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이 피부에서 진행되는 노화를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진세노믹스™의 피부 저속 노화 효능을 밝혔다. 관련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Ginseng Research(인삼 연구 저널)’ 온라인판에 지난달 게재했다. (논문명: Compound K suppresses epidermal aging induced by IL-17A treatment and UVB irradiation) 최근 노화 학계에서는 '염증성 노화(inflammaging)'에 주목하고 있다. '염증성 노화'는 나이가 들수록 심화되는 저강도의 만성 염증 상태로, 염증성 사이토카인(염증 유발 신호물질)의 상승이 신체의 기능 저하로 이어진다. 염증성 노화는 피부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나이가 들면서 피부 내 염증 수준이 높아지게 되면 콜라겐 감소나 장벽 약화 등의 구조적 손상으로 이어진다. 이로 인해 피부에서 실제 나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가속 노화(accelerated aging)’가 나타날 수 있다. 피부 가속 노화는 염증과 호르몬 변화 등의 내인성 요인, 자외선·미세먼지와 같은 외인성 요인의 복합 작용에 의해 촉진된다. 아모레퍼시픽 R&I센터는 이번
신세계인터내셔날 화장품 사업의 모태이자 핵심 브랜드 비디비치(VIDIVICI)가 론칭 20주년을 맞아 리브랜딩을 진행하고 글로벌 新시장 개척에 나선다. 빠르게 재편되는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제2의 도약을 이룬다는 목표다. 비디비치는 이달 로고와 콘셉트는 물론 타깃 고객층, 유통망, 주력 제품과 패키지까지 이름 빼고 모든 것을 바꾸는 리브랜딩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 한국과 중국 중심의 매출 구조를 일본, 미국 등으로 확대하려는 전략의 첫 수순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감각에 맞춰 로고와 패키지를 리뉴얼했으며, 피부 본질에 집중하는 ‘스킨 코어 뷰티(Skin Core Beauty)’ 브랜드로 콘셉트를 확장했다. 1세대 메이크업 아티스트 브랜드라는 헤리티지를 기반으로 메이크업 제품에 하이 퍼포먼스 기술과 성분을 접목시켜 스킨케어 기능을 강화한 브랜드로 진화했다. 새로운 콘셉트인 ‘스킨 코어 뷰티’는 ‘피부 본연의 힘을 되찾고 각자의 고유한 ‘빛’을 완성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아름다움’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브랜드 로고는 수십만 개의 화장품 브랜드가 경쟁하는 글로벌 뷰티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볼드하고 눈에 띄게 바꿨다. 여기에 의류
우리나라 화장품산업 시장규모는 ‘23년 세계 10위(122억달러)에서 2030년 세계 11위(160억달러)로 전망됐다.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3.7%다. 10위권 국가가 그대로 유지되는 가운데 이란이 60억달러(‘23) → 326억달러(’30)으로 연평균 26.1% 성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향후 이란 시장을 주목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25일 발간한 ‘2025 글로벌 바이오헬스산업 시장규모(2019~2030)’에서 정리한 자료다. 화장품의 경우 유로모니터 인터내셔널의 209개국 자료이며 이중 ‘28년까지는 예측치를 적용하고, ’29~‘30년은 개별 국가의 직전 연도 최근 5개년간의 연평균성장률(CAGR)을 적용하여 재산출한 것이다. 전세계 바이오헬스산업 시장규모는 2023년 13조 5,381억 달러로 지난 5년간(’19~’23) 연평균 5.4%의 성장을 기록하였으며, 2030년까지 19조 4,268억 달러로 확대되어 연평균 5.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세부 산업별로는 ‘23년 제약산업 1조 7,487억 달러, 의료기기산업 5,291억 달러, 화장품산업 4,964억 달러, 의료서비스산업이 10조 7,639억 달러로
“숨 쉬듯 밥 먹듯 일정 수준 이상의 퀄리티로 숏폼을 주기적으로 꾸준히 올려라.” 구독자 13만의 영상 크리에이터 에딧 킴은 “콘텐츠를 쉽게 소비하는 시대다. 그렇다면 쏟아지는 짤을 고퀄로 찍으려고 하기 보다 콘텐츠가 바이럴이 되는 게 중요하다. 홍보나 마케팅을 위해선 ‘바이럴이 가능한 숏폼’ 제작이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24일 열린 한국화장품수출협회(회장 이경민)의 ‘릴스 이론 실습 퍼포먼스’는 숏폼의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콘텐츠를 바이럴 생성해 홍보+마케팅에 도움이 되는 수준까지의 테크닉을 익히는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에딧 킴은 “편집을 잘해도 바이럴이 문제다. ‘써보고 싶게’ → ‘써야 하는 이유’ → ‘팔리는’ 콘텐츠라야 바이럴이 가능하다”라고 말한다. 그러기 위해서 그는 ▲ 화자(話者)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 일상에서 보편적인 내용을 ▲ 시장조사 하듯 유행, 숏폼을 많이 청취 등의 3가지 공식을 제안했다. 구매회전율이 높은 인플루언서의 특징은 채널의 주인이 ‘본인’이라는 점이다. 또한 시간과 비용을 들여 작품을 만들기보다, 요즘 소비자의 유행 감성을 날카롭게 치고 들어가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했다. 바이럴, 조횟수를 높이려면 ▲ 시청 지속시간 ▲ 좋
K-뷰티 수출다변화의 일환으로 할랄 화장품시장 진출을 위한 교육과 인증 지원 사업이 추진된다. 24일 식약처는 할랄 화장품 인증 교육(22일 대한화장품협회 실시)을 시작으로 할랄 화장품 인증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 2월 17일 인도네시아 할랄청(BPJPH) 청장과의 면담에서 할랄 제도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위한 교육을 제안했었다. 이에 따라 웨비나에 할랄청 니나 수트리스노 파트너십 및 표준화부 국장과 리타 콜리라 인도네시아 식약청(BPOM) 화장품부서 팀장이 직접 강의에 나서기도 했다. 이번 교육은 ▲ 할랄 제도에 대한 개요 및 이해(인도네시아 할랄청(BPJPH)), ▲ 화장품 제도의 이해(인도네시아 식약청(BPOM)), ▲ 할랄 화장품 인증 절차(국내 할랄 인증기관) 등이며, 할랄 화장품 수출에 관심이 있는 업체 중 약 171명이 교육을 이수했다. 만족도 설문 조사 결과 ‘도움’ 이상이 93.1%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는 2026년 10월 17일 화장품 등 소비재의 할랄 인증 의무화가 예정돼 있다. 식약처는 할랄 화장품 인증지원 사업을 ‘16년부터 진행 중이다. 올해는 ▲ 할랄 인증 희망업체 대상 맞춤형 현장 컨설팅을 확대(10개 업체→1
니치 퍼퓸 편집숍 퍼퓸 갤러리가 아무아쥬(AMOUAGE)의 핵심 원료인 유향나무를 오마주한 기존의 ‘퍼포즈 오 드 퍼퓸(PURPOSE Eau de Parfum)’에 깊이와 풍부함을 더한 '퍼포즈 50 엑스트레 드 퍼퓸(Purpose 50 Extrait de Parfum)'을 출시했다. 프랑킨센스라고도 불리는 유향은 아무아쥬의 시초인 오만의 유산과 정체성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번 신제품은 눈으로 보이지 않는 유향나무의 뿌리 깊은 곳과 흙을 넘어서 대지까지 영역을 확장해 보다 어둡고 묵직한 향을 선보인다. 스파이시, 우디 계열의 '퍼포즈 50 엑스트레 드 퍼퓸’은 ▲ 탑 노트(Top note)로 베르가못, 핑크 페퍼, 유향, 피멘토 베리를 사용했으며, ▲ 하트 노트(Heart Note)로는 로즈, 샌드베티버, 샌달우드, 파피루스, ▲ 베이스 노트(Base note)로는 사프란, 스웨이드, 미스티칼, 아키갈라우드, 바닐라로 구성했다. 핑크 페퍼의 생동감 있는 터치와 유향의 신비로운 존재감을 시작으로 샌드베티버의 흙 내음, 파피루스의 격정적인 열기, 사프란의 가죽 같은 건조함으로 이어지는 향기는 기존 제품과 완전히 다른 감각을 불러일으킨다. 퍼퓸 갤러리 관계자는 “
피부과학이 깨우는 피부 스스로의 힘 쏘내추럴(SO’ NATURAL)이 점점 더워지는 날씨에도 무너짐 없는 메이크업을 위한 ‘올 데이 블러 메이크업 세팅 픽서’를 새롭게 선보인다. 이 제품은 24시간 모공 커버 및 메이크업 지속력 인체적용 시험을 완료한 제품이다. 프라이머 성분이 함유되어 모공을 촘촘히 메워주고 메이크업을 오랜 시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기존 픽서 대비 더 얇고 고운 안개 분사가 특징이다. 피부에 가볍고 균일하게 밀착되어 유분감 없이 매트하고 보송한 블러 피부 표현을 완성해 준다. 픽싱 공법과 수분 홀딩 시스템이 적용되어 건조함이나 당김 없이 편안한 사용감과 높은 고정력을 동시에 제공한다. 또한 블루 카모마일, 폴스 애플민트잎 추출물 등 자연 유래 쿨링 성분이 피부 온도를 낮춰주며, 기분 좋은 워터리 플로럴 향으로 사용 후에도 상쾌함이 오래 지속된다. 메이크업 전, 후 레이어링하여 밀착력과 지속력을 높일 수 있으며, 쿠션 퍼프나 브러시 위에 분사해 사용할 경우 보다 정교하고 섬세한 메이크업 연출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수출다변화의 차별화 요소로 ‘글로벌 피부특성 데이터’가 꼽힌다. 국내에선 유일하게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이 ‘국가별 피부특성은행’을 운영 중이다. 연구원은 오는 5월 13일(화) 오후 1시~4시30분 여의도 FKI타워 에메랄드홀에서 ‘피부특성 정보 활용·성과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연구원이 구축한 글로벌 피부특성 데이터의 연구 성과와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피부특성 정보 데이터가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국내 기업에게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세미나에는 ▲ 아시아 여성의 피부 미생물과 피부특성, 생활습관의 상호작용 비교연구_ 중앙대학교 김혜진 박사 ▲ 인종별 피부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피부과학적 분석 및 활용 제언_ 더마프로 백지훈 소장 ▲ 다양한 산업군에서 피부특성 정보를 활용한 사업 사례로 탈모 Ai 진단 모델 및 사업 개발 사례_ 디레몬 명기준 대표 ▲ 손톱 데이터를 활용한 뷰티 헬스케어 AI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사례_ 링커버스의 박영준 대표가 등이 발표한다. 마지막으로 LG생활건강의 구기남 선임연구원이 글로벌 인종 피부 노화 특성의 다양성 연구와 활용에 대해 발표한다.