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주요국들이 위드(with) 코로나를 시행하는 것과 달리 중국은 제로(zero) 코로나 정책을 펴고 있어 대비가 되고 있다. 이 때문에 △ 중국 내 소비회복 부담 △ 실효성 의문 △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증대 등이 불안요인이 되고 있다고 국제금융센터(KCIF)는 분석했다.
11월 19일 기준 코로나19 백신 접종율은 싱가포르(86.3%) 일본(76.1%) 중국(76.4%) 영국(67.6%) 독일(67.3%) 브라질(60.0%) 이스라엘(62%) 미국(57.9%) 러시아(35.8%) 인도(27.5%) 등이다. 미국 유럽 주요국가들은 부스터샷을 추가로 계획 중이다.
중국은 접종율이 높은 수준임에도 △도시 봉쇄 △대외 횔동 제한 △외국인 입국자 통제 등 무관용 원칙을 유지하면서 제로 코로나를 시행 중이다.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최근 중국의 코로나19 재확산이 막바지 단계라고 발표했다. 4일간 본토 확진 사례가 한 자릿수를 유지하였으며, 랴오닝성 다롄시를 제외하면 집단격리 및 위험지역에서 발병한 사례가 거의 나오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렇듯 중국은 제로 코로나를 공산당 체제 선전에 활용하면서 적어도 ‘22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까지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시진핑 주석은 코로나 봉쇄 성공이 공산당 체제의 우월성 덕분이라고 선전해왔다. 중국인들도 코로나 봉쇄가 세계 보건에 기여해 자부심을 느낀다고 답하는 등 불만 제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중국은 일본이 무관중 올림픽을 진행한 것과 달리 중국은 자국민 관람을 허용하겠다고 밝힌 만큼 그전까지 확진자 발생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지난 10월 27일 올림픽 100일 카운트다운을 시작한 뒤 중국 방역당국은 봉쇄지역 시민들에게 음식과 필수품 비축을 지시하는 등 강경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취약한 의료시스템으로 제로 코로나를 밀어부친다는 보도도 있다. 중국산 백신에 대한 불안감과 낙후지역 의료장비 부족 등으로 재확산 시 큰 피해가 우려된다. WHO도 중국산 백신의 예방효과가 낮다며 60세 이상에 추가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중국은 외국 백신 접종을 금지해 돌파감염 가능성이 더욱 높으리라는 예측이다. 실제 인도네시아, 태국 등 중국산 백신을 수입했던 국가들은 외국 백신을 추가 접종 중이다.
국제금융센터(KCIF)는 “중국의 제로 코로나정책이 장기화되면서 내수회복 지연 등 경기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정책 실효성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는 가운데 글로벌 공급망 차질 심화 등 부정적 영향이 지속될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도시간 이동 규제 등으로 중국 국내 관광 지출액이 ’19년에 비해 절반 이하로 감소(‘21. 1분기)하고 철도 이용객수도 코로나 이전의 76%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한 봉쇄로 막대한 경제적 비용이 드는 데다 금년 들어 코로나 급증 및 안정의 반복주기가 빨라지면서 제로 코로나 정책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10월 중국 코로나 감염자 중 해외발 확진자 비중이 54%로 봉쇄 조치 한계도 드러나고 있다. 이 때문에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외국인들의 불만 심화로 외자기업의 중국 이탈 가능성이 커지는 등 부정적 영향도 나오고 있다. 현재 중국은 입국자에 백신 접종여부에 관계없이 21일 격리를 시행 중이다. 현지 외국인 사업가들은 중국이 배우자와 자녀에 대한 비자 발급도 꺼리고 있다고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중국의 제로 코로나가 소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쏠린다. 중국의 10월 소매판매율은 4.9% 증가했다고 국가통계국이 15일 발표했다.
이중 화장품 소매판매액은 310억위안(+7.2%), 1~10월 누적 소매판매액은 3097억위안(+16.7%)으로 나타났다. 다만 화장품 소매 증가율은 7월 이후 4개월째 한 자릿수를 기록 중이다. [6월 2.8%→7월 0%→9월 3.9%→10월 7.2%]
솽스이(双十一) 판촉행사 기간 동안(10.31. 20:00~11.11. 24:00)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화장품 매출은 547억위안으로 전년 대비 35.5% 증가했다. 모두 강력한 방역과 소비촉진 정책 덕분이다.
현재 중국은 6중전회를 통해 시진핑 국가주석의 장기집권을 내외에 알리고 있다. 역사결의(중국 공산당 100년 분투의 중대한 성취와 역사적 경험에 대한 결의)와 사회주의 강국 건설을 위한 공동부유(共同富裕)를 내걸고 중국특색 사회주의를 강조하고 있다.
공동부유 정책의 일환으로 알리바바·디디추싱 등 인터넷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와 사교육 통제를 강화 중이다. 때문에 이들 정책이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베이징 올림픽 이후 제로 코로나 정책을 유지할지에도 전세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