 차원에서 공감·공유하자는 의견이 많았다. 23일 대한화장품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대한화장품협회 이명규 부회장 ▲경기화장품협의회 기근서 회장 ▲부산화장품기업협회 문외숙 회장 ▲인천헬스뷰티기업협회 박진오 회장 ▲제주도화장품기업협회 김미량 회장 ▲제주화장품인증기업협회 이지원 회장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 박진영 회장 등이 참석했다. 충북화장품산업협회 조택래 회장은 오송박람회 개최로 부득이 참석하지 못했다. 협의회는 교류 협력 내용으로 △화장품산업 발전을 위한 상호 협력 업무 △화장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 △기타 협의회에서 결정한 사항 등을 확정했다. 또 효율적 추진을 위해 실무협의회는 사안에 따라 구성키로 했다. 화장품단체협의회는 화장품산업 현안에 대해 협회 간 교류 필요성에
화장품업계가 공동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모은다. 오는 10월 가칭 ‘전국 화장품단체 협의체’를 발족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대한화장품협회와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 각 지역 화장품협회 등 대표자들은 지난 20일 대한화장품협회 회의실에서 사전 모임을 가졌다. 참가 단체는 ▲대한화장품협회(회장 서경배) ▲한국화장품중소기업수출협회(회장 박진영) ▲경기화장품협의회(회장 기근서) ▲부산화장품기업협회(회장 문외숙) ▲인천헬스뷰티기업협회(회장 박진오) ▲충북화장품산업협회(회장 조택래) 등 6곳이다. 이날 회의에는 대한화장품협회는 이명규 부회장이 참석했으며, 개인 일정을 이유로 조택래 회장은 불참했다. 이중 제주도 2곳 협회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키로 했다. 화장품업계 단체가 전국 규모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은 사상 최초다. 그 배경으로는 화장품산업이 세계 4위 규모의 화장품 수출국으로 성장했으며, 약 1만 5천개사에 육박하는 업계 현실을 반영할 창구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일단 ‘전국 화장품단체 협의체’는 화장품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업무 및 화장품산업에 대한 소비자 신뢰 향상에 중점을 둔다는 방침이다. 이는 △화장품산업의 글로벌 Top3 성장 목표 △화장품 관
올해 상반기 화장품의 해외직구 수입 통관 건수는 193만 8천건이며,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통관 건수는 꾸준히 증가했지만, 품목별 수입통관 순위는 2위에서 5위로 하락했다. 이는 부동의 1위인 건강식품 외에 의류, 전자제품, 기타식품이 2018년 들어 대폭 증가하면서, 화장품이 밀렸다. 최근 3년간 해외직구 품목별 통관 건수를 보면 화장품은 2위(‘16년)-2위(’17년)-5위(‘18년)였다. 이 때문에 전체 통관 품목 중 비중도 12%(’16)-13%(‘17)-9%(’18)로 줄었다. 2019년 상반기 국가별 화장품 수입 통관 건수는 미국 63만 건, 중국 60만 4천건, EU 52만 7천건 일본 16만 7천건 등이었다. 해외 직구 화장품 수입 주 소비층은 30대 여성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점유율은 45%였다. 한편 올해 상반기 해외직구 규모는 2123만건, 15.8억달러였다. 이는 전년 대비 건수 기준 42%, 금액기준 20% 증가했다. 관세청 관계자는 “중국 광군제, 미국 블랙프라이데이 등 연말 해외 대규모 할인행사의 영향으로 보통 하반기에 해외직구 수요가 증가하는 추이”라며 “올해 해외직구 규모는 2017년 20억 달러를 달성한 지 2년만에 3
7월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9726억원을 기록했다. 거래액만 보면 이는 지난 3월 1조198억원, 5월 9853억원에 이어 3위에 해당된다. 대신 온라인쇼핑 거래액의 증가율 25%는 올해 최고 기록이다. 2019년 1~7월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 증가율은 15.9%(1월)→14.7%(2월)→22.5%(3월)→19.4%(4월)→20.4%(5월)→21.9%(6월) 등 두 자릿수 증가를 보이고 있다. 그만큼 화장품 거래액의 온라인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5852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32.3% 성장했다. 화장품의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0.2%였다. 모바일쇼핑 거래액의 1~7월 증가율을 보면 31.1%(1월)→30.3%(2월)→38.2%(3월)→31.8%(4월)→29.6%(5월)→29.5%(6월)→32.3%(7월) 등 큰 폭 성장 중이다. 7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종합몰에서 8972억원을 판매해, 92%를 차지했다. 한편 2019년 7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15.4% 증가한 11조 1822억원이었다. 이중 모바일쇼핑은 7조 2147억원이며, 온라인쇼핑 비중은 64
6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대비 21.9%(+1692억원) 증가한 9410억원으로 나타났다. 이중 모바일쇼핑은 5680억원(전년 대비 +29.4%)이었다. 모바일쇼핑 비중은 60.4%다. 2분기(3~6월) 화장품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2조 8842억원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20.6% 증가했다. 이중 모바일쇼핑은 1조 7379억원이다. 종합몰에서 2조 6393억원, 전문몰 2449억원이 각각 팔렸다. 분기 실적으로 보면 1분기에 비해 4.1% 증가한 역대 최고액이다. 한편 화장품의 2분기 온라인 해외 직접판매액은 1조963억원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66.4% 증가했다. 분기별 실적으로는 사상 최대 기록이다. 이중 온라인 면세점의 직접판매액은 1조639억원이다.(전년 대비 +69.3%) 순수 온라인 해외 직접판매액은 324억원이다. 전체 품목의 온라인 해외 직접판매액은 1조 3361억원이며 이중 화장품이 82%를 차지한다. 해외직구에서 화장품은 절대 비중을 차지한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1조 1399억원, 일본이 535억원, 아세안이 474억원 순이었다. 중국이 면세점에서 화장품을 대량 구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95.9로 3개월 연속 내림세다. 100보다 작으면 경기를 비관적으로 본다는 의미다. 26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다. 대체로 경기에 대한 인식이 크게 악화됐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지난 4월 101.6을 정점으로 이후 하락하면서 2018년 11월 95.7에 육박, 작년보다 경기를 비관적으로 보고 있음을 나타냈다.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생활형편CSI(91)와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을 나타내는 생활형편전망CSI(92) 모두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 반면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 전망을 나타내는 가계수입전망,CSI(96) 소비지출전망CSI(107)는 모두 전월대비 1p 하락했다. 소비자들은 앞으로 가계 수입과 지출이 줄어들 것으로 본 것이다.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지표인 현재경기판단CSI(67) 및 향후경기전망CSI(70)은 전월 대비 각각 2p, 5p 하락했다. 6개월 전 현재 상황과 향후 6개월 후의 전망 모두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미중 무역분쟁,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등 수출실적 감소와 우려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한국은행은 풀이했다. 경제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지표가 계속 발표되고 주가 하락까지 이어지
화장품의 5월 온라인쇼핑몰 판매액이 986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월 대비 20.5%나 증가한 수치다. 이는 지난 3월 1조198억원 이래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이중 모바일 쇼핑액은 5924억원이다. 모바일 쇼핑액은 전년 동월 대비 29.7%나 증가했다. 전체 온라인쇼핑액 중 모바일 거래액 비중은 60.1%다.[월별 온라인쇼핑 거래액 중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 65.3%(2월) → 59.6%(3월) → 60.3%(4월) → 60.1%(5월)] 종합몰에서 9089억원, 전문몰에서 773억원이 판매됐다. 특히 전문몰의 올해 1~5월 판매액은 1월 1039억원을 기록한 이래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따라서 화장품의 온라인쇼핑거래는 종합몰에서 주로 판매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종합몰 : 전문몰 = 92% : 8%) 한편 5월 한달 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1조 2637억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모바일거래액도 7조 1450원을 기록해 사상 최고였다. 전년 대비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9.8%, 모바일은 25.9% 각각 증가했다. 모바일쇼핑 거래액 비중은 63.4%로 전년 동월(60.3%)에 비해 3.1%p 늘었다. 음식서비스가 90.7%, 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